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at is Hackers' Pub?

Hackers' Pub is a place for software engineers to share their knowledge and experience with each other. It's also an ActivityPub-enabled social network, so you can follow your favorite hackers in the fediverse and get their latest posts in your feed.

한편 진보당도 지금이 진보정당으로서 가장 중요한 순간일 것이라 생각한다. 이는 그동안의 청구서를 내밀 수 있는 위치가 된 것일 수도 있지만, 반대로 그들을 바라보고 있던 이들에게 청구서가 날아올 순간이기도 하다는 뜻이다. 방향성에 대해 다른 진보정당들과 차이가 있었음에도 그로 인해 비판 받았음에도 원내 진보정당이 되고자한 이유가 분명 있었을 것이고, 그 뒤에는 분명 그 이유를 믿고 따라와준 사람들이 있을 것이다. 그 사람들이 청구서를 내민다. 진보당에게.

0
1
1
0

Me: oh noes, I will run out of bike jerseys before I next want to do laundry¹.
Also me: has an entire multi-week collection of (clean) bike jerseys, just not my bike club's current bike jerseys (although half of them are on the somewhat warmer side, and a modest chunk of my kingdom for really lightweight full length zip short-sleeved summer bike jerseys).

¹ I used to have a steady schedule for laundry but then 2020 happened.

0

Computer Science is popular, but job demand is growing slower than supply, and companies are trying to keep money!
AI on the rise, people think they can replace programmers with LLMs (not true!), but for now it's hard to convince.

It is a difficult time for CS students, but do not give up! If you have the passion, eventually opportunities will come!

I can imagine how much money companies will start offering, just to fix the mess that vibecoding caused
:bugcatnod:

2
1
1
1
2

【書摘】荷蘭「可負擔住宅」的百年追求:從救濟扶貧到多元社會融合 - 報導者 The Reporter

Link
荷蘭「可負擔住宅」的百年追求:從救濟扶貧到多元社會融合
https://www.twreporter.org/a/holland-affordable-housing-history

📌 Summary:
本文詳細回顧了荷蘭社會住宅從 19 世紀中葉工業革命帶來的都市住房困境,透過教會與慈善家推動初期工人住宅建設,到 1901 年《住宅法》正式確立政府介入社會住宅體系,並延伸至二戰後大規模重建與興建社會住宅。以阿姆斯特丹著名的船型公寓與拜爾美米爾社區為代表,展示荷蘭社會住宅在保障居住品質、促進社會公平與包容的實踐。文章同時關注現代挑戰,包括難民潮與 COVID-19 疫情對住宅需求的影響,並介紹以貨櫃屋形式的臨時社會住宅與專為特殊需求族羣設置的 Skaeve Huse,反映政策對多元族羣的包容與支持。文末探討荷蘭社會住宅的出租機制創新,住房協會與 NGO 合作提供生活輔導與支援,並兼顧社區融合與公共安全。整體而言,荷蘭社會住宅政策歷經百年演進,從單純救濟貧困轉向強調多元融合和生活品質提升,為其他國家提供可借鑑的典範。

🎯 Key Points:
→ 19 世紀工業革命推動荷蘭城市人口膨脹,工人面臨惡劣居住環境,教會與慈善家如烏特勒支七小街工人住宅及恩克赫伊斯的 Snouck van Loosenpark 社區率先改善生活條件。
→ 1901 年《住宅法》立法確立政府角色,推動非營利住宅協會(Woningbouwverenigingen)興建與管理社會住宅,將社會住宅品質提升至與一般住宅相當。
→ 阿姆斯特丹船型公寓(Het Schip)為社會住宅建築經典,融入公共設施與社區功能,體現城市規劃與社會福利結合。
→ 戰後需求激增,政府加大投入,1960 年代社會住宅佔總住宅 30%,拜爾美米爾大型社會住宅以現代主義設計著稱,但因管理與犯罪問題面臨重建與轉型。
→ 近年為因應難民及新移民需求,推行貨櫃社宅如 Utrecht Place2BU,提供臨時住宅,並設立 Skaeve Huse 區域,關懷精神疾病與藥物成癮等特殊族羣。
→ 出租制度創新:住房協會與 NGO 合作,由 NGO 擔任二房東進行生活輔導,促進住戶社會融合與心理支持,提升社會住宅整體功能與穩定性。
→ 透過社區活動和公共設施,努力打破社會住宅標籤,促成多元族羣共融,並提供就業機會與社區維護,塑造安全、友善的居住環境。
→ 荷蘭社會住宅政策歷經百年演進,展現由救濟功能轉向包容性、多元化及品質提升的住宅治理模式,對正在推動社會住宅的臺灣等地具有參考價值。

