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숙한 정main, 부sub를 써서 정작용(주작용), 부작용을 같이 보여주면 "부"의 뜻을 인지하는데 도움을 줄 것 같긴 한데, side effect 얘기를 할 때 primary effect를 거론하는 자료도 드물고, 뭔지 궁금해하는 분들도 못봤습니다.(왜 안 궁금해할까요? ㅎㅎ)

어떤 논문은 Side-effect를 Computational Effect 전반을 가리키는 용어로 쓰고, 어떤 논문들은 Effect 중 mutation을 가리키는 용어로만 씁니다. 오래된 논문일수록 전자처럼 쓰고, 요즘은 후자로 자리잡아 가고 있다고 합니다.

그동안 본 번역은 부작용, 부수 효과 정도고, 그 외 생각해 본 번역은 "부차 효과"정도가 있습니다. 맥락에서 특별히 튀지 않으면, 저는 문장에서, 원어에 바로 연결되지 않는 단점이 있긴 하지만, 의미 전달에는 유리하다 생각하는 "비순수 효과"를 쓰기도 합니다. @hongminhee洪 民憙 (Hong Minhee)

2

❤️

2 people reacted.

슈티를 함께 만들 팀을 만들고 있습니다. 관심 있으신 분, 또는 잘 모르겠지만 이야기를 나눠보고 싶은 분도 bgl@gwyng.com으로 편하게 연락주세요.

Hi, I'm who's behind Fedify, Hollo, BotKit, and this website, Hackers' Pub!

Fedify, Hollo, BotKit, 그리고 보고 계신 이 사이트 Hackers' Pub을 만들고 있습니다.

FedifyHolloBotKit、そしてこのサイト、Hackers' Pubを作っています。

嗨,我是 FedifyHolloBotKit 以及這個網站 Hackers' Pub 的開發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