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싱글유저를 위한 패스워드 방식으로 인증정보 암호화 저장을 다시 만들었고, 내일 목표는 크롤링 소스 하나 포팅과 구글 캘린더로 출력코드 옮겨오기.
Perlmint
@perlmint@hackers.pub · 87 following · 77 followers
크로스 플랫폼 빌드 고치는 노동자
잡담은
@meperlmint 에서
Github
- @perlmint
Bluesky
- bsky.perlmint.dev
비슷한 것을 몇번 만들어보니, 구글 캘린더는 앱에게 사용자의 캘린더 권한을 주는 것 보다는, 앱의 서비스 계정을 만들고, 사용자의 캘린더에 그 서비스 계정의 쓰기 권한을 주고, 캘린더 ID를 앱에게 넘겨주는게 차라리 편한 것 같다.
오늘은 싱글유저를 위한 패스워드 방식으로 인증정보 암호화 저장을 다시 만들었고, 내일 목표는 크롤링 소스 하나 포팅과 구글 캘린더로 출력코드 옮겨오기.
https://www.securityfact.co.kr/news/view.php?no=6246
삼성 스마트폰에는 모든 클립보드 내용이 무기한으로 내부에 평문 저장되어 있다고. 알려지고도 별 일 아니라는 식으로 대응 중이라 외국에서 시끄럽다고 한다. 삼성은 기술과 정책 모두 여전히 후진적이다.
아이폰 싫어하는데, 결국 구글 픽셀 써야 하나... 하지만 안 들어와서 선택지가 아니라 결국 다음엔 아이폰 가야 할 듯. 픽셀 들어오면 그거 쓰고.
감사하게도 이름 제안을 몇가지 받았지만, 일단 결정을 미루고 코드먼저 짜야지
@perlmint 제가 제일 먼저 떠오르는 이름은 Eventify 정도네요.. 애니캐릭터 이름으로 한다면 이야기 시리즈의 아라라기 카렌/츠키히 라던가...? (달력과 관련있는 이름이라네요...)
@gaeulbyul가을별 기능적으로 충실한 이름이네요. 이름 충돌을 고민 할 필요는 없지만 동일한 이름의 서비스가 있네요 ㅋㅋㅋ
@perlmint "그때" 어떻습니까. at that time?
@minhoryang 어쩔 수 없이 알파벳 표기를 생각하면 된소리가 들어가면 힘든 것 같습니다 😭
@hongminhee洪 民憙 (Hong Minhee) 생각보다 더 넓게 단어를 확장하시는군요? 저는 일정, 계획 같은 단어들을 생각 해서 이것들은 알파벳 표기하면 영 못 써먹겠군... 하고 있었는데요. ㅋㅋㅋ. 제안 주신 둘 다 느낌은 좋네요.
프로젝트 이름 예쁘게 짓는 방법 구합니다
학교 다닐적에 오타쿠식 이름 짓기(맘에 다는 캐릭터의 이름을 프로젝트 이름으로 쓰기)를 하여서 프로젝트에 애정을 가지자는 이야기가 있었는데...
캘린더 이벤트로 변환이 가능한 데이터들 (예약 서비스의 예약 내역, 캘린더 양식이 아니어서 변환이 필요한 데이터, 매우 낮은 에러 레이트 리밋(?) 같은 이유로 인하여 일반적인 캘린더 동기화에 넣기 불안한 출처)를 모아다가 주로 사용하는 캘린더 서비스로 보내주는 서비스를 만들려고 합니다.
사실 예전에 엉성하게 만든 것을 다시 정리하려는 것이지만...
프로젝트 이름 예쁘게 짓는 방법 구합니다
캘린더 이벤트로 변환이 가능한 데이터들 (예약 서비스의 예약 내역, 캘린더 양식이 아니어서 변환이 필요한 데이터, 매우 낮은 에러 레이트 리밋(?) 같은 이유로 인하여 일반적인 캘린더 동기화에 넣기 불안한 출처)를 모아다가 주로 사용하는 캘린더 서비스로 보내주는 서비스를 만들려고 합니다.
프로젝트 이름 예쁘게 짓는 방법 구합니다
Web manifest의 i18n 적용방법이 있나 싶었는데, 나중에 추가가 되었다고 하는 것 같다. 하지만 어느 브라우저에서 구현했는지는 모르겠다.
표준에서 지원하기 전에는 HTTP헤더상에 언어 항목이 있으면 그걸 참고해서 맞는 언어로 내려보내주거나 엔트리 포인트를 언어별로 다르게 했다거나...
