What is Hackers' Pub?

Hackers' Pub is a place for software engineers to share their knowledge and experience with each other. It's also an ActivityPub-enabled social network, so you can follow your favorite hackers in the fediverse and get their latest posts in your feed.

0
0

Mastodonのセキュリティインシデントを発見した場合、報告すべき窓口はこちらです。
github.com/mastodon/mastodon/s

Misskeyのセキュリティインシデントを発見した場合、報告すべき窓口はこちらです。
github.com/misskey-dev/misskey

それぞれ説明とあわせて、報告フォームへのリンクがありますので、そちらでご報告ください。

なお、MastodonもMisskeyも、サーバの設置者がソフトウェアに改造を加えている場合があります。

あるいは、別の名前がついて広く配布されているフォークを利用している場合もあります。

問題・原因が本家にあるのか、フォークやサーバ毎の改造にあるのか、通常は利用者にはわかりません。

どこに報告したら良いでしょうか?

判断がつかない場合は、サーバの管理者に報告するのが良いと思います。

サーバの管理者としては、利用者に対し報告窓口をあらかじめ案内しておくことが重要になります。

Fedibirdについては、何らかの方法で私に伝えていただければOKです。ミンナニナイショダヨ

実は、先日Pixelfedにも特大のヤツが発生しています。PeerTubeも何かあったようで、各サーバが最新版を適用するのを待っているところです。

こういうことは日々発生していますので、問題の有無もさることながら、その対応状況をみて評価してください。

各サーバ毎に事情は異なりますが、まったく更新されている様子のないサーバは切り離しやむなし、ということもありますので、

自分で設置している人はマメに更新チェックをお願いします。

人のサーバに間借りしている場合は、メンテナンス状況をチェック、といったところです。

とりあえずバージョンで見るのが簡単ではありますが、バージョン番号を変えずに対策されている場合もありますので、管理者の報告などを参照してください。

0

게임 프로그래밍에서 AI에 대한 John Carmack의 견해
------------------------------
- Microsoft가 AI로 생성된 Quake II 데모를 공개한 것에 대한 비판(개발자의 가치를 훼손한다는 주장)에 대한 반론
- Doom/Quake의 개발자 존 카맥은 AI가 개발자, 아티스트, 디자이너의 기술을 폄하한다는 주장을 이해하며 이에 대한 본인의 생각을 정리

# 기술의 진보는 불가피한 변화임

- 과거에는 …
------------------------------
https://news.hada.io/topic?id=20223&utm_source=googlechat&utm_medium=bot&utm_campaign=1834

0
0

침대에서 코딩하다가 잠들었더니 작업하던 내용이 그대로 꿈에 나왔어 ㅋㅋㅋㅋ 꿈 속에서 열심히 문제 찾고 고치고 테스트 시나리오 짜고 다 했는데 일어나니까 머리만 아프고 문제는 그대로 남아 있음…

0
0
0

It's impossible to develop a production line in four years in USA that doesn't make displays, batteries or semiconductors yet. And the labour costs are too high. They might even resort to child labour or slave hunting, but even if they did, it wouldn't be worth the cost.
Once Trump leaves, the tariffs will disappear, so it's obviously better to import via a country or region with low tariffs (penguin island!) until then.

0
0

2022년 지방선거에 당선된 국민의힘 소속 광역단체장은 12명입니다. 이 가운데 대선 출마를 선언했거나 출마를 저울질하는 이는 최소 7명입니다. 국민의힘 소속 대통령이 파면된 상황에서 ‘지지율 0%’대 단체장까지 시정·도정을 떠넘기고 대선판을 넘보는 것에 곱지 않은 시선이 쏠립니다.

국힘 단체장 12명 중 7명 대선 들썩…지지율 0% ‘...

