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at is Hackers' Pub?

Hackers' Pub is a place for software engineers to share their knowledge and experience with each other. It's also an ActivityPub-enabled social network, so you can follow your favorite hackers in the fediverse and get their latest posts in your feed.

0
0
1
0
2
1

친구가 외국 반도체회사에 다니는데 이름만 들으면 다 아는 세계에서 손꼽히는 회사다. 1년 전쯤에, 친구가 자기 팀에서 예전부터 쓰고있는 시뮬레이션 코드가 너무 복잡해서 리팩토링 하고 싶다고 나를 찾아왔다. 한 2, 3000줄 되는 Numpy 코드였다.

나는 시뮬레이션의 의미 자체는 전혀 이해를 못하니(이래서 보안문제도 익스큐즈 할수 있었을 것이다), 그냥 코드의 모양만 보고 이상한 부분을 조금씩 고쳐나갔다. 그... 전형적인 물리학자들의 실험실 코드였다(코드를 못짜는건 이해를 하는데, 거기에 대해 한치의 부끄러움도 느끼지 않는다는 점이 뒷목을 잡게 만든다). Numpy 함수도 제대로 활용을 못해놨길래, 나도 Numpy 잘 못쓰지만 대충 이런 함수가 아마 있겠지... 하고 검색해서 찾아내서 교체하고 이런걸 반복했다.

이것저것 고친 다음에 잘돌아가나 한번 실행을 해봤는데, 이럴수가. 시뮬레이션이 1000배 빨라졌다. 아니 뭐, 한 2배 3배 빨라졌으면 내 솜씨라고 자부할텐데, 1000배 빨라진거는 그냥 원래 코드가 똥통이었다고 해석할수 밖에 없다. 구라안치고 정말 1000배다. 1000배의 성능향상의 보답으로 나는 교촌치킨웨지콤보세트를 현장에서 받아먹었다.

그 이후에 어떤 일이 있었냐. 기존 시뮬레이션 코드로는 하루에 시뮬레이션을 2, 3번정도밖에 돌리지 못했는데, 1000배 빨라지고 나니까 결과가 수십초만에 나오니 하루에 수백번 돌릴수 있게 된것이다(내가 고친 코드가 전부는 아니어서 1000배 향상은 아닌데, 가장 큰 병목이긴 해서 결국 100배 이상이라는 듯). 그때부터 100배 많아진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인프라가 필요해졌다. 그래서 거기 개발팀이 데이터베이스와 데이터 파이프라인 구축을 시작하게 되었다고 한다. 그 팀에서는 일종의 특이점이 시작된것이다;;

결론: 교촌치킨웨지콤보 세트는 개맛있었다.

28
2
0
0
0
0
0
8
0

Zig의 comptime이 하지 않는 일들
------------------------------
- Zig의
comptime 기능은 매우 * 강력한 컴파일 타임 평가 기능*을 제공하지만 * 의도적으로 제한적*임
- 컴파일 타임 코드 실행 시 *호스트 정보에 접근 불가능* , 크로스 컴파일에 적합한 설계임
- *동적 코드 생성, DSL, RTTI, I/O 등은 지원하지 않음* , 대신 명시적인 타입 기반 코드 특수화 사용
-…
------------------------------
https://news.hada.io/topic?id=20446&utm_source=googlechat&utm_medium=bot&utm_campaign=1834

0
0
0

홍준표 국민의힘 대선 경선 후보 쪽이 2022년 6월 지방선거 대구시장 선거에 출마했을 때 국민의힘 당원명부를 입수한 뒤 미래한국연구소(명태균씨가 실질 운영한 여론조사 업체)에 여론조사를 의뢰하면서 국민의힘 당원 가운데 홍 전 시장을 지지하는 당원들을 추려내 선거에 활용한 구체적인 정황이 확인됐습니다.

[단독] 홍준표 쪽, 지지해준 당원 2만9천명 개인정보...

0
0
0

홍준표 국민의힘 대선 경선 후보 쪽이 2022년 6월 지방선거 대구시장 선거에 출마했을 때 국민의힘 당원명부를 입수한 뒤 미래한국연구소(명태균씨가 실질 운영한 여론조사 업체)에 여론조사를 의뢰하면서 국민의힘 당원 가운데 홍 전 시장을 지지하는 당원들을 추려내 선거에 활용한 구체적인 정황이 확인됐습니다.

[단독] 홍준표 쪽, 지지해준 당원 2만9천명 개인정보...

