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at is Hackers' Pub?

Hackers' Pub is a place for software engineers to share their knowledge and experience with each other. It's also an ActivityPub-enabled social network, so you can follow your favorite hackers in the fediverse and get their latest posts in your feed.

0
0
0
0
0
0

I managed to get out to a protest today. I joined another person at a small town across the river and was happy to see more positive than negative hand gestures.
The best part of my day though was taking food to the little free pantry in my town. I only fill the shelves once a week and mostly sneak in and out without people interaction.
Today the park that houses the pantry was busy. After I unloaded and came back to my car I sat for a minute. A young boy came from an apartment across the street. He loaded up with all the food he could carry but kept dropping things. He looked like he didn't know what to do. Just as I was going to get out and bring him a bag another person who was looking for food themselves stopped and picked up the dropped items. He carried them across the street to the boys front door and left them there.
I was touched by his kindness.
There are still people that care about each other.
Thank goodness.
A rose from my garden today.

A pink rose blossom.
0
0
1

한국에서 커피 음료 제품은 메이저 중에는 매일이 제일 나은 듯 하다.

차는 잎 사서 우리지만 커피는 귀찮아서 완제품 병으로 사다 먹음. 역시 애정의 차이가... ㅋㅋ;

0
0
0

うひゃぁ。知らなかったけどアメリカには外国情報監視法(FISA)という法律があって、アメリカ国内にあるデータを令状なしで見ることできるんだ

で、今までは一定の歯止めをかけてたけど、DOGEは、それを取っ払って全権アクセスを主張している

そうなると、やっぱりEFFもツッコミいれるよねー

EFF、DOGEと人事管理局を提訴し、連邦データの不正利用の停止を求める – 反監視情報: alt-movements.org/no_more_capi

あ、小倉さん @toshimaruToshimaru Ogura のところだった

0

アメリカのクラウドサービスを使うことは、もはや安全ではない、というコラム

以前から言われてたことだけど、トランプで現実になった感じ。DOGEが全権アクセスできるようになれば、同盟国といえど秘密もへったくれもないわけでデスヨネーといった感じ。ちなみに我が国のガバクラは、ガバガバです😇

It is no longer safe to move our governments and societies to US clouds - Bert Hubert's writings: berthub.eu/articles/posts/you-

うひゃぁ。知らなかったけどアメリカには外国情報監視法(FISA)という法律があって、アメリカ国内にあるデータを令状なしで見ることできるんだ

で、今までは一定の歯止めをかけてたけど、DOGEは、それを取っ払って全権アクセスを主張している

そうなると、やっぱりEFFもツッコミいれるよねー

EFF、DOGEと人事管理局を提訴し、連邦データの不正利用の停止を求める – 反監視情報: alt-movements.org/no_more_capi

あ、小倉さん @toshimaruToshimaru Ogura のところだった

0

アメリカのクラウドサービスを使うことは、もはや安全ではない、というコラム

以前から言われてたことだけど、トランプで現実になった感じ。DOGEが全権アクセスできるようになれば、同盟国といえど秘密もへったくれもないわけでデスヨネーといった感じ。ちなみに我が国のガバクラは、ガバガバです😇

It is no longer safe to move our governments and societies to US clouds - Bert Hubert's writings: berthub.eu/articles/posts/you-

0
0
0
1

アメリカ政府高官曰く「DeepSeekの情報は全部中国政府にぶっこ抜かれてるぞ!」だと。はいはい、どの口がそんなこと言うかな。アメリカも全部ぶっこ抜いてるじゃん

Exclusive: DeepSeek aids China's military and evaded export controls, US official says | Reuters: reuters.com/world/china/deepse

0
0
0
0
1
0
0
0

“유리병에서 50배 더 나왔다”…미세플라스틱 실험 충격 결과

n.news.naver.com/article/081/0

조사 결과 유리병 음료 1ℓ당 평균 약 100개의 미세플라스틱 입자가 검출됐다. 이는 같은 음료를 플라스틱병이나 캔에 담았을 때보다 5배에서 많게는 50배 가까이 높은 수치다. 이번 연구는 국제학술지 식품 성분과 분석에 게재됐다.

유리병에서 검출된 미세플라스틱은 병 자체에서 나온 것이 아니라 대부분 병을 밀봉한 뚜껑의 외부 페인트에서 떨어져 나온 것으로 확인됐다.

