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이카페 iOS/Android 테스트 버전이 출시되었습니다. 누구나 베타에 참여할 수 있어요. 다음 링크에서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iOS: https://testflight.apple.com/join/ZYS7gR8r
Android: https://play.google.com/apps/testing/cafe.oeee
@icecream_mable@hackers.pub · 61 following · 45 followers
인간의 언어처리와 LLM의 언어처리를 서로 비교하는 전산심리언어학(Computational Psycholinguistics)을 연구했'었'습니다.
하지만 CS덕질이 더 재밌다는 걸 깨닫고선 대학원을 탈출했습니다.
요즘은 데이터 엔지니어링과 컴파일러가 재밌어요.
오이카페 iOS/Android 테스트 버전이 출시되었습니다. 누구나 베타에 참여할 수 있어요. 다음 링크에서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iOS: https://testflight.apple.com/join/ZYS7gR8r
Android: https://play.google.com/apps/testing/cafe.oeee
Writing software is an act of learning. Don’t automate it.
Link: https://martinfowler.com/articles/llm-learning-loop.html
Discussion: https://news.ycombinator.com/item?id=45841056
구슬아이스크림 shared the below article:
JakeSeo @jakeseo@hackers.pub
이 글은 컴퓨터 공학에서 '회귀(Regression)'라는 용어가 사용되는 두 가지 주요 맥락, 즉 머신러닝과 소프트웨어 테스팅에서의 의미를 명확히 구분하여 설명합니다. 머신러닝에서는 변수 간의 관계를 모델링하여 값을 예측하는 기법을 의미하며, 그 기원과 함께 집값 예측 예시를 들어 이해를 돕습니다. 반면 소프트웨어 테스팅에서는 과거의 버그가 재발하는 현상을 검증하는 과정을 지칭하며, 개발이 '뒤로 회귀했다'는 표현으로 설명합니다. 이 글을 통해 독자는 회귀라는 용어가 가진 다의성을 이해하고, 각 분야에서 어떻게 활용되는지 명확히 파악할 수 있습니다.
Read more →I want a good parallel language [video]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0-eViUyPwso
Discussion: https://news.ycombinator.com/item?id=45807993
구슬아이스크림 shared the below article:
Jaeyeol Lee @kodingwarrior@hackers.pub
이 글은 Web Browser Engineering을 독학하며 겪은 경험을 담고 있으며, 특히 Chapter 2의 연습문제 풀이에 대한 내용을 다룬다. Chapter 2는 브라우저 주소창에 입력을 감지하는 과정부터 HTML을 화면에 렌더링하는 과정을 개괄적으로 설명한다. 마우스나 키보드 입력이 CPU를 통해 커널에 인터럽트 요청으로 전달되고, 브라우저가 이를 처리하여 서버와 통신하며, 최종적으로 그래픽 시스템을 통해 화면에 표시되는 과정을 요약한다. 이벤트 루프의 역할이 중요하지만, 챕터에서는 텍스트를 화면에 출력하는 수준으로 다룬다. 연습문제 중 Emoji 지원과 RTL(Right-to-Left) 지원에 대한 해결 방법이 제시된다. 특히 RTL 지원을 위해, 저자는 텍스트를 한 줄 단위로 묶어 GUI 툴킷이 RTL 순서를 처리하도록 하고, 라인의 시작점을 계산하여 화면 오른쪽에 맞춰 출력하는 방법을 사용했다. Emoji의 경우, 좌표를 미리 지정하여 텍스트 라인과 분리하여 처리함으로써 문제를 해결했다. 이 글은 브라우저 엔진의 기본적인 동작 원리를 이해하고, 실제 구현 과정에서 마주칠 수 있는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여 독자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다.
Read more →대용량 트래픽 처리를 어떻게 경험하냐 물어보는데 사실 이정도만 해도 됨.
1. 큐 시스템 지연을 해결해본 경험 (예: 8시간까지 큐 지연이 있는걸 확인했고 이걸 구조 변경을 통해 해결한 경험)
2. 정적 데이터 요청은 최대한 근원 프로세스까지 도달하지 않게 캐시하여 네트워크 전송 비용 절감 및 응답속도 향상 경험
3. 불특정 다수가 참여하는 텍스트 메시징 서비스에 동영상이 포함되는 경우, 온전하게 동영상 처리하면서도 메시지 교환을 지연시키지 않는 경험
4. 새해 등 기념일에 늘어나는 메시지로 인해 다른 서버가 터져도 내 서버만은 비용 상승이나 큐 지연 없이 서비스 제공해본 경험.