0
0

I took a look at the top “tech” podcasts and holy SHIT all but, like… 2? of them are just straight up fascist propaganda by VC firms promoting their defense investments or lifestyle scams from right-wing bros? Obviously we don’t need any more podcasts, but it made me think I should bring mine back.

0

근데 뭐 개혁한다고 다른 데 권한을 강화하면 거기가 이상해진다. 경찰 약화시키고 검찰 강화하니까 이 꼴이 난 거라. 분야가 겹치는 관청을 몇 개 두는 방법이 일단 생각이 나지만 효율 안 좋다고 반대가 많을 것 같고.

0
0
0
0
0
0

There's a lot of problems with the phrase, but there's also a very human germ of truth to "hurt people hurt people." It's not, and never can be, an excuse for abuse and malfeasance, but it does identify a pattern --- when we're hurting, it's easier to accidentally hurt others.

I think about that as I watch the immense amount of barely checked harm that the Trump administration and fascists movements more generally are inflicting. We're all stressed as fuck, and it's easy to hurt each other.

0

四天連假最後一天 :blobcatmeltcry: :blobcatmeltcry: :blobcatmeltcry:
這幾天好像都沒辦法睡很多

昨天伴侶問5/6月要不要來個小旅行。之前跟我說日本有點去膩了,原來是只要不是東京/關西就可以

一直跟他說就小松 > 金澤 > 富山這樣的路線就好了

不過接下來不知道轉職有沒有把握,然後大學朋友那邊又在啾,因為各種原因推了對方幾年了,我完全不知道怎麼辦

大人的煩惱就是有錢去但都沒有時間 :cate:

0
1

친구가 외국 반도체회사에 다니는데 이름만 들으면 다 아는 세계에서 손꼽히는 회사다. 1년 전쯤에, 친구가 자기 팀에서 예전부터 쓰고있는 시뮬레이션 코드가 너무 복잡해서 리팩토링 하고 싶다고 나를 찾아왔다. 한 2, 3000줄 되는 Numpy 코드였다.

나는 시뮬레이션의 의미 자체는 전혀 이해를 못하니(이래서 보안문제도 익스큐즈 할수 있었을 것이다), 그냥 코드의 모양만 보고 이상한 부분을 조금씩 고쳐나갔다. 그... 전형적인 물리학자들의 실험실 코드였다(코드를 못짜는건 이해를 하는데, 거기에 대해 한치의 부끄러움도 느끼지 않는다는 점이 뒷목을 잡게 만든다). Numpy 함수도 제대로 활용을 못해놨길래, 나도 Numpy 잘 못쓰지만 대충 이런 함수가 아마 있겠지... 하고 검색해서 찾아내서 교체하고 이런걸 반복했다.

이것저것 고친 다음에 잘돌아가나 한번 실행을 해봤는데, 이럴수가. 시뮬레이션이 1000배 빨라졌다. 아니 뭐, 한 2배 3배 빨라졌으면 내 솜씨라고 자부할텐데, 1000배 빨라진거는 그냥 원래 코드가 똥통이었다고 해석할수 밖에 없다. 구라안치고 정말 1000배다. 1000배의 성능향상의 보답으로 나는 교촌치킨웨지콤보세트를 현장에서 받아먹었다.

그 이후에 어떤 일이 있었냐. 기존 시뮬레이션 코드로는 하루에 시뮬레이션을 2, 3번정도밖에 돌리지 못했는데, 1000배 빨라지고 나니까 결과가 수십초만에 나오니 하루에 수백번 돌릴수 있게 된것이다(내가 고친 코드가 전부는 아니어서 1000배 향상은 아닌데, 가장 큰 병목이긴 해서 결국 100배 이상이라는 듯). 그때부터 100배 많아진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인프라가 필요해졌다. 그래서 거기 개발팀이 데이터베이스와 데이터 파이프라인 구축을 시작하게 되었다고 한다. 그 팀에서는 일종의 특이점이 시작된것이다;;

결론: 교촌치킨웨지콤보 세트는 개맛있었다.

28
2
0

There's a lot of problems with the phrase, but there's also a very human germ of truth to "hurt people hurt people." It's not, and never can be, an excuse for abuse and malfeasance, but it does identify a pattern --- when we're hurting, it's easier to accidentally hurt others.

I think about that as I watch the immense amount of barely checked harm that the Trump administration and fascists movements more generally are inflicting. We're all stressed as fuck, and it's easy to hurt each other.