ANSES는 “병뚜껑 표면에는 육안으로 보이지 않는 작은 긁힘이 있었으며, 이는 병들이 유통 중 부딪히면서 생긴 마찰 흔적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이렇게 벗겨진 미세플라스틱이 병 안으로 들어가면서 음료 오염으로 이어졌다는 설명이다.

....뚜껑의 외부 페인트가 유통중에 들어간다는건 좀 이상한데.

0

看穿越文主角纯手工制作粗制阿司匹林,想到以前在实验室制备乙酰水杨酸,很基础的必修课程,但这个技术最开始是一家初创医药公司辛辛苦苦用各种药品乙酰化试出来的,阿司匹林乙酰化之后大大降低了胃肠道反应,成为它家第一个赚钱产品,这个公司就是如今的业界巨头拜耳。
乙酰水杨酸大获成功,它家再接再厉,把吗啡也乙酰化了,想要重复阿司匹林的奇迹去掉吗啡的副作用……
然后做出了它家第二个产品,二乙酰吗啡,也就是……海洛因(。 :ablobcatknitsweats:

0
1

nogajun🍉 shared the below article:

極右の杉田水脈と歪んだ歴史観の西田昌司を公認|自民党の現在地

HUNTER(ハンター) @news-hunter.org@web.brid.gy

安倍晋三政権以来、自民党から「中庸」の精神が失われた。日本の戦争責任を否定し、少数民族や沖縄を軽んずる姿勢こそが「保守」だという考え方がまん延する状況だ。旧安部派を中心とする右寄りの政治家たちは、口で「人権」を尊重すると […]

Read more →
0

Arstechnica 에서 이런 글을 보았습니다.

A history of the Internet, part 2: The high-tech gold rush begins

제가 이것저것의 역사에 대하여 흥미가 많다는 말을 여기에 쓴 적이 있던가요? 게임이라거나 컴퓨팅이라거나 ...

사실 대강의 사연을 알고있던 저 2편보다는, 제가 모르던 사연이 더 많은 1편 An Ars Technica history of the Internet, part 1이 더욱 흥미로웠습니다.

그 와중에 글을 쓰는 방식과 디테일들이 마음에 들어서 글쓴사람을 클릭해보니 와우' -' 보물창고가 쨘 하고 나타나는 것이었습니다.

일단 처음에 눈에 띄여서 이 시리즈를 읽었습니다. 재미있었어요.

그래서 ARM의 원래 이름은 Acorn RISC Machine. 도토리 RISC 머신이었던 것입니다 ' -' ...

다음에는 Amiga 의 역사를 읽어볼 생각이에요. 두근두근.

앞으로 Ars Technica 에 자주 가게 될 것 같네요. 어제까지는 그냥 "나와 비슷한 관점으로 이야기하곤 하는 웹진"이었는데요.

이야. 여기 컴퓨팅 역사 맛집이었어요.

Bill Atkinson, architect of the Mac’s graphical soul, dies at 74 를 통하여 30-plus years of HyperCard, the missing link to the Web를 알게 되었고, 위키피디아에서 HyperCard 항목을 읽었습니다. 하이퍼링크와 웹의 역사에 관해 이것저것 읽으면서 Project Xanadu 같은 것은 들어본 적이 있었지만, HyperCard 에 대해서는 오늘 처음 알게되었습니다. 기쁘네요.

역사는 사물의 본질에 대하여 여러 각도로 이해할 수 있는 수단이라 많이 좋아합니다:)

0
0
0
0
1

가끔 캐치미이프유캔 영화 언급 나올때마다 매번 놀라는 점.

모티브가 된 인물 프랭크 에버그네일은 위조수표와 온갖 기만술로 전세계에 자신의 이름을 알렸지만

정작 오늘날 전세계 위조방지 기술의 시초 또한 이 양반에게서 나왔다는걸 생각하면...

대단한 양반이다 늘 생각함.

1
0
0
0
0
0
0

리눅스에서 문제 하나 생김 -> 구글 검색 -> 첫 링크 내용이 그럴듯해 따라했는데 잘못된 해결책이었음 -> AI로 검색 -> 같은 링크 참고했는지 똑같은 해결책 알려줌;;;;

구글과 AI놈이 날 괴롭혀...

0
1
0
1
0
0
0
1
0
0
0
0
0
0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