Web manifest의 i18n 적용방법이 있나 싶었는데, 나중에 추가가 되었다고 하는 것 같다. 하지만 어느 브라우저에서 구현했는지는 모르겠다.
내 코드를 짜고 싶어야 하는데 왜 이렇게 하기 싫지
Apple App Store 가이드라인, 미국 내에서는 외부 결제 권장 금지 해제
------------------------------
- 애플의 App Review Guideline이 앱의 버튼, 외부 링크 및 기타 행동 유도 문구와 관련된 미국 법원의 판결을 준수하도록 업데이트됨
- 앱 스토어의 미국 스토어 프런트에 배포되는 앱에 영향을 미치며, 지침 3.1.1, 3.1.1(a), 3.1.3 및 3.1.3(a) 업데이트에 반영됨
# 변경 부분
- 3.1.1 Apps may allow users t…
------------------------------
https://news.hada.io/topic?id=20661&utm_source=googlechat&utm_medium=bot&utm_campaign=1834
@perlmint JavaScript가 필요해서 그럴 거예요…
@hongminhee洪 民憙 (Hong Minhee) 그렇겠죠. 그래도 Internal Server Error가 나와 버리는 것은 피해야 하지 않을 까 싶어요.
아쉽게도 w3m으로 Hackers' Pub에 포스트 올리기 해보니까 에러가 난다.
Redis is open source again https://antirez.com/news/151
바이브 코딩
(이상한 생각 하지 마세욧)
Get back to work
My agent is coding
Hmm go ahead
xkcd.com/303/
안드로이드는 어째서인지 SVG, 크기가 16x16 32x32 48x48 256x256인 ico가 있는데도 ico에서 저해상도를 꺼내다 쓰는 것 같다.
소소하게 더 웃긴건 저해상도인 상태에서 모서리에 라운딩 먹이고 확대하는 것 같다는건데...
안드로이드는 어째서인지 SVG, 크기가 16x16 32x32 48x48 256x256인 ico가 있는데도 ico에서 저해상도를 꺼내다 쓰는 것 같다.
캘린더 서비스들은 각자 caldav로 제공하기를 지원하는 것 같은데, 외부의 캘린더를 구독 하는 것은 단순 iCal파일 되는 것 같다. 왤까...?
.github/copilot-instructions.md, .cursorrules, .windsurfrules, CLAUDE.md… 이것 말고도 많이 있을텐데, 어차피 들어가야 하는 내용은 다 거기서 거기. 지금은 한 파일에 적고 심볼릭 링크로 같은 곳을 바라보게 하고 있지만, .editorconfig처럼 그냥 어떤 식으로든 표준화가 되었으면 좋겠다.
웹 앱들이 카메라, 위치 등 권한을 어떤 방식으로 요청하고 있는지, 사용자가 이에 어떻게 반응하는지에 관한 연구. 많은 웹 사이트가 사용자에게 아무런 맥락없이 권한을 요청한다. 기본적으로 사용자에게 권한이 왜 필요한지 설명하면 허용률이 높아졌고, 긍정적인 톤으로 권한을 요청하면 허용률이 18% 증가한다. 텍스트만 보여주기 보다는 UI 요소가 있을 때 허용률이 더 높았는데, 오버레이(+41%) 또는 전체화면(+33%)으로 권한을 요청하면 허용률이 늘지만 사용자의 불만족도 높아졌다. https://programs.sigchi.org/chi/2025/program/content/188217
초대장 보내기 쪽에서 버그에 당해서, 고치려고 했던게 개발환경 세팅에 문제있다고 css고치기 하다가 완전 까먹었네... 이슈를 작성하자...
애플아...? 새로고침 해도 안고쳐지네...;
어디선가 원치 않는 심볼을 참조하고 있다. 어디있을까
마구 뒤적거리다 운좋게 발견했다
RTL을 보면 Right-to-left 가 아닌 Register-transfer-language가 떠오르게 되어버렸어...
어디선가 원치 않는 심볼을 참조하고 있다. 어디있을까
OOM 원인인 거대 파일 때문에 에디터가 죽었다. 재시작되고나서 여전히 열려있는 그 파일을 닫았는데 정리하는 중에 또 OOM으로 죽는다. 역시 또 재시작 되고 다시 그 파일을 열고 있는 에디터...
어?
왜 에러가 나지
어?
