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ndows에서 ssh 건너 linux 위에서 도는 zellij에 뭔가 마우스 관련 이벤트 전송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마우스 포인터가 움직였을 뿐인데 상당히 규칙적으로 패널 레이아웃이 바뀌고, 키 입력이 발생해 있다.
Perlmint
@perlmint@hackers.pub · 86 following · 73 followers
크로스 플랫폼 빌드 고치는 노동자
잡담은
@meperlmint 에서
Github
- @perlmint
Bluesky
- bsky.perlmint.dev
Windows terminal과 alarcitty에서 발생
Windows에서 ssh 건너 linux 위에서 도는 zellij에 뭔가 마우스 관련 이벤트 전송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마우스 포인터가 움직였을 뿐인데 상당히 규칙적으로 패널 레이아웃이 바뀌고, 키 입력이 발생해 있다.
Helix이제 좀 손에 익는 것 같긴 한데 거의 쓰지도 않은 vim 키 입력을 자꾸 한다. 애매하게 비슷한 느낌이 있어서 그런 듯. Emacs 쓸때는 그래본 적이 없고, Helix에 Emacs 키 입력을 하는 일은 없다.
Helix, gitui, alacritty는 다 windows배포를 하는데, zellij만 공식 미지원 상태라 빌드도 깨져 있다. Helix는 내부에서 터미널을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zellij를 같이 써야 좋겠는데, 아쉽다.
Web UI는 잘 짜주는 편인데, TUI는 왜 이렇게 모양만 만들고 말까? 이것도 ts/js로 시키면 제대로 데이터 연결을 하려나...?
회사에서 하는 코드는 lsp가 거의 항상 죽어있어서 자동완성 안된다고 불만을 느낄 수가 없다...
그냥 백신 때문에 느려지지 않고 가벼우면 만족 수준 아닌가...
회사에서 하는 코드는 lsp가 거의 항상 죽어있어서 자동완성 안된다고 불만을 느낄 수가 없다...
새 에디터 찾다가 helix 고르고는 zellij, alacritty 까지 쓰고, gitui도 다시 꺼내보고 있돠.
11월 중순~11월 말 사이에 해커스펍 오프라인 밋업 Hackers' Public 두번째 모임을 진행하려고 하는데 "눈물없이 듣기 어려운 프론트엔드의 심연" 특집입니다...... 11월 1일~11월 8일 사이에 모집 공고 올릴듯????? 아직은 오피셜한 공지는 아니지만 정보만 슬쩍 흘려봅니다,,,
이쯤 하면 이걸로 밈 쪄도 되는 거 아니냐
아이폰은 역시 KT 라면서 프로필 업데이트를 10년을 뭉개는 게 어딨음 ㅋㅋㅋㅋㅋㅋㅋ
전자신문 기자, 2015: 어 이거 IPSec 없어서 문제있는데요?
KT, SKT, LGU+: ㅇㅇ 고쳤음
(10년후)
KT: 어 우리 왜 IPSec 아이폰에서 꺼져있냐 (26 dev beta 3 에 프로필 업데이트를 밀어넣으며)
PSA: 아이폰을 KT에서 사용 중이라면 즉시 iOS 를 26 developer beta3 버전 이상으로 업데이트 하십시오
이유가 궁금하시면 https://blog.quendi.moe/2025/10/11/ko-%ec%9d%b4%eb%8f%99%ed%86%b5%ec%8b%a0-%eb%b3%b4%ec%95%88-%eb%93%a4%ec%97%ac%eb%8b%a4%eb%b3%b4%ea%b8%b0-pt1-%ea%b0%80%ec%a7%9c-%ea%b8%b0%ec%a7%80%ea%b5%ad/ 를 읽어보시면 됩니다
위치 기반의 상호명이 필요한 서비스를 만든다면 DB가 문제겠지
개인적으로 일반적인 사람에겐 이 이유는 멍멍이소리라고 생각함. 트위터에 알고리즘 타임라인이 들어가고, Grok이 들어가고 할때마다 이탈하는 유저들도 많았지만 신세대 유저들은 그거 자체에 익숙해졌음. 구글이 나를 분석한 결과를 살펴보는 놀이도 있었고.