0
0
0
0

미쓰비시 자동차가 랜서 에볼루션으로 WRC에서 날리던 시절 엔지니어들의 인터뷰를 읽은 적이 있는데, 전자제어 시스템이 터보, 사륜구동, 스티어링 등을 자동 조절 하게 되면서 직접 조작의 경험과 감각이 풍부한 프로 레이서에게 방해가 되지 않을까 걱정했었다고 한다. 터보의 경우 전자제어로 반응을 리니어하게 만들 수 있는데 이게 터보의 반응 특성에 익숙한 사람에게 좋을지 몰랐던 것.

하지만 실제로는 리니어리티를 올린 전자 제어 랠리카에 탄 레이서의 기록이 훨씬 좋았다고. 엔지니어에게는 엄청나게 복잡한 보조 제어를 하는 인위적?인 출력 특성의 엔진이었지만 정작 다루는 레이서에게는 출력을 직선적으로 쭉 뽑아주는 좋은 엔진일 뿐이었고, 오히려 귀찮은 출력 제어를 안 하니 더 중요한 코스 공략에 집중할 수 있었던 이유. 이후 미쓰비시 랠리카 팀은 전자제어에 올인하면서 기존 유럽 팀들을 압도하며 황금기를 구가한다.

AI도 그런 도구라고 생각함. 아직 우리는 AI가 뭘 잘 할 수 있는지도 모르지만, 그걸 찾으면 귀찮은; 일은 그거에 맡기고 인간은 인간이 잘 하는 일에 집중하면 된다. 그게 지금까지 인간이 해오던 일이라도 다른 일들이 줄면 그 성과는 또 달라지기 마련이다. 단기적으로는 직업들이 없어지는 문제는 분명 있고 대응이 필요하지만 강력한 도구가 주어지면 사람들은 더 많은 성과를 내려고 새로운 일자리를 만들 거라 낙관한다.

0
0
0
0
0

친구가 외국 반도체회사에 다니는데 이름만 들으면 다 아는 세계에서 손꼽히는 회사다. 1년 전쯤에, 친구가 자기 팀에서 예전부터 쓰고있는 시뮬레이션 코드가 너무 복잡해서 리팩토링 하고 싶다고 나를 찾아왔다. 한 2, 3000줄 되는 Numpy 코드였다.

나는 시뮬레이션의 의미 자체는 전혀 이해를 못하니(이래서 보안문제도 익스큐즈 할수 있었을 것이다), 그냥 코드의 모양만 보고 이상한 부분을 조금씩 고쳐나갔다. 그... 전형적인 물리학자들의 실험실 코드였다(코드를 못짜는건 이해를 하는데, 거기에 대해 한치의 부끄러움도 느끼지 않는다는 점이 뒷목을 잡게 만든다). Numpy 함수도 제대로 활용을 못해놨길래, 나도 Numpy 잘 못쓰지만 대충 이런 함수가 아마 있겠지... 하고 검색해서 찾아내서 교체하고 이런걸 반복했다.

이것저것 고친 다음에 잘돌아가나 한번 실행을 해봤는데, 이럴수가. 시뮬레이션이 1000배 빨라졌다. 아니 뭐, 한 2배 3배 빨라졌으면 내 솜씨라고 자부할텐데, 1000배 빨라진거는 그냥 원래 코드가 똥통이었다고 해석할수 밖에 없다. 구라안치고 정말 1000배다. 1000배의 성능향상의 보답으로 나는 교촌치킨웨지콤보세트를 현장에서 받아먹었다.

그 이후에 어떤 일이 있었냐. 기존 시뮬레이션 코드로는 하루에 시뮬레이션을 2, 3번정도밖에 돌리지 못했는데, 1000배 빨라지고 나니까 결과가 수십초만에 나오니 하루에 수백번 돌릴수 있게 된것이다(내가 고친 코드가 전부는 아니어서 1000배 향상은 아닌데, 가장 큰 병목이긴 해서 결국 100배 이상이라는 듯). 그때부터 100배 많아진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인프라가 필요해졌다. 그래서 거기 개발팀이 데이터베이스와 데이터 파이프라인 구축을 시작하게 되었다고 한다. 그 팀에서는 일종의 특이점이 시작된것이다;;

결론: 교촌치킨웨지콤보 세트는 개맛있었다.

