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file img

Perlmint

@perlmint@hackers.pub · 87 following · 77 followers

크로스 플랫폼 빌드 고치는 노동자

잡담은 @meperlmint 에서

Github
@perlmint
Bluesky
bsky.perlmint.dev

오늘은 싱글유저를 위한 패스워드 방식으로 인증정보 암호화 저장을 다시 만들었고, 내일 목표는 크롤링 소스 하나 포팅과 구글 캘린더로 출력코드 옮겨오기.

비슷한 것을 몇번 만들어보니, 구글 캘린더는 앱에게 사용자의 캘린더 권한을 주는 것 보다는, 앱의 서비스 계정을 만들고, 사용자의 캘린더에 그 서비스 계정의 쓰기 권한을 주고, 캘린더 ID를 앱에게 넘겨주는게 차라리 편한 것 같다.

1

오늘은 싱글유저를 위한 패스워드 방식으로 인증정보 암호화 저장을 다시 만들었고, 내일 목표는 크롤링 소스 하나 포팅과 구글 캘린더로 출력코드 옮겨오기.

2

https://www.securityfact.co.kr/news/view.php?no=6246

삼성 스마트폰에는 모든 클립보드 내용이 무기한으로 내부에 평문 저장되어 있다고. 알려지고도 별 일 아니라는 식으로 대응 중이라 외국에서 시끄럽다고 한다. 삼성은 기술과 정책 모두 여전히 후진적이다.

아이폰 싫어하는데, 결국 구글 픽셀 써야 하나... 하지만 안 들어와서 선택지가 아니라 결국 다음엔 아이폰 가야 할 듯. 픽셀 들어오면 그거 쓰고.

0
3
0
1
1
0
1

학교 다닐적에 오타쿠식 이름 짓기(맘에 다는 캐릭터의 이름을 프로젝트 이름으로 쓰기)를 하여서 프로젝트에 애정을 가지자는 이야기가 있었는데...

0

캘린더 이벤트로 변환이 가능한 데이터들 (예약 서비스의 예약 내역, 캘린더 양식이 아니어서 변환이 필요한 데이터, 매우 낮은 에러 레이트 리밋(?) 같은 이유로 인하여 일반적인 캘린더 동기화에 넣기 불안한 출처)를 모아다가 주로 사용하는 캘린더 서비스로 보내주는 서비스를 만들려고 합니다.

1

캘린더 이벤트로 변환이 가능한 데이터들 (예약 서비스의 예약 내역, 캘린더 양식이 아니어서 변환이 필요한 데이터, 매우 낮은 에러 레이트 리밋(?) 같은 이유로 인하여 일반적인 캘린더 동기화에 넣기 불안한 출처)를 모아다가 주로 사용하는 캘린더 서비스로 보내주는 서비스를 만들려고 합니다.

3
0

표준에서 지원하기 전에는 HTTP헤더상에 언어 항목이 있으면 그걸 참고해서 맞는 언어로 내려보내주거나 엔트리 포인트를 언어별로 다르게 했다거나...

1
1
1

Apple App Store 가이드라인, 미국 내에서는 외부 결제 권장 금지 해제
------------------------------
- 애플의 App Review Guideline이 앱의 버튼, 외부 링크 및 기타 행동 유도 문구와 관련된 미국 법원의 판결을 준수하도록 업데이트됨
- 앱 스토어의 미국 스토어 프런트에 배포되는 앱에 영향을 미치며, 지침 3.1.1, 3.1.1(a), 3.1.3 및 3.1.3(a) 업데이트에 반영됨
# 변경 부분
- 3.1.1 Apps may allow users t…
------------------------------
https://news.hada.io/topic?id=20661&utm_source=googlechat&utm_medium=bot&utm_campaign=1834

0
1
1
0
1
1
0

.github/copilot-instructions.md, .cursorrules, .windsurfrules, CLAUDE.md… 이것 말고도 많이 있을텐데, 어차피 들어가야 하는 내용은 다 거기서 거기. 지금은 한 파일에 적고 심볼릭 링크로 같은 곳을 바라보게 하고 있지만, .editorconfig처럼 그냥 어떤 식으로든 표준화가 되었으면 좋겠다.