요약: 대부분의 사람들은 개인정보 별로 신경 안 씀
RE: sns.lemondouble.com/notes/adp7ptwsye
그렇다면 왜 셀프호스트를 하는가?
글쌔요 왜하지 (긁적) 각각 다 다른듯?
- 소셜 계정의 경우, 운영 측의 간섭을 받지 않기 위해
- 백업이나 NAS의 경우, 비싼 월간 요금 대신 직접 내 장비에 돈을 투자하려고 (장기적으로 보면 이득일까? 라는 얄팍한 사고)
- 암호 저장이나 노트 등 중요한 정보를 넣을 수 있는 경우: 해킹 피해를 피하려고. 거대 서비스는 해킹하는 맛이 있는 목표지만 개인 서버는 자동봇으로 치는 것 외에는 별 가치가 없어서, 보안 수준이 서비스보다 떨어져도 가치는 있다고 생각함
종합하자면 셀프호스트를 하는 이유는 "셀프호스트가 거기에 있기에" ...읍읍... 부수적인 딸려오는 효과가 꽤나 마음에 들어서, 장비를 버릴수도 없어서 남이있는다고 보면 맞을듯?
오는 11月 8日 光云大學校에서 開催되는 FOSS for All 컨퍼런스 2025에서 제가 〈야크 셰이빙: 새로운 오픈 소스의 原動力〉이라는 主題로 基調演說을 하게 되었습니다!
올해 처음 열리는 FOSS for All 컨퍼런스는 “Free and Open Source Software for All”이라는 슬로건 아래, 모두를 爲한 오픈 소스 컨퍼런스를 目標로 하는 非營利 오픈 소스 커뮤니티 컨퍼런스입니다.
비동기 spawn 넘어 어딘가에서 발생하는 패닉
아냐... 옛날 리눅스 배포판에서 빌드 하고 있는게 더 큰 문제지...
gui를 포기하고 tui로 포팅을 시킨다
의존성 빌드 지옥에 들어섰다. gtk 싫어...
아냐... 옛날 리눅스 배포판에서 빌드 하고 있는게 더 큰 문제지...
의존성 빌드 지옥에 들어섰다. gtk 싫어...
갑자기 MiHome으로 Home assistant 에 연결해놨던 로보락 청소기가 안뜨고, 재연결도 안된다. 커펌 지원하는 구형모델이다. 하지만 뚜껑따고 납땜해야 올릴 수 있는데...
아니, 대체 백업을 어떻게 했길래 3개월치가 없어???
@server_destroyer
수다쟁이 렌게쨩 (お喋りレンゲちゃん)
6월 22일에 G-클라우드로 전환작업을 했었데요.
그때 지금 국정자원으로 들어갔다가 사단이 나서 일단 등기/소포 업무는 쳐야되니까 이전 서버 다시 키고 그걸로 업무본거에요.
그래서 29일에 집배원들 헬게이트 열렸다고... 수기 수령증 썼다고 들었어요. 그 때 배달할 물건들이 전산에 뜰리가 없었으니까요
요약이 될 수 없는 내용을 요약하니...
Building the official Hackers' Pub iOS app with Claude Code.
블스 CEO가 정신상태 나락 가버려서 사용자들한테 "니들 돈이라도 한 푼 냈음?" 시전...
여러분 정신상태가 안 좋으면 SNS 부터 끄세요
클로드 결제하고는 한동안 별로 못 써서 좀 아깝다...
openwrt의 wireguard-tools는 luci에서 설정을 바꿔도 잘 적용이 안된다. ssh로 들어가서 network service를 아예 재시작해야 적용이 되는게 있다. 이제 동작하네...
연휴에 안내려가게 되었으니 뭔가... 좀 의욕을 내서 해봐야겠다
I'll write a detailed blog post soon, but I'm thrilled to share that Fedify has received investment from the Sovereign Tech Fund, which means I'll be able to focus exclusively on the Fedify project for the next year or so.
