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 세상에 결국 해냈구나!!!
구슬아이스크림
@icecream_mable@hackers.pub · 61 following · 45 followers
인간의 언어처리와 LLM의 언어처리를 서로 비교하는 전산심리언어학(Computational Psycholinguistics)을 연구했'었'습니다.
하지만 CS덕질이 더 재밌다는 걸 깨닫고선 대학원을 탈출했습니다.
요즘은 데이터 엔지니어링과 컴파일러가 재밌어요.
Github
- @kihyo-park
Blog
- kihyo-park.github.io
Linkedin
- kihyo-park
리트딩코 3개 풀었다..이지 문제들은 로직 짜는데는 성공했지만 구현에서 막혀서 살짝 고생했고 미디엄은 처음엔 이거 스택으로 푸는 건가 했는데 그러면 너무 복잡해져서 한 30분 고민하다가 솔루션 보니깐 그냥 인풋을 하향식으로 정렬시키면 좀 쉬워진다는 걸 깨달음..근데 푸는 방식이 좀 흥미로워서 재밌게 풀었다. 이제 DB 책 읽어야지..오늘은 relational algebra/calculus 읽을 거임. DB 수업 들었을 때도 제일 재밌게 들었던 파트 중 하나였는데 다시 보려고 하니깐 설렌다.
지금부터 야간 모각작을 시자아ㅏㅏㅏㅏㅏㅏㅏㅏㅏㅏㅏㅏㅏㅏㅏㅏ악하겠습니다!!!!!!
서버 이름들을 쭉 써 보다가
한국에 연합우주 서버가 참 많구나…했습니다
3.14t 나온 기념으로 러스트로 된걸 다시 파이썬으로 재작성하죠?
대만의 COSCUP, 벨기에의 FOSDEM에 이어, 국내에서도 개인 및 소규모 오픈 소스 프로젝트를 위한 FOSS for All 컨퍼런스가 드디어 열립니다! 🇰🇷
오는 11월 8일(토), 광운대학교에서 개최되며 저도 이번 행사에서 발표자로 참여하게 되었습니다.
🗣️ 발표 주제: “식탁보 프로젝트 다섯돌, 바뀐 것과 바뀌지 않은 것”
식탁보 프로젝트가 세상에 나온 지 벌써 5년이 되었네요. 처음엔 AI가 없던 시대에 시작했지만, 이제는 AI가 세상을 바꾸고 있고, 식탁보도 그 여정 위에 있습니다.
다섯 해 동안의 변화와, 여전히 지켜온 가치들에 대해 진솔하게 이야기 나누려 합니다.
오픈 소스, 기술, 그리고 커뮤니티를 사랑하는 분들이라면 꼭 한 번 참석해보세요!
👉 참가 신청: https://event-us.kr/fossforall/event/110400
현장에서 함께 이야기 나눌 수 있기를 바랍니다. 🙌
#FOSSforAll #OpenSource #식탁보프로젝트 #TableCloth #광운대학교 #Conference
Announcement: AltStore becomes a financial contributor to Fedify
We're thrilled to announce that AltStore has become a financial contributor to Fedify! This generous support comes as part of AltStore's broader commitment to strengthening the open social web ecosystem, as they prepare to become the world's first federated app store. Their investment in Fedify and other fediverse projects demonstrates a shared vision for building a more open, interoperable digital future.
AltStore's journey into the fediverse represents a groundbreaking approach to app distribution—connecting their alternative app marketplace with the open social web through ActivityPub. As pioneers who have already pushed Apple to change App Store policies twice in their first year, AltStore understands the transformative power of open protocols and decentralized systems. Their support will help Fedify continue developing robust tools and libraries that make it easier for developers to build federated applications. We're deeply grateful for AltStore's trust in our project and look forward to seeing how their innovative federated app store will reshape mobile app distribution while strengthening the entire fediverse ecosystem.
https://rileytestut.com/blog/2025/10/07/evolving-altstore-pal/
VRChat 세상은 위험하단다! 격리 컨테이너를 가져가렴.