이정도만 모의로 집에서 해보길 강추드림.
제가 집필한 책이 출간되어 소개해봅니다. 현재 예약판매 상태예요. Python과 FastAPI 기술스택을 다루는 내용인데, 주제이자 핵심 내용은 서비스를 개발해 출시하여 운영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어요. 출시해 운영하는 데 학습하고 다루기 좋은 도구가 Python과 FastAPI여서 이 두 도구를 다루는 거지요. Python, FastAPI은 Back-end Application Server 개발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특히 데이터 처리와 AI 개발을 하는 분들도 교양처럼 학습하고 다루어서 빠르게 저변을 넓혀가고 있습니다.
교보문고 https://gilbut.co/c/25109056bV 예스24 https://gilbut.co/c/25103487Bh 알라딘 https://gilbut.co/c/25106075TC
FastAPI를 이용해 서비스 개발부터 출시까지 더 쉽고 효율적으로 학습하고 경험한다!
서비스를 기획하고 만드는 것도 쉽지 않지만, 실제로 세상에 출시하고 운영하는 일은 그보다 더 많은 시행착오와 노하우를 요구한다. 로컬 호스트에서 구동하는 과정에서는 드러나지 않던 문제들이 출시하는 과정에서 드러나기도 하고, 그에 따라 장애와 복잡도도 함께 늘어난다. 그래서 이 책은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를 구현하는 데 그치지 않고, 실제 서비스를 출시하는 과정까지 함께 다룬다. 이때 사용하는 도구가 너무 어렵거나 복잡하면 끝까지 완주하기 어려운데, 그 점에서 FastAPI는 배우기 쉽고 빠르게 결과를 확인할 수 있어 실전 프로젝트를 경험하기에 적합하다.
이 책은 약속 잡기 웹 서비스를 하나의 프로젝트로 삼아, 기획부터 구현, 배포까지의 모든 흐름을 따라간다. 1~6장에서는 요구 사항 정의, 설계, 환경 구성 등 개발에 필요한 기반을 다지고, 7~12장에서는 본격적인 기능 구현과 프런트엔드 및 외부 서비스(구글 캘린더)와의 연동을 다룬다. 13~14장에서는 깃허브와 AWS를 활용한 배포와 운영 방법을 살펴본다. 전체 과정에서 테스트 주도 개발(TDD)과 애자일 개발 방식의 일부 요소를 적용해 실제 개발 현장에 가까운 흐름을 따라가며, 각 기능이 끝날 때마다 테스트를 통해 완성도를 높여간다. 이 책 한 권으로, FastAPI를 이용한 웹 서비스 개발과 출시 전 과정을 실습 중심으로 온전히 체험할 수 있다.
🥒📲 오이카페가 드디어 앱으로 출시됩니다. 앱이 성공적으로 출시될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모바일 앱 베타 테스트 신청서를 받고 있습니다. 부스트 해주시면 감사합니다! 많관부! https://forms.gle/bm72C1dm8hviUSN36
EuroLLM: 유럽에서 개발된, EU 24개 공식 언어를 지원하는 LLM
------------------------------
- EuroLLM 은 유럽 내 연구기관이 공동 개발한 *24개 공식 EU 언어 지원 대형언어모델(LLM)* 로, 유럽의 *AI 주권과 기술 자립* 을 목표로 함
- *9B 파라미터 모델* 로, 35개 언어에서 *4조 개 이상의 토큰* 으로 학습되어 *질문응답, 요약, 번역 등 언어 과제에 강점* 을 보임
- EuroLLM 9B Base 는 파…
------------------------------
https://news.hada.io/topic?id=23986&utm_source=googlechat&utm_medium=bot&utm_campaign=1834
악기 연습에 쓰려고 만든, 정해진 코드 진행에서 3도/5도 워킹 라인을 랜덤 생성하는 앱.
from scratch에서 2시간 가량 써서 만들었습니다.
