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rry박준규 근데 따지고보면 하스켈도 문법 복잡하죠. 각각 다 역할이 있어서 그렇지만요.
@bglbgl gwyng 이게 생각해보니 ‘문법이 복잡하다’, ‘문법 요소가 적다’라는 표현이 구체적이지 않은 것 같습니다. 갑자기 언어 확장이 떠오르면서 ‘문법 안 복잡한 거 맞나?’ 싶네요. 그래서 표현을 좀 바꾸면 저는 사전에 정의된 키워드가 적을 수록 좋다고 생각합니다.
If you have a fediverse account, you can reply to this note from your own instance. Search https://hackers.pub/ap/notes/01963c5d-017f-7803-a30b-2ca35eb38e25 on your instance and reply to it.
@curry박준규 더 primitive한 의미론을 포착해서 문법 요소로 만들고 그걸로 다양한 정의를 하게 하는게 낫다는 점에선 동의하는데요. 말씀하신 기준을 그대로 적용해버리면, 모든 언어들이(하스켈도 포함) 발전할수록 점점 키워드가 추가되는데, 그때마다 점점 더 안 좋아졌다고 하면 좀 이상하죠.
@curry박준규
@bglbgl gwyng 사실 문법의 복잡도로 따지면 Haskell 등보다 의존 형 언어(Agda나 Idris 등)가 더 단순한 경우가 많죠. 같은 표현식을 형과 항에 공유해서 쓰기 때문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