🔖 Keywords:
affordable_housing Woningwet container_housing Woningbouwverenigingen NGO Bijlmermeer

0
0
0
0
0
1
0
0
0
0
0
0
1

I can't call today a "lazy" bike commute day, it didn't feel lazy and leisurely in this Toronto heat, but it was slow. This evening's commute home will be even slower, since it'll be much hotter and the commute home is uphill.

And in six months I'll be grumbling about freezing. If only Toronto could always be in the middle.

0
0
0
1
0
0

バテレ/アルテミシア/ヘイジーダブルIPA
こ、これうま〜…!!なんだかちょっとミックスジュースみを感じる不思議、バナナっぽさみたいな…と思ってるとだんだん爽やかな柑橘が強くなってきて美味しい〜

0
1

@rmondelloRicky Mondello I am looking at how we could add Passkeys to Mastodon, but I am unsure about something: if we want users to sign up and log in using a passkey on a mobile app (official Mastodon app or 3rd party app), so we need to go through a webview, or is it a way to do so without having to set up associated domains on the app, which cant work for Mastodon as you can have thousand of different independent domains, and many 3rd party apps?

0
0
2
0
0
0
0
0
0
0

'농망장관'·'내란장관' 송미령 농식품부 장관 유임 철회를 위한 긴급 서명운동
docs.google.com/forms/d/e/1FAI

'농망장관'·'내란장관' 송미령 농식품부 장관 유임 철회를 위한 긴급 서명운동

충격적인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이재명 정부가 농식품부 장관으로 기존 송미령 장관을 유임한 것입니다. 농민들에게는 도저히 납득할 수 없는 결정입니다. 송미령이 누구입니까. 윤석열의 농업파괴 농민말살 정책을 주도한 ‘농망장관’이자, 12.3 내란사태를 방조한 ‘내란장관’입니다. 기후위기와 식량위기 시대 농업을 지키기 위한 최소한의 조치인 농업민생 4법의 거부권을 건의한 자입니다. 벼 재배면적 강제감축을 주도하여 국민의 주식인 쌀 생산기반을 파괴하고, 농지규제를 완화하여 이 땅의 농업을 통째로 파괴하려 한 자입니다. 윤석열과 함께 탄핵되었어야 마땅한 자가 오히려 유임된 것입니다. 윤석열 내란농정의 수장이었던 송미령을 농식품부 장관으로 유임하는 일은 곧 내란농정의 연장이자, ‘남태령을 넘어 식량주권의 나라로’ 나아가야 한다는 농민, 아니 온 국민의 염원에 대한 중대한 배신입니다. 광장의 염원으로 탄생한 이재명 정부가, 함께 광장을 열어낸 농민과 남태령 시민들의 뜻에 반하는 자를 농식품부 장관으로 선임하는 일은 없어야 합니다. ‘농망장관’·‘내란장관’ 송미령 농식품부 장관 유임 결정이 철회될 수 있도록 힘을 모아주시길, 200만 농민의 간절한 마음을 담아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docs.google.com · Google Docs

0
0
1
0

덧붙히자면..

완전 근거없는 사고실험같은건 아닙니다. 이 주장을 처음으로 한 인물은 1930년대에 미국에 대공황이 유행할 때 어빙 피셔가 주장한 이론이예요. 어빙 피셔는 미국 경제학의 아버지라고 불린 인물이기도하고요. 대공황으로 소비가 박살난 미국에서 지역상품권을 뿌림으로서 지역경제에 활기를 되찾게하자는 주장이었고 실제로도 대공황 시기 미국의 여러 지역에서 시행한 정책이었습니다. 물론, 심각한 경기침체 이외의 상황 외에는 남발해서는 안될 이론이고 정책이죠.

RE:
https://mastodon.conii.co/users/coniico/statuses/114733057519274902

0
0
0
1
0
0
0
0
0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