Meta(구 Facebook), 내부 사용하던 AI용 고성능 압축 솔루션 'OpenZL' 오픈소스로 공개
------------------------------
Meta(구 Facebook)가 내부적으로 사용해 온 고성능 데이터 압축 프레임워크 'OpenZL'을 오픈소스로 공개했습니다. 특히 AI 및 머신러닝 워크로드와 같이 방대한 양의 특수 데이터셋 처리에 최적화된 OpenZL은, 기존 범용 압축 솔루션의 한계를 뛰어넘는 *높은 압축률* 과 *빠른 속도* 를 동시에 제공합니다.
…
------------------------------
https://news.hada.io/topic?id=23498&utm_source=googlechat&utm_medium=bot&utm_campaign=1834
확실히 기술서적에서 보는 SQL이랑 DB 전공서적에서 보는 SQL이랑은 느낌이 다르다...난 후자가 더 좋음
DB 꿀잼
오늘의 구호
펀하게 쿨하게 섹시하게
오 ㅋㅋ 곧도착 표시가 언제 이렇게 바뀌었지 ㅋㅋㅋㅋ 귀엽다
연휴 동안엔 DB랑 러스트를 파야겠다
우와 오랜만에 보는 규칙기반 전문가 시스템이당...다른 분야는 깜냥이 없다시피해서 모르겠지만 언어학, 특히 통사론 및 전산심리언어학(Computational Psycholinguistics)쪽은 내가 마지막으로 연구덕질 했을 때 시점 기준으로 봤을 때 많이들 연구되는 문법이론이랑 모델들 중 거의 대부분이 규칙 기반이었다. 예컨대 통사론의 경우 생성문법쪽에선 넓게 말하면 CFG를 자연어쪽에 적용될 수 있게끔 확장 및 변형시켜서 이론화 시킨 거고, 그걸 기반으로 해서 규칙들 만들어서 코퍼스에다가 POS 태깅 학습 시키고 그러곤 함..전산심리언어학쪽에선 꽤나 자주 봤었던 모델이 ACT-R이라 해서 닝겐의 인지과정, 특히 작업 및 장기기억에 포커스를 맞춰서 구현한 인지아키텍처가 하나 있는데 이거 갖고 닝겐의 언어처리를 시뮬레이션한 거랑 실제로 사람 대상으로 해서 얻은 행동반응 데이터를 비교해서 연구하는 게 있었음..그리고 이것 또한 규칙기반 시스템이다.
물론 LLM이 나오고나서부턴 관심이 많이들 바뀌었지만..discussion에 달린 댓글에도 적혀있듯 이런 규칙기반 시스템의 이점은 모델이 '왜' 이런 결정을 했고 맛이 갔는지(?) 잘 알 수 있다는 건데, 효율적으로 잘 돌아가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만큼 '왜' 그러한 방식으로 돌아가는 것 또한 중요하게 여기는 연구자들한텐 확실히 이 시스템이 LLM에 비하면 이해하고 설명하기 용이하긴 하다. 물론 LLM도 비슷하게 interpretability라는 활발한 분야가 있고 나도 대학원 다닐 때 그 쪽으로 연구했지만 확실히 규칙기반 모델 갖고 쓴 논문들이 이해하기도 쉽고 깔끔해서 좋긴 했었음...하지만 그런 논문들을 읽을 때 마다 동시에 모델이 깔고 있는 가정과 rationale에 종속되어버린 채 결과를 해석할 수도 있다는 생각도 떠오르면서 어찌보면 LLM이 그런 면에선 좀 더 제한이 덜 하지 않을까한 생각도 했었다. 여튼 오랜만에 규칙기반 시스템 보니깐 반가워서 써봤습니다.
Building the official Hackers' Pub iOS app with Claude Code.
오늘은 TRPG 하는 날!!!