0
0
0
0

リモートワークを必要としている障害者たちがいくらそれを求めても実現しなかったのに、コロナ禍が始まったらあっという間にリモートワークが一気に増え、コロナ禍が終わったことになったらどんどん減少。健常者中心、元気のあるひと中心の社会。

0
0
0

有名人だから最初に報道することは仕方ないけど、状況がわかってきたなら、こういう報道は止めるべきじゃないかな

広末涼子容疑者 取り調べで興奮し 会話成り立たない様子も 病院で看護師にけがさせた疑いで逮捕 | NHK | 静岡県: www3.nhk.or.jp/news/html/20250

0

リモートワークを必要としている障害者たちがいくらそれを求めても実現しなかったのに、コロナ禍が始まったらあっという間にリモートワークが一気に増え、コロナ禍が終わったことになったらどんどん減少。健常者中心、元気のあるひと中心の社会。

0
0
0
0
0

최치선 shared the below article:

같은 것을 알아내는 방법

Ailrun (UTC-5/-4) @ailrun@hackers.pub

같은 것과 같지 않은 것

국밥 두 그릇의 가격이 얼마인가? KTX의 속력이 몇 km/h인가? 내일 기온은 몇 도인가? 일상에서 묻는 이런 질문은 항상 같음의 개념을 암시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앞의 예시를 보다 명시적으로 바꾼다면 아래와 같이 (다소 어색하게) 말할 수 있다.

  • 국밥 두 그릇의 가격은 몇 원과 같은가?
  • KTX의 속력은 몇 km/h와 같은가?
  • 내일 기온은 몇 도와 같은가?

이런 질문들의 추상화인 이론들은 자연스럽게 언제 무엇과 무엇이 같은지에 대해서 답하는 데에 초점을 맞추게 된다. 예를 들면

  • x2+x+1=0x^2 + x + 1 = 0의 실수 해의 갯수는 0과 같다.
  • 물 분자 내의 수소-산소 연결 사이의 각도는 104.5도와 같다.
  • 합병 정렬의 시간 복잡도는 O(nlog⁡n)O(n\log{n})같다.

등이 있다. 이렇게 어떤 두 대상이 같은지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다보면 반대로 어떤 두 대상이 같지 않은지에 대해서도 이야기하게 된다. 즉,

  • x+4x + 422로 나눈 나머지는 x+1x + 122로 나눈 나머지와 같지 않다.
  • 연결 리스트(Linked List)와 배열(Array)은 같지 않다.
  • 함수 λ x→x\lambda\ x \to x와 정수 55같지 않다.

같은 것과 판정 문제(Decision Problem)

이제 컴퓨터 과학(Computer Science)과 프로그래밍(Programming)에 있어 자연스러운 의문은 "두 대상이 같은지 아닌지와 같은 답을 주는 알고리즘(Algorithm)이 있나?"일 것이다. 다시 말해서 두 대상 aabb를 입력으로 주었을 때

  • 알고리즘이 참 값(True\mathtt{True})을 준다면 aabb가 같고
  • 알고리즘이 거짓 값(False\mathtt{False})을 준다면 aabb가 같지 않은

알고리즘이 있는지 물어볼 수 있다. 이런 어떤 명제가 참인지 거짓인지 판정하는 알고리즘의 존재 여부에 대한 질문을 "판정 문제"("Decision Problem")라고 하며, 명제 PP에 대한 판정 문제에서 설명하는 알고리즘이 존재한다면 "PP는 판정 가능하다"("PP is decidable")고 한다. 즉, 앞의 질문은 "임의의 aabb에 대해 aabb가 같은지 판정 가능한가?"라는 질문과 같은 의미라고 할 수 있다.

이 질문에 대한 대답은 당연하게도 어떤 대상을 어떻게 비교하는지에 따라 달라진다. 예를 들어 우리가 32 비트(bit) 정수에 대해서만 이야기하고 있다면 "임의의 32 비트 정수 aabb에 대해 aabb가 각 비트별로 같은지 판정 가능한가?"라는 질문에 대한 답은 "그렇다"이다. 반면 우리가 비슷한 질문을 자연수를 받아 자연수를 내놓는 임의의 함수에 대해 던진다면 답은 "아니다"가 된다.[1]

그렇다면 어떤 대상의 어떤 비교에 대해 판정 문제를 물어보아야할까? 프로그래머(Programmer)로서 명백한 대답은 두 프로그램(Program)이 실행 결과에 있어서 같은지 보는 것일 것이다. 그러나 앞서 자연수를 받아 자연수를 내놓는 함수에 대해 말했던 것과 비슷하게 두 프로그램의 실행 결과를 완벽하게 비교하는 알고리즘은 존재하지않는다. 이는 우리가 두 프로그램의 같음을 판정하고 싶다면 그 같음을 비교하는 방법에 제약을 두어야 함을 말한다. 여기서는 다음의 두 제약을 대표로 설명할 것이다.