Perlmint shared the below article:
places.pub
Evan Prodromou @evanprodromou@socialwebfoundation.org
I'm making an initial version of places.pub available today. places.pub is a collection of Place objects suitable for use in geosocial applications on the ActivityPub network. Part of my work in the Social Web Community Group at the W3C has been participation in the GeoSocial Task Force. This is a sub-group of the SocialCG that focuses on implementing user stories in ActivityPub related to the intersection of geographical systems and social networking, for example, tagging an image with […]
Read more →어째서인지 모르겠지만 맥에서 PWA로 설치하면 passkey를 쓸 방법이 없다
뭐 하다가 여기까지 왔지... 서비스워커 붙여서 백그라운드 노티, 뱃지 추가하려고 했는데, 로그인 방법이 없어서 어떻게든 해보려다 당했구나
어째서인지 모르겠지만 맥에서 PWA로 설치하면 passkey를 쓸 방법이 없다
skt 유심교체는 언제 될지 모르겠으니 esim으로 가려고 했더니 무슨 esim셀프 개통도 사용자가 많다고 못한다고 막아버렸네...;
@perlmint 근데 Hackers' Pub은 Fresh 2.0 알파 버전을 쓰고 있어서 어떻게 될 지 모르겠네요…
@hongminhee洪 民憙 (Hong Minhee) 이슈랑 PR 이름만 보고 기대했는데, 마지막 갱신과 내용까지 보니까 기대가 사라졌어요...
fresh에서 아직 플러그인이 정적파일을 추가를 못한다고 확인을 했고, 이것에 대한 PR이 올라와 있으니, 머지되고 퍼블리시 되고나면 직접 컴파일러를 실행해서라도 Service worker, PWA 플러그인을 만들 수 있을 것 같다.
https://github.com/denoland/fresh/pull/2253 아니 지금 보니까 작년초에 올라온 PR이었잖아...?
PWA를 설치했을 때 android에서는 끌어서 새로고침이 동작하는데, iOS는 동작하지 않는다.
이런... 컨텍스트 넘쳤나 또 다시 코드 창조를 시작했다.
Claude가 코드에 �를 썼다...
이번 변경으로 홈 화면에 추가로 해커즈펍을 설치하면 android, iOS 양쪽 모두, 단독 앱인 것 같은 느낌으로 쓸 수 있게됩니다. 다만, 이메일의 로그인 링크가 설치 된 쪽으로는 안열리는 문제가 있으니 미리 로그인 된 상태에서 설치를 하셔야 곤란하지 않습니다.
이제 좌우 스크롤바가 거의 안생기고 상단의 필요없는 헤더가 없이 쓸 수 있다!
저도 비슷한 생각인데, Haskell이나 Rust는 코너 케이스를 다루지 않고는 컴파일도 못 하게 금지하는 경우들이 꽤 많고 (그래서 좋은 언어지요), 빠르게 해피 패스만을 검증하고 싶을 때는 Python 같은 널널한 언어(복잡하고 규모가 큰 소프트웨어를 만들 때는 나쁜 언어가 되지요)가 쉽게 느껴질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즉, Haskell이나 Rust가 어렵다고 말할 때의 어려움은 개념적 이해의 난도라기 보다는 시행착오의 커브의 경사를 얘기하는 것 같아요.
비슷한 측면에서 저는 Python의 들여쓰기를 강제하는 문법이 프로그래밍 초심자에게 좋은 습관을 처음부터 정착시키는 데에는 일조할 수 있겠지만, 결코 쉽지는 않다고 생각합니다.
RE: https://hackers.pub/@bgl/01967f97-67ab-7a98-a6e5-16cb3ef31856
fresh에서 아직 플러그인이 정적파일을 추가를 못한다고 확인을 했고, 이것에 대한 PR이 올라와 있으니, 머지되고 퍼블리시 되고나면 직접 컴파일러를 실행해서라도 Service worker, PWA 플러그인을 만들 수 있을 것 같다.
아...? 회사일이랑 전혀 다른 쪽이라 오히려 css에 쉽게 손이 가는건가...?
Huge respect 🫡
@perlmint 무슨 기여든 모두 감사합니다…!!
@hongminhee洪 民憙 (Hong Minhee) 다 제가 보기 편하려고 고치는걸요 ㅎ...
분명 나는 다른걸 기여하고 싶었던 것 같은데 왜 css고치고 있지...?
좁은 화면폭에서 레이아웃 깨지는 케이스 2개 더 확인. 월요일이니 일단 이슈에 올려두어야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