You can't parse XML with regex. Let's do it anyways
Link: https://sdomi.pl/weblog/26-nobody-here-is-free-of-sin/
Discussion: https://news.ycombinator.com/item?id=45478300
#cosmoslide 작업 내역
-
https://github.com/cosmoslide/cosmoslide/pull/45 PDF 업로드 기능이라도 구축은 해야할 것 같아서 진행함. 보통은 express라던가 등등 JS 기반의 웹서버 프레임워크에서는 파일시스템/S3/GCS 등의 스토리지에 파일을 업로드할때, 스토리지에 접근하는 과정 자체를 추상화하는 flydrive라는걸 쓰는데, flydrive는 NestJS에서 사용이 되지 않는 ESM-only 모듈이어서, 어떻게 해야 하나 하다가 Claude Code한테 AWS S3에 접근하는 것만 적당히 추상화해서 야크쉐이빙 해달라고 했더니 그냥 순식간에 되었다. 문서를 뜯어보고 구현해야하는 수고는 줄었고, aws sdk를 어떻게 활용하는지는 가성비있게 학습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
https://github.com/cosmoslide/cosmoslide/pull/46 프로필 화면에 Presentation 탭을 넣었고, 프레젠테이션 파일을 업로드하면 Create(Note) 액티비티가 발생되도록 처리했다. react-pdf 이용해서 커스텀 PDF 뷰어 적당히 끼워넣었다.
A Comparison of Ada and Rust, Using Solutions to the Advent of Code
Link: https://github.com/johnperry-math/AoC2023/blob/master/More_Detailed_Comparison.md
Discussion: https://news.ycombinator.com/item?id=45473861
아 모야 람다로 풀 수 있는 거였다니 난 멍충해 ㅠ
그래프 행렬 문제 재밌네 뭔가 되게 다이나믹 해보여서 신기함
여름에 졸업하고 급하게 미국에서 한국으로 오느라 이민가방을 못 들고 친구한테 맡기고 왔는데 친구가 보내줄 수 있다고 해서 무한 감사 중…흑 겨울옷 안 사도 된다!!! 덤으로 학교에서 월급 못 받은 거 있으니깐 받으라 해서 그것도 받을 수 있게 됨 후훟
오오오오!!! 짱 재밌어요!!
@icecream_mable구슬아이스크림 모든 패키지들이 CRAN에 올라온 것도 아니기 때문에 devtools의 install_github()같은걸 써야하고, renv는 lockfile이 있긴 하지만 제가 겪은 프로젝트들에선 라이브러리 설치 과정에서 C/C++ 심지언 포트란 코드를 컴파일 해야하고 이럴 때 컴파일러 버전 등에 영향을 많이 받았습니다.
이게 개발자 입장에서만 불편하면 모르겠는데 연구자들도 어려워합니다 근데 이걸 다른 언어들은 이러한 문제를 공학적으로 어떻게 해결했는지를 모를 뿐이죠.
@nebuletoHaze 아, 그런 경우가 있었죠. 맞아요 생각해보니 저도 install_github() 함수 쓰면서 한 번 애먹었던 경험이 있었네요. @_@
연휴 시작 기념 나를 먹는 나!!!
@icecream_mable구슬아이스크림 몇 년 전 R로 연구하는 곳들의 인프라나 코드 최적화 등을 지원했는데, R은 일단 패키지 매니저로 환경을 재현 가능하게 만드는게 불가능하다는 점에서 R은 저와는 가까워지기 어렵다고 생각합니다.
@nebuletoHaze 그런 이슈가 있었군요. 저는 그 수준에서는 안해보았고 순전히 직접 데이터 다루고 분석하는 유저 입장에서는 이미 적었듯 이만한 언어가 없다고 생각하거든요. 꽤나 마이너 하다고 생각했던 고급 통계검정 기법까지 지원하는 패키지도 있고 관련 CRAN 문서들도 되게 잘 정리되어 있어서 대학원에서 연구할 때도 많이 애용했었는데 개발자 입장에선 또 많이 불편한 언어가 맞긴 맞나보네요.
R 싫어하는 프로그래머들이 적지 않은 건 알고 있지만 통계 관련 해선 이만한 언어는 없다고 생각하는데 트위터 탐라 보다가 R 갖고 뭐라하는 거 막상 보니깐 맘이 아프다 ㅠ
백엔드도 재밌어 보이고 데이터 분석도 재밌어 보이고 데이터 엔지니어링도 재밌어 보이고...대학원 다닐 때 연구덕질 했던 거랑 뭔가 큰 맥락에서 진행 과정들이 비슷한 것 같아 보여서 기시감과 동시에 알 수 없는 친근감도 느껴지고...그렇습니다.