  1. 문법적 비교(Syntactic Comparison)
  2. β\beta 동등성 (β\beta Equivalence)

1. 문법적 비교(Syntactic Comparison)

이 방법은 말 그대로 두 프로그램이 문법 수준에서 같은지를 보는 것이다. 예를 들어 다음의 두 JavaScript 프로그램은 문법적으로 같은 프로그램이다.

// 1번 프로그램
let x = 5;
console.log(x);

// 2번 프로그램
let x  =  5;
console.log( x );

공백문자의 사용에서 차이가 있으나, 그 외의 문법 요소는 모두 동일함에 유의하자. 반면 다음의 두 JavaScript 프로그램은 동일한 행동을 하지만 문법적으로는 다른 프로그램이다.

// 1번 프로그램
let x = 5;
console.log(x);

// 2번 프로그램
let x = 3 + 2;
console.log(x);

두 프로그램 모두 x5라는 값을 할당하고 5를 콘솔에 출력하나, 첫번째 프로그램은 = 5;를, 두번째 프로그램은 = 3 + 2을 사용하여 5를 할당하고 있기 때문에 문법적으로 다르다.

문법적 비교는 이렇게 문법만 보고서 쉽게 판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두번째 예시처럼 쉽게 같은 행동을 함을 이해할 수 있는 프로그램에 대해서도 "같지 않음"이라는 결과를 준다는 단점을 가진다. 혹자는

3 + 2같은 계산은 그냥 한 다음에 비교하면 안돼? 컴파일러(Compiler)도 상수 전파(Constant Propagation) 최적화라던지로 3 + 25로 바꾸잖아?

라는 생각을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제안을 반영한 방법이 바로 β\beta 동등성이다.

2. β\beta 동등성

바로 앞의 소절에서 단순 계산의 추가에 의해 같음같지 않음으로 변하는 것을 보았다. 이런 상황을 피하기 위해서는 같음을 평가할 때 프로그램의 실행을 고려하도록 만들어야 한다. 가장 대표적인, 대부분의 프로그래밍 언어(Programming Language)에 존재하는 프로그램의 실행은 함수 호출이다. 따라서 함수 호출을 고려한 같음의 비교는 f(c)와 함수 f의 몸체 b 안에서 인자 xc로 치환한 것을 같다고 취급해야한다. 예를 들어

let f = (x) => x + 3;

이 있다면, f(5)5 + 3 혹은 8을 같은 프로그램으로 취급해야한다. 이 비교 방법의 큰 문제는 함수가 종료하는지 알지 못한다는 것이다. 두 프로그램 ab를 비교하는데, a가 종료하지 않는 함수 l을 호출한다면, 이 알고리즘은 "같음"이나 "같지 않음"이라는 결과를 낼 수조차 없다. 즉, 올바른 판정법이 될 수 없다.

더 심각한 문제는 아직 값을 모르는 변수가 있는 "열린 프로그램"("Open Program")에 대해서도 이런 계산을 고려해야한다는 것이다. 다음의 JavaScript 예시를 보자.

let g = (x) => f(x) + 3;
let h = (x) => (x + 3) + 3;

gh는 같은 프로그램일까? 우리가 gh가 같은 프로그램이기를 원한다면 f(x)x + 3을 같은 프로그램으로 보아야한다. 대부분의 프로그램은 함수 안에서 쓰여지기 때문에 프로그램의 비교는 거의 항상 gh의 몸체와 같은 열린 프로그램들의 비교이다. 따라서 gh를 다른 프로그램으로 본다면 계산을 실행하여 두 프로그램을 비교하는 의미가 퇴색되고 만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x와 같이 값이 정해지지 않은 변수가 있을 때에도 f(x)을 호출하여 비교해야만 한다. 이는 우리가 단순히 모든 함수가 종료하는지 여부를 떠나서, 함수의 몸체에 등장하는 모든 부속 프로그램(Sub-program)이 종료하는지 아닌지를 따져야만 한다는 이야기이다.

이런 강한 제약조건으로 인해 β\beta 동등성을 통해서 프로그램 비교의 판정 문제를 해결 가능한 곳은 매우 제한적이지만, β\beta 동등성이 매우 유용한 한가지 경우가 있다. 바로 의존 형이론(Dependent Type Theory)의 형검사(Type Checking)이다.