프런트엔드는 잘 몰라서 그냥 tailwind 쓰고 카드 나열했네요 😅
구슬아이스크림 shared the below article:
Jaeyeol Lee @kodingwarrior@hackers.pub
이 글은 Web Browser Engineering 교재를 독학하며 연습문제를 풀이하는 과정을 담고 있습니다. 저자는 추상화 수준에 대한 고민을 드러내며, URL 클래스의 request 메서드 대신 Connection 클래스를 도입하여 소켓 관리를 더 자연스럽게 처리했습니다. 또한, 타입 힌트 적용과 pytest를 이용한 유닛 테스트 환경 구축 등 실습 환경을 풍성하게 구성하는 데 LLM의 도움을 받아 효율성을 높였습니다. 연습문제 풀이에서는 keep-alive 지원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TCP handshake 비용 절감 여부를 직접 실험해볼 것을 권장합니다. 리다이렉션 문제에서는 Location 헤더의 다양한 케이스 처리와 최대 리다이렉션 횟수 제한을 고려해야 함을 지적합니다. 캐싱 문제에서는 Cache-Control 헤더의 다양한 옵션에 대한 처리 방법을 제시하고, 압축 문제에서는 Transfer-Encoding: chunked 헤더 처리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전반적으로 이 글은 단순한 문제 풀이를 넘어, 브라우저 엔진의 동작 원리를 깊이 이해하고 실제 코드에 적용하는 과정을 보여줍니다. 독자들은 이 글을 통해 연습문제 풀이에 대한 힌트를 얻을 뿐만 아니라, 브라우저 개발에 대한 실질적인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
Read more →Vibe Coding in the 90s
Link: https://ssg.dev/vibe-coding-in-the-90s/
Discussion: https://news.ycombinator.com/item?id=45700266
구슬아이스크림 shared the below article:
蛇崩 (じゃくずれ) @ja@hackers.pub
이 글은 프로그래밍 용어 "expression"을 "표현식"이 아닌 간결한 "식"으로 번역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필자는 "expression"이 수학에서 유래되었으며, 수학에서는 이미 "식"으로 번역되어 사용되고 있음을 지적합니다. 또한, 프로그래머들이 "표현식"을 선호하는 이유로 사전적 정의와 초·중등 교육에서 비롯된 선입견을 들지만, 실제로는 "식"으로 번역해도 의미 전달에 전혀 문제가 없다고 강조합니다. 오히려 "표현식"은 "representation"의 번역어인 "표현"과 혼동될 수 있으며, "정규표현식"과 같이 불필요하게 긴 용어를 만들어낼 수 있다고 비판합니다. 결론적으로, 필자는 "expression"을 "식"으로 번역하는 것이 더 정확하고 간결하며, 전산학 용어의 일관성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주장하며, "정규식"이라는 간결한 용어 사용을 옹호합니다.
Read more →오픈소스 생태계의 ‘보이지 않는 노동’ — 절반은 기록되지 않는다
------------------------------
## 오픈소스 생태계의 ‘보이지 않는 노동’ — 절반은 기록되지 않는다
*저자:* John Meluso (Cornell Univ.), Amanda Casari & Katie McLaughlin (Google LLC), Milo Z. Trujillo (Northeastern Univ.)
*발행:* 2024년 1월, ACM 논문 사전 공개본
*원문:* [arXiv:2401.06889v2](
------------------------------
https://news.hada.io/topic?id=23856&utm_source=googlechat&utm_medium=bot&utm_campaign=1834
데이터베이스 설계, 이렇게 하면 된다 - 정규화부터 클라우드 대응 설계, ER 다이어그램 작성, 성능 튜닝, 안티패턴 회피, 실무에서 쓸 수 있는 그레이 노하우까지 담은 전문가의 DB 설계 비법서, 제2판 (미크 (지은이), 윤인성 (옮긴이) / 제이펍 / 2025-10-30 / 27,000원) https://feed.kodingwarrior.dev/r/6Cz4QR
https://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375002773&partner=openAPI&start=api
구슬아이스크림 shared the below article:
RanolP @ranolp@hackers.pub
이 글은 프로그램에서 이름 충돌을 피하고 코드를 정확하게 평가하기 위한 방법으로 de Bruijn index를 소개한다. 변수 이름으로 인한 혼란을 해결하기 위해 α-변환을 설명하고, de Bruijn level과 index를 통해 변수를 숫자로 표현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특히, de Bruijn index는 변수가 얼마나 바깥 스코프를 참조하는지 나타내어, 형식적 증명에서 이름 없는 변수들을 다루는 데 유용함을 강조한다. 이를 통해 코드의 본질을 명확히 하고, 형식적 증명 과정에서 동일한 것을 쉽게 식별할 수 있게 된다.