리액트, Next.js로 완성하는 프론트엔드 - TypeScript 기본기부터 React, Next.js를 활용한 프로젝트, Git/GitHub까지 (강경석 (지은이) / 영진.com(영진닷컴) / 2025-10-20 / 36,000원) https://feed.kodingwarrior.dev/r/GwRzhD
https://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373331965&partner=openAPI&start=api
오늘은 (enhanced) ER model 챕터들 좀 읽고 러스트 덕질 좀 하다가 리트딩코 몇 개 풀고 자야겠당
DB 책 보는데 논리학 기본 파트들을 쭉 훑어주길래 올만에 복습이나 할까 하면서 보고 있는데 문제는 영어 원어가 안 적혀져있고 다 번역어로만 적혀있어서 다시 역으로 번역하면서 보고 있음...정량자는 quantifier, 속박변수는 bound variable, 범용정량자는 universal quantifier 등등..이런 용어들 학교 다닐 때 형식 의미론 수업에서 영어로만 배웠지 (근데 그마저도 가르치는 교수가 막말로 더럽게 못 가르쳤음) 한국어로는 사실상 처음 보는 거라서 좀 헤매고 있다 😵💫
구슬아이스크림 shared the below article:
PyCon JP 2025 후기
Jaeyeol Lee @kodingwarrior@hackers.pub
이 글은 PyCon JP 2025에 참가한 한국인 개발자의 생생한 후기를 담고 있습니다. 저자는 PyCon KR에 꾸준히 참여해왔지만, 해외 컨퍼런스는 처음이라 설렘과 기대를 안고 일본으로 향했습니다. 히로시마에서 열린 이번 행사에서 저자는 다양한 세션에 참여하고, Findy와 Python Asia Association에서 주최한 DrinkUp 파티, 그리고 PKSHA Technology의 파티에 참여하며 여러 개발자들과 교류했습니다. 특히 FastAPI 개발자인 tiangolo와의 만남, Neovim을 사용하는 데이터 엔지니어와의 공감대 형성, 그리고 Emacs 사용자에게서 느낀 위기감 등 재미있는 에피소드들이 인상적입니다. "Innovation is a side effect of solving problem"이라는 tiangolo의 어록은 깊은 인상을 남겼습니다. 이 글은 PyCon JP가 외국인을 위한 배려가 돋보이는 행사였으며, 다양한 주제의 세션과 네트워킹 기회가 많았음을 강조합니다. 다음 PyCon JP에 발표자로 참여하고 싶다는 의지를 밝히며, 한국 커뮤니티도 외국인이 즐길 수 있는 컨텐츠가 늘어나기를 바라는 마음을 전합니다.
Read more →부산 내려가자마자 딩코 해야할 거 있어서 첫날 오전 공연들은 놓쳤지만 그래도 그 날 포함 총 3일 동안 정말로 재밌게 보냈다...울고 웃고 방방 뛰고 슬램 하고 목소리 터져라 노래 따라부르고 누군지도 모르는 사람들이랑 진흙밭에서 같이 춤추고 어깨동무하고 기차놀이하고..어른인 척 하나도 안 해도 되어서 너무 좋았음 내년에 갈 수 있으면 또 가야지!! 이제 다시 딩코의 세계로!!
예전에 우스개소리로 낮에는 프로그래머 저녁에는 락밴드 기타리스트로서의 삶을 살고 싶다고 했는데 정신 차리고 보니 진짜 IT쪽으로 취준하고 있고..오타쿠 밴드에서 곧 공연한다고 열심히 기타 연습하고 있고..둘 다 잘 돼면 정말 행복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인생의 대부분을 락음악을 좋아했던 사람으로서 밴드 활동을 실제로 하고 또 밴드 음악을 좋아하는 사람들을 위한 서비스를 해보고 싶은데 뭐가 있을까? 그런 게 있으면 누가 좀 데려가줬으면 좋겠고 아니라면 혼자서 좀 생각해봐야할 듯...스포티파이같은 음원 스트리밍 서비스가 메인인 곳에서 일해보고 싶기도 하다..물론 뽑아주면! 부산락페에서 너무 재밌게 즐기는 와중에 생각나서 써봄.