의존 형이론과 형의 같음

의존 형이론은 형(Type)에 임의의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도록 하는 형이론(Type Theory)의 한 종류이다. 예를 들어 명시적인 길이(n)를 포함한 벡터(Vector) 형Vector n Int과 같이 쓸 수 있다. 이 형은 n개의 Int값을 가진 벡터를 표현하는 형이다. 이제 append라는 두 벡터를 하나로 연결하는 함수를 만든다고 해보자. 대략 다음과 같은 형을 쓸 수 있을 것이다.

append : Vector n a -> Vector m a -> Vector (n + m) a

즉, append는 길이 n짜리 a 형의 벡터와 길이 m짜리 a 형의 벡터를 합쳐서 길이 n + m짜리 a 형의 벡터를 만드는 함수이다. 이 함수를 사용해서 길이 5의 벡터를 길이 2와 길이 3짜리 벡터 x, y로부터 만들고 싶다고 하자.

append x y : Vector (2 + 3) a

안타깝게도 우리는 길이 2 + 3짜리 벡터를 얻었지, 길이 5짜리 벡터를 얻진 못했다. 여기서 앞서의 질문이 다시 돌아온다.

아니, 2 + 35로 계산하면 되잖아?"

그렇다. 이런 의존 형에 β\beta 동등성을 적용하면 우리가 원하는 형을 바로 얻어낼 수 있다. Vector (2 + 3) aVector 5 a같은 형이기 때문이다. 더욱이, 의존 형의 경우 종료하지 않는 부속 프로그램이 잘못된 형을 줄 수 있기 때문에 많은 경우 종료하지 않는 부속 프로그램을 어차피 포함하지 않는다. 다시 말해, 앞서 말한 제약 조건 즉 모든 부속 프로그램이 종료해야만 한다는 제약조건은 의존 형의 경우 상대적으로 훨씬 덜 심각한 제약조건이 되는 것이다.

이런 의존 형에 있어서의 β\beta 동등성 검사를 "변환 검사"("Conversion Check")라고 하며, 두 형이 β\beta 동등일 경우 이 두 형이 서로 "변환 가능하다"("Convertible")라고 한다. 이 변환 검사는 의존 형이론 구현에 있어서 가장 핵심인 기능 중 하나이며, 가장 잦은 버그를 부르는 기능 중 하나이기도 하다.

마치며

이 글에서는 같음과 같지 않음의 판정 문제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프로그램의 같음을 판정하는 법에 대해서 단순화하여 다루어보았다. 구체적으로는 문법 기반의 비교와 β\beta 동등성을 통한 비교로 프로그램의 같음을 판정하는 법을 알아보았고, 이 중 β\beta 동등성이 적용되는 가장 중요한 예시인 의존 형이론을 β\beta 동등성을 중점으로 짤막하게 설명하였다. 마지막 문단에서 언급했듯 의존 형이론의 구현에 있어서 β\beta 동등성을 올바르게 구현하는 것은 가장 중요한 작업 중 하나이기에, 최근 연구들은 β\beta 동등성의 구현 자체를 의존 형이론 안에서 함으로서 검증된 β\beta 동등성의 구현을 하기 시작하고 있다. 이 글이 같음과 같지 않음과 판정 문제 그리고 β\beta 동등성에 있어 유용한 설명을 내놓았기를 바라며 이만 줄이도록 하겠다.


  1. 두 함수가 같다라고 보는 방법에 따라 다르나, 두 함수가 항상 같은 값을 가진다면 같다고 하자. 이때 함수의 판정 문제는 정지 문제(Halting Problem)와 동일하다. 임의의 튜링 기계(Turing Machine) ff가 입력 nn을 받았을 때 종료하면 g(n)=1g(n) = 1, 아니면 g(n)=0g(n) = 0이라고 하면 이 함수 gg와 상수 함수 c(n)=1c(n) = 1가 같은 함수임을 보이는 것은 ff가 항상 종료한다는 것을 보이는 것과 동등하다. ↩︎