Read more →
구슬아이스크림 shared the below article:
洪 民憙 (Hong Minhee) @hongminhee@hackers.pub
이 튜토리얼은 Fedify를 사용하여 ActivityPub 프로토콜을 구현하는 마이크로블로그를 만드는 과정을 안내합니다. Fedify는 연합 서버 앱 개발의 복잡성을 줄이고, 개발자가 비즈니스 로직에 집중할 수 있도록 돕는 TypeScript 라이브러리입니다. 튜토리얼에서는 Node.js, npm, Hono 등의 개발 환경을 설정하고, SQLite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계정 생성, 프로필 페이지, 액터 구현, 암호 키 관리, 팔로우 기능, 게시물 작성 및 타임라인 구현 등 마이크로블로그의 핵심 기능을 단계별로 구현합니다. 특히 ActivityPub.Academy 서버를 활용하여 실제 연합우주 환경에서의 연동을 테스트하고, Mastodon과의 호환성을 확인합니다. 마지막으로, 보안 및 기능 개선을 위한 추가 과제를 제시하며, 독자가 프로젝트를 확장할 수 있도록 안내합니다. 이 튜토리얼을 통해 독자는 Fedify를 활용하여 ActivityPub 기반의 분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구축하는 기본적인 이해를 얻을 수 있습니다.
Read more →백준 등 프로그래밍 문제에서 계산한 결과를 10^9+7로 나눈 나머지를 출력하라 지시하는 경우가 많은데, 오버플로우를 막기 위함인건 알았지만 그 값을 소수로 사용하는 이유는 오늘 처음 알았다. 그 값이 소수여야 모듈러 곱셈 역원을 구할 수 있기 때문이다. (10^7+9는 10자리인 첫 번째 소수이기 때문에 자주 사용된다고 한다.)
풀어 말하자면 실수에서 2를 나누는 것과 1/2를 곱하는 것 대신 군 안에서는 2를 나누는 대신 모듈러 했을 때의 곱셈 역원인 정수를 대신 곱해줄 수 있는데, 모듈러하는 값이 소수일 때만 곱셈 역원이 항상 존재한다.
예시: 팩토리얼, 조합 경우의 수와 같이 매우 큰 수를 계산할 때 곱셈 역원을 사용할 수 있음
C(n, k) = n! x (k!)^-1 x ((n-k)!)^-1 (mod p)
소수가 아닌 경우 아래같은 케이스가 있음 e.g. (m = 8, a = 1, b = 2) 1 / 2 mod{8}을 구할 수 없음
https://www.geeksforgeeks.org/dsa/modulo-1097-1000000007 https://www.quora.com/What-exactly-is-print-it-modulo-10-9-+-7-in-competitive-programming-web-sites
오이카페 로컬로 들어가본 건 처음인데 ㄹㅇ 오이카페 커뮤도 가능하겠는데? 커뮤니티 기능도 있고 fedify도 붙여놔서...
오이카페에 초대제 커뮤니티 기능이 추가되었습니다! 기존에는 링크를 알면 참여할 수 있는 커뮤니티 기능이 있었는데, 초대제 커뮤니티는 명시적으로 초대를 받아야 커뮤니티를 열람하고 커뮤니티에서 활동할 수 있습니다. 많관부! https://oeee.cafe
SQL Anti-Patterns You Should Avoid
Link: https://datamethods.substack.com/p/sql-anti-patterns-you-should-avoid
Discussion: https://news.ycombinator.com/item?id=45626985
한국의 함수형 프로그래밍 컨퍼런스 LiftIO 2025가 슬슬 열린다고 한다.
I analyzed 200 e-commerce sites and found 73% of their traffic is fake
Link: https://joindatacops.com/resources/how-73-of-your-e-commerce-visitors-could-be-fake
Discussion: https://news.ycombinator.com/item?id=45590681
How AI hears accents: An audible visualization of accent clusters
Link: https://accent-explorer.boldvoice.com/
Discussion: https://news.ycombinator.com/item?id=45581735
Pyrefly: Python type checker and language server in Rust
Link: https://pyrefly.org/?featured_on=talkpython
Discussion: https://news.ycombinator.com/item?id=45579275
Why Study Programming Languages
Link: https://people.csail.mit.edu/rachit/post/why-study-programming-languages/
Discussion: https://news.ycombinator.com/item?id=45576623
Ok? I did a lot haha. Ive been focusing on this Sep and last days of Oct, as a consequence, the midterm and lots assignments await me?
HTTP3 Explained
Link: https://http3-explained.haxx.se
Discussion: https://news.ycombinator.com/item?id=45565646
Can't count how many times i shot finger-gun myself 🫶🫶🫶🫶🫶🫶🫶 Thaaanks
연휴이후 첫 출근, 한글이름 정렬이 안된다는 오류를 받아서, order by name 을 빼먹었을 리 없다고 생각하면서, 오류를 추적했는데,
order by 가 적용되어 있었고,결과적으로 문제는 PostgreSQL에서 한글 ORDER BY 정렬 문제 해결하기 COLLATE 이슈와 동일한 현상이었다.
(내부 docker postgre:17.4 와 AWS RDS PostgreSQL 17.2 모두) 기본값 en_US.UTF-8 이 적용되어 있었고, 한글 정렬순서가 올바르게 나오지 않았다.
SELECT datname, datcollate, datctype
FROM pg_database
WHERE datname = current_database();
|datname |datcollate |datctype |
|--------|-----------|-----------|
|postgres|en_US.UTF-8|en_US.UTF-8|
ko_KR.UTF-8 로 새 로케일 지정해서 데이터베이스 새로 만들고, 덤프 백업 & 복원처리를 진행해서 해결은 완료했는데,
간단하게 COLLATE "C" 로도 한글정렬문제를 해결 할 수 있겠다 싶었는데, ChatGPT와 이것저것 논의해본 결과(?) 문자코드순 정렬이라서 사전식 정렬과는 다소 차이가 있어서 완전한 해결책은 아닌 듯 싶다.
(비슷하게나마 해결은 되지만)
데이터베이스를 새롭게 만드는 게 어려우면, 특정 컬럼에만 COLLATE 를 지정해서 변경할 수 있다.
ALTER TABLE 테이블명
ALTER COLUMN 컬럼명 TYPE 데이터타입 COLLATE "C";
서비스가 아직 한국어와 영어만 지원해서, 별다른 고민없이 ko_KR.UTF-8로 처리하기는 했는데, 일본어나 중국어까지 지원하면 결국 Collation을 C 로 해야하는 것은 아닌가 싶은 생각도 들고,
ko_KR.UTF-8에서 일본어,중국어도 다 잘 정렬되지 않을까 싶은 생각도 들고, 혹은 정렬이 중요한 포인트라면 언어별로 컬럼을 파야할 것인가 하는 고민은 있는데, 일단은(?) 나중에 다시 고민하기로 했다.
Database Linting and Analysis for PostgreSQL
Link: https://pglinter.readthedocs.io/en/latest/
Discussion: https://news.ycombinator.com/item?id=45513408
11월 중순~11월 말 사이에 해커스펍 오프라인 밋업 Hackers' Public 두번째 모임을 진행하려고 하는데 "눈물없이 듣기 어려운 프론트엔드의 심연" 특집입니다...... 11월 1일~11월 8일 사이에 모집 공고 올릴듯????? 아직은 오피셜한 공지는 아니지만 정보만 슬쩍 흘려봅니다,,,
'Death to Spotify': the DIY movement to get artists and fans to quit the app
Link: https://www.theguardian.com/technology/2025/oct/12/spotify-boycott-artists
Discussion: https://news.ycombinator.com/item?id=45559852
@sadservers SRE/DevOps 엔지니어를 위한 LeetCode 같은 서비스 인 것으로 보인다
YTN에서 편두통의 심각성에 대해 기사로 다뤄주시면서 인터뷰에 나오게 되었습니다. 편두통은 단순히 개인을 넘어 사회 전체에 큰 부담을 가져오는 질병입니다. 환자들이 적절한 진단을 받고 필요한 치료를 빠르게 받을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되는 것이 환자 개인에게도, 주변 사람들에게도, 우리 사회 전체에 큰 이익을 가져옵니다.
기사에서는 편두통에 심각성을 주로 다뤄주셨는데 저는 잘 치료 받으면서 잘 관리하고 있습니다! 편두통은 전문 치료제를 받아서 전조가 오거나 통증이 시작될 때 빠르게 약을 먹으면 효과가 좋은 편입니다.
#cosmoslide 작업일지 251012
이번에는 Announce 액티비티 지원하는 작업을 진행 중인데, 해커스펍이 어떻게 구현되어 있는지 하나하나 뜯어보면서 작업 중이다. 고려해야 할 사항이 몇 가지 있는데... 당장은 쉬운 것 순서대로 작업할 것들을 정리하고 있다.
Announce 액티비티를 인박스에서 수신하는 과정을 핸들링한다. (원격에서는 followers에 cc 걸어서 Announce 액티비티를 전송하기 때문)Announce 액티비티를 전달하는 매커니즘을 구현한다.지금은 Phase 1에 신경쓰고 있는 상황. 허나, Phase 1을 작업하고 있는 과정에서 병목이 생겼다. 다행히 해결했다만.
Follow 액티비티가 언제부턴가 전송이 안되고 있어서 왜 그런가 했는데, 프로덕션 배포하는 과정에서 federation 옵션을 바꾼게 화근이 되었음. 백엔드와 프론트엔드가 하나로 합쳐져있을때는 origin 옵션에 URL 하나만 걸어두면 그만인데, 백엔드/프론트엔드 나눠놓은 상황에서는 프론트전용 URL(webOrigin)/백엔드전용 도메인(handleHost) 각각 분리를 해야했음. 그와 관련된 패치를 어제 했었던 것으로 기억한다.
변경사항이 있었다는걸 까먹은 상태에서, 로컬환경에서 원격 인스턴스에 Follow 액티비티가 왜 Unauthorized 에러가 뜨면서 전송이 되지 않았나했는데... 역시 이런 맥락이 있었던 것. 즉, handleHost(백엔드쪽 도메인)은 Tailscale에서 생성한 URL로 들어가는 반면, webOrigin은 localhost로 설정이 되어 있었기 때문에 서명하는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한 것임. NODE_ENV 환경변수가 development 인 경우에만 webOrigin/handleHost를 같은값을 쓰는 걸로 임시방편으로 처리함. 관련 코드
Apache Sedona DB - Geospatial을 지원하는 싱글노드 분석형 DB 엔진
------------------------------
- *지리공간(geospatial) 처리* 를 핵심으로 설계해 *벡터·래스터 연산* 과 *공간 최적화* 를 내장한 *단일 노드 분석형 DB 엔진* 오픈소스
- 목표는 *가장 빠른 공간 분석 쿼리 속도* 와 *폭넓은 함수 커버리지* 제공
- 로컬 머신이나 단일 클라우드 인스턴스에서 *소·중형 데이터셋* 처리를 지향하고, …
------------------------------
https://news.hada.io/topic?id=23594&utm_source=googlechat&utm_medium=bot&utm_campaign=1834
오는 11月 8日 光云大學校에서 開催되는 FOSS for All 컨퍼런스 2025에서 제가 〈야크 셰이빙: 새로운 오픈 소스의 原動力〉이라는 主題로 基調演說을 하게 되었습니다!
올해 처음 열리는 FOSS for All 컨퍼런스는 “Free and Open Source Software for All”이라는 슬로건 아래, 모두를 爲한 오픈 소스 컨퍼런스를 目標로 하는 非營利 오픈 소스 커뮤니티 컨퍼런스입니다.
새 블로그를 소개합니다: Gatsby에서 Astro로의 전환과 Contentful CMS 제거
blog.te6.in/post/blog-v2
새 블로그를 소개합니다
구슬아이스크림 shared the below article:
Ailrun (UTC-5/-4) @ailrun@hackers.pub
이 글은 함수형 언어의 핵심 개념을 람다 대수를 통해 소개하며, 함수형 언어의 평가 방식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제공합니다. 람다 대수의 기본 요소인 변수, 함수, 함수 호출을 설명하고, 값에 의한 호출(CBV)과 이름에 의한 호출(CBN)의 차이점을 명확히 분석합니다. 특히, 폴 블레인 레비의 "값 밀기에 의한 호출(CBPV)"을 소개하며, 이 방식이 CBV와 CBN을 모두 포괄할 수 있는 강력한 도구임을 강조합니다. CBPV가 함수와 함수 호출을 스택 기반으로 어떻게 다르게 해석하는지, 그리고 이를 통해 람다 대수를 기계 수준으로 컴파일할 때 얻을 수 있는 이점을 설명합니다. 항수 분석과 같은 최적화 기법을 CBPV를 통해 어떻게 더 명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지 보여주며, GHC 컴파일러의 중간 언어로서 CBPV의 중요성을 부각합니다. 이 글은 함수형 언어의 깊은 이론적 배경과 실제 컴파일러 구현 사이의 연결고리를 탐구하고자 하는 독자에게 유용한 통찰력을 제공합니다.
Read more →해커스바라니
해커스펍하고 잘 어울리는
서버 이름들을 쭉 써 보다가
한국에 연합우주 서버가 참 많구나…했습니다
3.14t 나온 기념으로 러스트로 된걸 다시 파이썬으로 재작성하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