1

웹 앱들이 카메라, 위치 등 권한을 어떤 방식으로 요청하고 있는지, 사용자가 이에 어떻게 반응하는지에 관한 연구. 많은 웹 사이트가 사용자에게 아무런 맥락없이 권한을 요청한다. 기본적으로 사용자에게 권한이 왜 필요한지 설명하면 허용률이 높아졌고, 긍정적인 톤으로 권한을 요청하면 허용률이 18% 증가한다. 텍스트만 보여주기 보다는 UI 요소가 있을 때 허용률이 더 높았는데, 오버레이(+41%) 또는 전체화면(+33%)으로 권한을 요청하면 허용률이 늘지만 사용자의 불만족도 높아졌다. programs.sigchi.org/chi/2025/p

Permission Rationales in the Web Ecosystem: An Exploration of Rationale Text and Design Patterns
3
0
0
0
0
0

OOM 원인인 거대 파일 때문에 에디터가 죽었다. 재시작되고나서 여전히 열려있는 그 파일을 닫았는데 정리하는 중에 또 OOM으로 죽는다. 역시 또 재시작 되고 다시 그 파일을 열고 있는 에디터...

1
0
0

Perlmint shared the below article:

places.pub

Evan Prodromou @evanprodromou@socialwebfoundation.org

I'm making an initial version of places.pub available today. places.pub is a collection of Place objects suitable for use in geosocial applications on the ActivityPub network. Part of my work in the Social Web Community Group at the W3C has been participation in the GeoSocial Task Force. This is a sub-group of the SocialCG that focuses on implementing user stories in ActivityPub related to the intersection of geographical systems and social networking, for example, tagging an image with […]

Read more →
0
1
1
0
1

fresh에서 아직 플러그인이 정적파일을 추가를 못한다고 확인을 했고, 이것에 대한 PR이 올라와 있으니, 머지되고 퍼블리시 되고나면 직접 컴파일러를 실행해서라도 Service worker, PWA 플러그인을 만들 수 있을 것 같다.

0
0
1

이번 변경으로 홈 화면에 추가로 해커즈펍을 설치하면 android, iOS 양쪽 모두, 단독 앱인 것 같은 느낌으로 쓸 수 있게됩니다. 다만, 이메일의 로그인 링크가 설치 된 쪽으로는 안열리는 문제가 있으니 미리 로그인 된 상태에서 설치를 하셔야 곤란하지 않습니다.

4
0

저도 비슷한 생각인데, Haskell이나 Rust는 코너 케이스를 다루지 않고는 컴파일도 못 하게 금지하는 경우들이 꽤 많고 (그래서 좋은 언어지요), 빠르게 해피 패스만을 검증하고 싶을 때는 Python 같은 널널한 언어(복잡하고 규모가 큰 소프트웨어를 만들 때는 나쁜 언어가 되지요)가 쉽게 느껴질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즉, Haskell이나 Rust가 어렵다고 말할 때의 어려움은 개념적 이해의 난도라기 보다는 시행착오의 커브의 경사를 얘기하는 것 같아요.

비슷한 측면에서 저는 Python의 들여쓰기를 강제하는 문법이 프로그래밍 초심자에게 좋은 습관을 처음부터 정착시키는 데에는 일조할 수 있겠지만, 결코 쉽지는 않다고 생각합니다.



RE: https://hackers.pub/@bgl/01967f97-67ab-7a98-a6e5-16cb3ef31856

4

fresh에서 아직 플러그인이 정적파일을 추가를 못한다고 확인을 했고, 이것에 대한 PR이 올라와 있으니, 머지되고 퍼블리시 되고나면 직접 컴파일러를 실행해서라도 Service worker, PWA 플러그인을 만들 수 있을 것 같다.

2
1
0
0
0
1
1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