Read more →
5
2
2
0

Fediverseのソフトウェアにも時々、欠陥が見つかることがあります。

通常の不具合は、つながらなくなったり、一部の機能が使えなくなる程度で済みますので、状況を知らせて速やかに修正適用という対応で済みますが、

意図されていない結果が生じたり、許可されていない操作が実行できてしまったり、見えてはいけない情報の閲覧を許すものなど『セキュリティインシデント』については、

問題発生時点で情報を公開・共有すると、対応前に欠陥を利用して悪用する者が現れ、被害が拡大します。

ついては、

・公開の場で問題を報告してはいけない

→ 必ず専用の窓口へ報告して、口外しないこと

・開発者は直ちに問題を修正し、アップデートを公開する

→ セキュリティアップデートであることを明示するが、公開時点では具体的な内容を説明できない

・サーバ設置者は、セキュリティアップデートを遅滞なく適用する

→ ある程度アップデート適用が行き渡るのを待って問題が公表されるが、公表時点でアップデート未適用のサーバは直ちに危険にさらされる

という対応が必要になります。

サーバの利用者も、サーバ管理者も、開発者も、どのように行動すべきか共有されていないと、対応を誤ったことにより取り返しが付かなくなるので、よく覚えておいてください。

Mastodonのセキュリティインシデントを発見した場合、報告すべき窓口はこちらです。
github.com/mastodon/mastodon/s

Misskeyのセキュリティインシデントを発見した場合、報告すべき窓口はこちらです。
github.com/misskey-dev/misskey

それぞれ説明とあわせて、報告フォームへのリンクがありますので、そちらでご報告ください。

なお、MastodonもMisskeyも、サーバの設置者がソフトウェアに改造を加えている場合があります。

あるいは、別の名前がついて広く配布されているフォークを利用している場合もあります。

問題・原因が本家にあるのか、フォークやサーバ毎の改造にあるのか、通常は利用者にはわかりません。

どこに報告したら良いでしょうか?

判断がつかない場合は、サーバの管理者に報告するのが良いと思います。

サーバの管理者としては、利用者に対し報告窓口をあらかじめ案内しておくことが重要になります。

Fedibirdについては、何らかの方法で私に伝えていただければOKです。ミンナニナイショダヨ

0

Fediverseのソフトウェアにも時々、欠陥が見つかることがあります。

通常の不具合は、つながらなくなったり、一部の機能が使えなくなる程度で済みますので、状況を知らせて速やかに修正適用という対応で済みますが、

意図されていない結果が生じたり、許可されていない操作が実行できてしまったり、見えてはいけない情報の閲覧を許すものなど『セキュリティインシデント』については、

問題発生時点で情報を公開・共有すると、対応前に欠陥を利用して悪用する者が現れ、被害が拡大します。

ついては、

・公開の場で問題を報告してはいけない

→ 必ず専用の窓口へ報告して、口外しないこと

・開発者は直ちに問題を修正し、アップデートを公開する

→ セキュリティアップデートであることを明示するが、公開時点では具体的な内容を説明できない

・サーバ設置者は、セキュリティアップデートを遅滞なく適用する

→ ある程度アップデート適用が行き渡るのを待って問題が公表されるが、公表時点でアップデート未適用のサーバは直ちに危険にさらされる

という対応が必要になります。

サーバの利用者も、サーバ管理者も、開発者も、どのように行動すべきか共有されていないと、対応を誤ったことにより取り返しが付かなくなるので、よく覚えておいてください。

1
0
0
0

Git 20주년 회고 – 여전히 이상하고, 여전히 멋진 도구
------------------------------
- Git은 20년 전 Linus Torvalds가 첫 커밋을 하며 시작된 버전 관리 시스템임
- 원래는 단순한 개인 프로젝트였지만, 이후 전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는 버전 관리 시스템으로 성장함
- 작성자는 GitHub 공동 창립자이며, Git 관련 책과 커뮤니티를 구축하면서 Git의 발전에 깊게 관여해왔음
- 초기에는 단…
------------------------------
https://news.hada.io/topic?id=20217&utm_source=googlechat&utm_medium=bot&utm_campaign=1834

0

Meta, AI 벤치마크 조작 논란
------------------------------
- Meta는 새로운 Llama 4 모델 두 가지를 발표함: 작은 모델인
Scout 과 중간 크기 모델인 Maverick
- Meta는 Maverick이 GPT-4o와 Gemini 2.0 Flash보다 더 나은 성능을 보인다고 주장함
- Maverick은 AI 모델 비교 플랫폼인
LMArena 에서 2위를 차지함
- 공개된 ELO 점수는 1417점으로, GPT-4o보다 높…
------------------------------
https://news.hada.io/topic?id=20229&utm_source=googlechat&utm_medium=bot&utm_campaign=1834