오늘의 딩코는 여기까지!! 이제 부산락페 가서 씐나게 즐길 거야!!!!!
Resurrect the Old Web
Link: https://stevedylandev.bearblog.dev/resurrect-the-old-web/
Discussion: https://news.ycombinator.com/item?id=45372113
도배금지 필터링 따위...2000년대 초반 야생의 온라인 게임 시절을 거친 날 막을 수 ㅇ벗다
대학원 다닐 때 주로 썼던 통계기법이 일반화/선형 혼합효과 모형(+베이지언)이었는데 데이터 분석쪽에서 쓰이는 가설검정 기법들은 딱 통계분석 책 피면 항상 나오는 t-test, ANOVA나 책 후반 챕터들에 나오는 Chi-squared test 같은 것들이 대부분인 것 같다. 역사가 깊고 보수적인 기법들이라서 그런 건가? 비슷하게 A/B testing도 처음에 볼 때 이게 뭐지 하다가 그냥 two-sample independent sample design[1] 갖고 검정 돌리는 거였다는 걸 깨닫고 나선 이름을 왜 이렇게 헷갈리게 지었을까 싶었음...여튼 실제 산업에서 쓰이는 데이터는 샘플 사이즈가 나 대학원 다닐 때 썼던 거에 비하면 엄청 커서 뭔가 복잡한 걸 쓸 것 같았는데, 저번에 파이콘에서 알게된 데이터 분석가분한테 얘기 들은 것도 그렇고 오히려 크니깐 그냥 안전빵(?)으로 t-test같이 많이들 알려져 있는 걸 쓰는 건가 싶다. 뭐...무슨 기법을 쓰든 결국엔 데이터를 얼마나 잘 모았느냐가 제일 중요한 거겠지만.
아마도 실제 현업에서는 또 구체적으로 어떻게 실험 디자인을 짜느냐에 따라 달라질 거라 뇌피셜을 세워봄 ↩︎
데이터 분석가를 위한 데이터 엔지니어링 기초 다지기 with Python - 2025년 초판 (Evan (지은이) / 부크크(bookk) / 2025-09-02 / 37,300원) https://feed.kodingwarrior.dev/r/GGS0a8
https://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373019408&partner=openAPI&start=api
연결리스트 거꾸로 하는 거 오랜만에 다시 보니깐 머리 터질 것 같아
부산락페 갈 준비 얼추 완료...!! 오늘은 (easy의 탈을 쓴) 알고리즘 문제들 쭉 풀다가 자야겠다
이번주 일본어 과외 받는 거 끝...이제서야 동사 존댓말/반말 + 부정/과거부정이랑 여기서 나오는 불규칙 변화들이 좀 머릿속에 들어오는 듯. 역시 언어학 전공했더라도 외국어 배우는 거랑은 그닥 크게 상관 없다니깐? 결국엔 달달달 외워서 자꾸 써봐야함...그래도 일본어 선생님이 보통 여기가 히라가나 다음에 겪는 통곡의 벽이라고 하셨는데 잘 하고 있다고 해주셔서 기분 좋았다.
Introduction to Programming Languages
Link: https://hjaem.info/itpl
Discussion: https://news.ycombinator.com/item?id=45311498
Please help me list math formalization projects looking for volunteers:
너무 이른 시점에 일반화를 걱정하는 것은 위험할 수 있습니다. 자신이 코드를 작성하든 다른 사람의 코드를 이해하려 하든, 우리는 이 책에서 취한 접근 방식을 따를 것을 권장합니다. 즉, 일반적인 것부터 시작하지 말고 구체적인 예시부터 시작하세요. 그런 다음 그들이 어떤 측면을 공유하는지 관찰하세요. 학습자로서 이러한 순서는 더 쉬운 구체적인 예시를 토대로 더 어려운 추상적 개념을 이해할 기회를 더 많이 제공합니다. 저자로서 이러한 순서는 더 추상적인 발상이 타당성을 갖고 목적을 지닐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 《Finding Success (and Failure) in Haskell》, 149쪽



서버메이드 깐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