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별금지법은, 이제 반대 주체가 기독교회 정도만 남은 상황이라 설득이 아닌 결단이 필요한 단계라고 본다. 호주제, 동성동본 금혼이 결사 반대하던 유림을 설득한 후 폐지되었나? 아니다. 이제 새로운 세대가 저 둘을 봉건시대에나 통할 저 옛날 이야기라고 보듯이, 차별금지법도 없는 날들이 야만적이었다고 당연히 생각하는 시대가 올 것이다.
필요한 건 용기와 결단 뿐이다. 국회의 결단을 촉구한다.
@minhoryang@hackers.pub · 22 following · 23 followers
your metaverse plumber and firefighter | DISCLAIMER - 소속한 집단의 의견을 대표하지 않고, 생각은 언제나 바뀔 수 있음
차별금지법은, 이제 반대 주체가 기독교회 정도만 남은 상황이라 설득이 아닌 결단이 필요한 단계라고 본다. 호주제, 동성동본 금혼이 결사 반대하던 유림을 설득한 후 폐지되었나? 아니다. 이제 새로운 세대가 저 둘을 봉건시대에나 통할 저 옛날 이야기라고 보듯이, 차별금지법도 없는 날들이 야만적이었다고 당연히 생각하는 시대가 올 것이다.
필요한 건 용기와 결단 뿐이다. 국회의 결단을 촉구한다.
인간이 코딩을 얼마나 못하냐면, chatGPT :: String -> String
이 현존하는 가장 비싼 프로그램이다
For example, reading a dump of plain text is 4x faster compared to iTerm stdio에 의존하는 unix philosophy 를 좋아하긴 하지만, 그걸 그 속도로 바로 stdout에 빼서 보는건 필요가 없지않나... ? 왜 다들 이쪽으로 경쟁을 하지? 동체시력경쟁은 아닐거 아냐?
으아. Seat Availability 가 booking code랑 연결되어있는데, 실제 구현은 "typically also the first letter of the fare’s basis code" 였다니.
강연 마지막 Exercise 너무 재밌다ㅎㅎㅎㅎ 나도 강의 마지막은 이렇게 끝내야겠다.
대신 priceable units 의 search space도 query에 맞춰서 미리 줄여둘 순 있겠다. pu코드가 전세계 공통이라면?
으아. Seat Availability 가 booking code랑 연결되어있는데, 실제 구현은 "typically also the first letter of the fare’s basis code" 였다니.
그럼 precomputation도 가능하지 않아? 라고 생각하자마자 떠오르는 "Flight data is updated daily or occasionally more frequently in the case of unexpected cancellations. Prices are updated about ten times a day, and seat availability continuously."
대신 priceable units 의 search space도 query에 맞춰서 미리 줄여둘 순 있겠다. pu코드가 전세계 공통이라면?
어 그러네, fares를 먼저 찾고 그걸 priceable units으로 조합하는게 당연하네. 지금까지 반대로 생각하고있었네.
그럼 precomputation도 가능하지 않아? 라고 생각하자마자 떠오르는 "Flight data is updated daily or occasionally more frequently in the case of unexpected cancellations. Prices are updated about ten times a day, and seat availability continuously."
"For a travel query, find the best solution: A set of flights that satisfies the travel query, A set of fares that covers all the flights exactly once, A partition of the fares into priceable units. For each fare, solution must satisfy fare's rules."
어 그러네, fares를 먼저 찾고 그걸 priceable units으로 조합하는게 당연하네. 지금까지 반대로 생각하고있었네.
"An analogy is that if fares are atoms, priceable units are the molecules used to build complete tickets. It's not entirely correct, but a good working intuition is that a priceable unit is the smallest group of flights and fares that could be sold on their own." "Fare rules are expressed in an extremely complicated and baroque electronic language, built from hundreds of parameterized predicates joined by sometimes bizarre logical combinators"
"For a travel query, find the best solution: A set of flights that satisfies the travel query, A set of fares that covers all the flights exactly once, A partition of the fares into priceable units. For each fare, solution must satisfy fare's rules."
hollo는 캐싱 정책 설정하기 매우 편하다
되게 간단하게 설정했는데 이정도라니
#hollo
터미널에 대해 궁금한 점이 생겨 자료를 찾다 보니 Windows Console Team에서 연재한 시리즈물을 발견했는데, 그 내용이 참 유익했다.
Windows Command-Line Series:
콘솔 앱이 터미널과 입출력을 주고 받는 것을 공기처럼 당연하다고 생각했는데, 그 과정에는 커서 이동이나 개행 등과 같은 제어 문자를 렌더링하거나 SIGINT 같은 시그널을 발생시켜주는 처리가 존재했다. 터미널과 콘솔 앱이 서로 분리된 구조가 과거 물리 터미널로부터 비롯된 것도 흥미로웠고 말이다. 사실 이해 못 한 부분이 아직 많아서 다음에 또 읽어볼 생각이다.
@minhoryang repomix 같은걸 쓴다던가...?
@kodingwarriorJaeyeol Lee 으악! repomix도 솔직히 context window 차력쇼라고 생각합니다. 그것도 또 누가 쪼개주나요? 제발 필요한 context만 딱 골라서 넣어줬으면 좋겠어요.
어 hackers.pub과 hollo.social 은 다른건가? 목적도 다른가보구나?!
마스타돈에서 댓글다는 https://hackers.pub/authorize_interaction?uri= 이 API가 아직 없나보네요?
그 수익모델이 따로 있나요?
4월 20일 #견주기 3번째 시도에 성공했습니다. 초성이 ㅂㄱ인 단어를 맞출 수 있을까요?
보기보다는 더 경제적인 가치에 중점을 둔 표현이라고 할 수 있겠네요.
"An analogy is that if fares are atoms, priceable units are the molecules used to build complete tickets. It's not entirely correct, but a good working intuition is that a priceable unit is the smallest group of flights and fares that could be sold on their own." "Fare rules are expressed in an extremely complicated and baroque electronic language, built from hundreds of parameterized predicates joined by sometimes bizarre logical combinators"
누가 무한 context window 소리를 내었어? token값은 너가 내고?
llms.txt 는 누가 쪼개주나?
alumni들과 캠핑을 다녀올거구요. 돌아오는날 저녁엔 커피챗이 하나 잡혀있습니다.
MCP를 안심하고 띄울 수 있는 cloud를 생각만 하고 있었는데, 이 부분을 Cloudflare Worker가 긁어주려는 것 같다. 언제나 그렇듯 시장은 참 빠르다.
Managed라고 말하는 제품들도 조금만 더 빌딩블록을 쌓다보면, 업그레이드할 때 Unmanaged 느낌 나더라구요. 무중단을 위한 스케줄러가 중단될 위기에 처했을 때는 K8s가 미운데, 그래도 또 이게 없다면 얼마나 많은 중단을 겪었을까 생각하면서 넘깁니다.
K8s를 업그레이드하려고했더니 Istio를 업그레이드하려고했더니 Knative를 업그레이드하려고했더니 Kubeflow를 업그레이드하려고했더니 … 굴레를 10번 넘게 넘어본 결과, 살기 위해서 클러스터 단위로 Blue/Green을 하게 되더라구요. 막상 또 이게 필요한 분야에서는 오버엔지니어링이라고 말하긴 좀 그런데 오버프라이싱은 확실하지않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