0

Fediverseのソフトウェアにも時々、欠陥が見つかることがあります。

通常の不具合は、つながらなくなったり、一部の機能が使えなくなる程度で済みますので、状況を知らせて速やかに修正適用という対応で済みますが、

意図されていない結果が生じたり、許可されていない操作が実行できてしまったり、見えてはいけない情報の閲覧を許すものなど『セキュリティインシデント』については、

問題発生時点で情報を公開・共有すると、対応前に欠陥を利用して悪用する者が現れ、被害が拡大します。

ついては、

・公開の場で問題を報告してはいけない

→ 必ず専用の窓口へ報告して、口外しないこと

・開発者は直ちに問題を修正し、アップデートを公開する

→ セキュリティアップデートであることを明示するが、公開時点では具体的な内容を説明できない

・サーバ設置者は、セキュリティアップデートを遅滞なく適用する

→ ある程度アップデート適用が行き渡るのを待って問題が公表されるが、公表時点でアップデート未適用のサーバは直ちに危険にさらされる

という対応が必要になります。

サーバの利用者も、サーバ管理者も、開発者も、どのように行動すべきか共有されていないと、対応を誤ったことにより取り返しが付かなくなるので、よく覚えておいてください。

1
0

老梗笑話,但一直很萬用啊~

第1任因為對方外遇而離婚,第2任則是因為對方負債太多而離婚。但就算如此,我弟弟(39歳)還想要再婚。我嚇到了,覺得真的假的啦。

於是我老爸(72歳)說了『人啊,因為“判斷力不足”而結婚,因為“忍耐力不足”而離婚,又因為“記憶力不足”而再婚』這樣的名言。

果然是人生結過3次婚的老前輩才能說出的響亮話語。

---

最近又看到有影片演出這一段...

0
0
0
0

ひとりで過ごすことを『かわいそう』だとする風潮は日本の方がまだ軽いのかもしれないな、と思います。「過去数年にわたって専門家らは「アメリカ人が1人で過ごす時間が増えている」と警鐘を鳴らし」ってすごい。警鐘鳴らしちゃうんだ……。

ひとりで過ごすことを恥とみなす常識が個人の本心を歪めていることもあるのではないかな。誰とどのくらいの頻度でどのような形で繋がっていくのか、自由意志で選べたらいい。ひとりでいるために必要以上に気を張らねばならない状況だってあるだろう。まるで攻撃に備えるように。
gigazine.net/news/20250409-pos

0
0
0
0
0
0

15歳でデビューした少年が、その爆発的な人気にむしろ追い詰められ心を破壊されていく映画(ベターマン)を見たばかりなので、広末が早稲田入学したときの映像を見て「大人気だったのに落ちぶれて」とは全然思えない。むしろこういう人気のあり方こそが彼女を壊していったんじゃないの。知らんけど。
16歳でブレイク後、人気絶頂だった広末がなぜ大学に進学したか。少しでも"ふうーの社会"と接点を持ち、"ふうーの人間"でいられる時間を作りたかったのだとしたら。それなのに大学側は守ってくれず、むしろ宣伝に利用するような態度で、群衆の歓声とメディアスクラムに囲まれた初登校。私だったら絶望するな。芸能人じゃない自分でいることは許されないと突き付けられるようなものでしょ。広末がどう感じたかは知らんけど。
そして今、中居と違って彼女を決死援護してくれるファンはいない。"かわいいだけでチヤホヤされてた女"が破綻していくのを嬉々として眺める連中ばかり。広末の"奇行"よりそっちのがよっぽど邪悪だよ。

0
0
0
0
0
0
0
0
0
0

게임 프로그래밍에서 AI에 대한 John Carmack의 견해
------------------------------
- Microsoft가 AI로 생성된 Quake II 데모를 공개한 것에 대한 비판(개발자의 가치를 훼손한다는 주장)에 대한 반론
- Doom/Quake의 개발자 존 카맥은 AI가 개발자, 아티스트, 디자이너의 기술을 폄하한다는 주장을 이해하며 이에 대한 본인의 생각을 정리

# 기술의 진보는 불가피한 변화임

- 과거에는 …
------------------------------
https://news.hada.io/topic?id=20223&utm_source=googlechat&utm_medium=bot&utm_campaign=1834

0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