早晩間 블로그 글로 仔細히 풀겠지만, Fedify 프로젝트가 STF로부터 投資를 받게 되어, 제가 앞으로 約 一年 동안 Fedify 프로젝트에만 專念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테스트에서는 동작하는데 왜... 뭐가 빠졌지...
원인 찾았다
테스트에서는 동작하는데 왜... 뭐가 빠졌지...
최근 (오픈소스) 프로젝트 관련해서 종종 연락을 받고 있습니다. 대체로, 검토해보겠다던 기능이 추가되는데 왜이렇게 늦어지냐는 내용으로 추정됩니다.
추정인 이유는 건너서 들은 것도 있기 때문입니다.
제가 이 글을 올리는 이유는 상당히 험한 말도 나왔다는걸 전해 들었기 때문입니다.
저는 외부의 어떠한 보수도 받지 않고 혼자서 정규업무 외 시간에 제 프로젝트의 개선과 이슈사항을 해결하고 있습니다.
최근에 개인적 사유로 커밋 빈도가 줄었던 것은 맞지만 그럼에도 우선순위가 높은 작업은 너무 늦어지지 않도록 노력했습니다.
제 프로젝트로 구축 및 운영을 하시는 분들이 있다고 하니 늘 감사하게 생각합니다만, 저는 이 일을 보수를 받고 하지 않습니다.
혹여 답답하신 분이라면 깃허브에 올라와있는 제 프로젝트 내용물을 통채로 복사해서 전문 개발 업체에 커스터마이징을 맡기시길 바랍니다.
그렇게 나온 결과물에 대해선 독점권 행사도 무리없이 행사하실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돕겠습니다. 감사합니다.
If you are using Vercel, will you cancel your account and move your hosting elsewhere now that they publicly support and work with genocidial fascists?
If you're curious about the context, check out this post by Nur Ketene on LinkedIn and this photo of Vercel CEO Guillermo Rauch with Netanyahu on his X.
Perlmint shared the below article:
ChakraCore를 JSON 디코더 및 인코더로 활용하기
고남현 @gnh1201@hackers.pub
이 글에서는 .NET 환경에서 JSON을 처리할 때 기존 라이브러리가 가진 한계를 극복하고, JavaScript 스타일을 최대한 유지하면서 효율적인 JSON 입출력을 구현하기 위한 고민과 해결책을 제시합니다. 표준 라이브러리의 크기, 신뢰성 문제, 그리고 JavaScript 스타일과의 괴리를 해결하기 위해 ChakraCore 엔진을 활용한 방법을 소개합니다. ChakraCore 엔진을 통해 JSON 직렬화 및 파싱을 수행하는 C# 코드를 예시로 보여주며, 기존 .NET의 XML 처리 방식과 유사하면서도 JavaScript 스타일에 가까운 JSON 입출력을 가능하게 합니다. 이 접근 방식은 다른 프로그래밍 환경에서도 JSON 포맷 처리 시 유사한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Read more →First Malicious MCP in the Wild: The Postmark Backdoor That's Stealing Your Emails https://lobste.rs/s/shhayp #security #vibecoding
https://www.koi.security/blog/postmark-mcp-npm-malicious-backdoor-email-theft
AP vs ATproto 논쟁 끝내는 법
둘을 합친 또다른 오픈 쏘쌸 프로토콜을 만든다
이제 AP vs AT vs 또다른 프로토콜 논쟁이 됨\
오픈소스 E2E 지원 카카오톡 대체 메신저 모음집
https://element.io
https://tox.chat
https://simplex.chat
https://signal.org
https://jami.net
https://getsession.org
https://wire.com/en/
https://briarproject.org
https://github.com/balzack/databag
https://zulip.com
https://keybase.io
https://bitchat.free
https://threema.com/en
https://retroshare.cc
https://delta.chat/en/
https://github.com/liamcottle/reticulum-meshchat
https://portmessenger.com
그러나 이 곳으로 옮겨가는 일은...
Why doesn't Bash's programmable completion provide the cursor offset within the word being completed? With all the complexity around word splitting—shell quoting, escpaing, expansions—figuring out the intra-word cursor position by hand is a nightmare. