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디버스에서 어떤 사람들을 팔로하면 좋을까?

Jaeyeol Lee @kodingwarrior@hackers.pub
Hackers' Pub을 포함하여 페디버스에 입문한 여러분 중 누군가는 막막한 생각이 들 수도 있습니다. 특히 지인의 Pool이 없는 상황이거나 혹은 Fediverse라는 개념 자체가 낯설 수록이요.
먼저 인스턴스라는 개념도 낯설게 느껴지거니와, 어떤 사람을 팔로할 지도 아예 생태계에 쌩으로 입문하는 입장에서는 시작을 하는 것 자체가 난해합니다.
Hackers' Pub을 포함한 ActivityPub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서비스들의 장점은 Bluesky, Mastodon, Misskey 어디에든 걸쳐있는 사람들과 하나로 연결되는 경험을 누릴 수 있다고 언급한 적은 있었습니다만, 이러한 장점을 어떻게 누릴 수 있는지도 알기는 어려울 겁니다.
보통은 트위터나 혹은 다른 알고리즘 기반의 추천을 해주는 여러 서비스들은 좋아하는지 취향에 맞는지와는 상관없이 일단 추천하긴 하지만, 페디버스는 국내 생태계 한정으로는 추천을 하기가 쉽지 않은 것 또한 사실이긴 합니다. 하지만, 해외개발자 Pool은 굉장히 넓은 것이 자명합니다. 물론, 이것도 역시 추천을 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여러분이 혹시 단골로 찾아보는 개발자 블로그가 있다면 Mastodon 계정이 보이는 경우를 최소 두 자릿수는 준하게 보실 수 있을 것이긴 합니다.
UPD(2025-07-12): 2025년 7월 기준으로, Mastodon 4.4 버전에서는 알고리즘 기반의 계정 추천 기능이 생겼습니다.
아무튼, 페디버스 생태계에도 소프트웨어 종사자인 여러분이 읽을만한 피드는 준비되어 있습니다. 팔로해볼 수 있는 여러 계정들을 예시로 들어서 소개해볼까 합니다.
개발자들이 모여있는 인스턴스
어떤 마스토돈 인스턴스를 이용할 수 있는지는 **여기**에도 잘 설명되어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추천하는 마스토돈 인스턴스는 아래와 같습니다.
국내
- silicon.moe -- 이공계열에 종사하는 사람들을 위한 한국어권 마스토돈 인스턴스입니다.
- Hackers' Pub -- 개발자를 위한 블로깅 서비스입니다. ActivityPub 프로토콜을 지원하여서 ActivityPub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페디버스에서 구독이 가능합니다.
해외
- hachyderm.io -- IT 업계 종사자를 위한 마스토돈 인스턴스입니다. 대부분의 유명한 개발자들이 여기에 몰려있다고 봐도 됩니다.
- emacs.ch -- Emacs 에디터를 사용하는 사람들을 위한 마스토돈 인스턴스입니다.
- functional.cafe -- 함수형 개발자를 위한 마스토돈 인스턴스입니다.
- genserver.social -- Erlang/Elixir 개발자를 위한 Akkoma 인스턴스입니다.
- ruby.social -- Ruby 개발자를 위한 마스토돈 인스턴스입니다.
- mtd.pythonasia.org -- 아시아권의 Python 개발자를 위한 마스토돈 인스턴스입니다.
- fosstodon.org -- 오픈소스 개발자를 위한 마스토돈 인스턴스입니다. Python Software Foundation, Libre Office 등 오픈소스 프로젝트의 공식계정들이 많이 있습니다.
- hci.social -- HCI 연구자들을 위한 마스토돈 인스턴스입니다. Princeton HCI에서 운영하고 있습니다.
- vt.social -- 개발 분야 버츄얼 유튜버를 위한 마스토돈 인스턴스입니다. Asahi Lina, Luna가 공동 운영하고 있습니다.
Who to follow
Twitter/Threads에서는 자체적인 추천 알고리즘을 통해 어떤 계정을 팔로하면 괜찮을지 제안을 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마스토돈은 그런 기능 쪽으로는 미비하다시피합니다.
개발 관련 정보를 구독하고 싶은 분들의 입장에서는 굉장히 치명적일 수도 있습니다. 아래에서는 어떤 개발자에게든 팔로할 것을 권장하는 계정들을 소개합니다.
공식
- W3C (w3c@w3c.social) - 계정 이름/인스턴스만 봐도 아시겠듯이 웹표준에 대한 소식이 올라옵니다.
- Cloudflare (cloudflare@noc.social) - 클라우드플레어의 공식 계정입니다.
- Charm bracelet (charmcli@mastodon.social) - 서로 vimrc 파일을 공유하던 FOSS 개발자들끼리 모여서 창업한 회사, Charm Bracelet의 공식계정인데요. 터미널 도구가 발전되는 양상이 궁금하시다면 팔로해보는 것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개발 관련 뉴스
- Geeknews Bot (geeknews_bot@sns.lemondouble.com) -- GeekNews의 피드를 실시간으로 받아볼 수 있습니다.
- Hackernews
- Hacker News 500 (hn500@social.lansky.name) -- Hacker News 에서 500 포인트 받은 글들을 볼 수 있습니다.
- Hacker News 100 (hn100@social.lansky.name) -- Hacker News 에서 100 포인트 받은 글들을 볼 수 있습니다.
- Hacker News 50 (hn50@social.lansky.name) -- Hacker News 에서 50 포인트 받은 글들을 볼 수 있습니다.
- Lobsters (lobsters@mastodon.social) -- Lobsters는 Hacker News 보다는 좀 더 소프트웨어 개발/컴퓨터 사이언스에 초점이 맞춰진 글들이 올라옵니다.
- Twitter 공식 계정도 있었지만, 트위터의 Bot 관련 정책 변경으로 인해 2023년 5월 3일부로 운영이 중단되었습니다.
- discu.eu Weekly newsletter - 각종 분야별로 newsletter를 받아볼 수 있습니다.
오픈소스 컨트리뷰터
- Hong minhee (hongminhee@hollo.social) -- Hackers' Pub, Hollo, Fedify 등 페디버스 생태계에서 다양하고 재밌는 것들을 개발하고 계시는 분입니다.
- Eugen Rochko (Gargron@mastodon.social) -- Mastodon 코어 컨트리뷰터입니다.
- Mitchell Hashimoto (mitchellh@hachyderm.io) - HashiCorp 공동창업자이자 터미널 에뮬레이터 Ghostty 개발자입니다. 터미널에 관심있는 분들이라면 구독하는 것도 나쁘지 않을 것 같습니다.
- Rob Pike (robpike@hachyderm.io) -- Golang 개발자로 유명한 사람 맞습니다.
- Asahi Lina (lina@vt.social) -- Asahi Linux에 기여하는 모습을 생중계하는 버츄얼 유튜버입니다.
- b0rks (b0rk@social.jvns.ca) -- 개발자를 위한 N컷 만화를 연재하는 분입니다. Make Hard Things Easy라는 강연도 유명하니 한번씩은 보시는걸 권장합니다.
- Gergely Orosz (gergelyorosz@mastodon.online) - Pragmatic Engineer 뉴스레터를 운영을 하고 있으면서, 한국에서는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가이드북으로 이름이 알려진 게르겔리 오로스입니다.
- Kent Beck (kentbeck@hachyderm.io) - 익스트림 프로그래밍(XP)으로 유명한 사람이죠?
- Bob Nystrom (munificent@mastodon.social) - Dart 코어 개발자이면서 Game Programming Patterns, Crafting Interpreters 라는 책으로 유명합니다.
- Bashbunni (bashbunni@mastodon.social) - Golang을 주력으로 하는 개발 스트리머입니다. 위에서 소개한 charmbracelet에서 DevRel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 Simon Willison (simon@fedi.simonwillison.net) - Django를 개발한 사람으로도 유명합니다. (2025-07-12 기준) 요즘에는 LLM/Vibe Coding/Agentic Coding 등의 주제로 글을 많이 올립니다. 관심있다면 구독 권장합니다.
그 외에는...?
그 외에도, 관심이 가는 분야가 있으시다면 해당 분야 쪽 사람들이 모여있는 인스턴스를 눈여겨보시는 것을 권장합니다.
그 외에도 팔로할만한 계정이나 눈여겨볼만한 인스턴스가 있다면 댓글로 알려주세요! 여러분들의 댓글이 처음 입문하는 분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