28
2
0

Show HN: GitHub 코드베이스를 쉬운 튜토리얼로 변환하는 AI
------------------------------
- AI를 활용하여 GitHub 코드베이스를 초보자 친화적인 튜토리얼로 변환하는 프로젝트인 Pocket Flow
- GitHub 저장소를 크롤링하여 코드의 핵심 추상화를 분석하고 시각화를 통해 복잡한 코드를 쉽게 이해할 수 있는 튜토리얼로 변환함
- AI가 자동으로 생성한 다양한 GitHub 저장소의 예시 결과 제공
- 프로젝트…
------------------------------
https://news.hada.io/topic?id=20436&utm_source=googlechat&utm_medium=bot&utm_campaign=1834

0
0

친구가 외국 반도체회사에 다니는데 이름만 들으면 다 아는 세계에서 손꼽히는 회사다. 1년 전쯤에, 친구가 자기 팀에서 예전부터 쓰고있는 시뮬레이션 코드가 너무 복잡해서 리팩토링 하고 싶다고 나를 찾아왔다. 한 2, 3000줄 되는 Numpy 코드였다.

나는 시뮬레이션의 의미 자체는 전혀 이해를 못하니(이래서 보안문제도 익스큐즈 할수 있었을 것이다), 그냥 코드의 모양만 보고 이상한 부분을 조금씩 고쳐나갔다. 그... 전형적인 물리학자들의 실험실 코드였다(코드를 못짜는건 이해를 하는데, 거기에 대해 한치의 부끄러움도 느끼지 않는다는 점이 뒷목을 잡게 만든다). Numpy 함수도 제대로 활용을 못해놨길래, 나도 Numpy 잘 못쓰지만 대충 이런 함수가 아마 있겠지... 하고 검색해서 찾아내서 교체하고 이런걸 반복했다.

이것저것 고친 다음에 잘돌아가나 한번 실행을 해봤는데, 이럴수가. 시뮬레이션이 1000배 빨라졌다. 아니 뭐, 한 2배 3배 빨라졌으면 내 솜씨라고 자부할텐데, 1000배 빨라진거는 그냥 원래 코드가 똥통이었다고 해석할수 밖에 없다. 구라안치고 정말 1000배다. 1000배의 성능향상의 보답으로 나는 교촌치킨웨지콤보세트를 현장에서 받아먹었다.

그 이후에 어떤 일이 있었냐. 기존 시뮬레이션 코드로는 하루에 시뮬레이션을 2, 3번정도밖에 돌리지 못했는데, 1000배 빨라지고 나니까 결과가 수십초만에 나오니 하루에 수백번 돌릴수 있게 된것이다(내가 고친 코드가 전부는 아니어서 1000배 향상은 아닌데, 가장 큰 병목이긴 해서 결국 100배 이상이라는 듯). 그때부터 100배 많아진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인프라가 필요해졌다. 그래서 거기 개발팀이 데이터베이스와 데이터 파이프라인 구축을 시작하게 되었다고 한다. 그 팀에서는 일종의 특이점이 시작된것이다;;

결론: 교촌치킨웨지콤보 세트는 개맛있었다.

28
2
0

「我的強項是 Vibe Coding,最熟悉的 AI 是 Claude + ChatGPT 組合。我看不懂任何一種程式語言,但我可以從零開始,做出一款可以上線運作的 Web app。不挑資料庫,任意框架,不論什麼功能,只要規格明確,我都有把握做得出來。」

當你的團隊來了一位這樣的角色,你的心情如何?是很期待,還是很抖?

0

Gemma 3 QAT 모델: 최첨단 AI를 소비자 GPU에 도입
------------------------------
- 지난달 발표한
Gemma 3 는 최첨단 성능을 제공하는 오픈 AI 모델이며, NVIDIA H100 같은 *단일 고성능 GPU에서도 실행 가능* 함
- *QAT(Quantization-Aware Training)* 기법을 적용한 * 경량화 버전*을 출시하여 이제 * 소비자용 GPU*에서도 실행 가능해짐
- *int4 양자화** 덕분에 * 메모리 사용량이 크…
------------------------------
https://news.hada.io/topic?id=20444&utm_source=googlechat&utm_medium=bot&utm_campaign=1834

0

장르론 얘기하다가: "나는 장르 관행으로 플롯 진행이나 설정 요소 같은 거는 환영인데, 장르 요소로 캐릭터 유형이 포함되는 게 마음에 안 들어. 비슷한 인물 반복되는 거 재미 없어." "그거는 순문학만큼 심한 게 없어. 다들 섹스에 미쳤고 다들 외로워."

0
0
0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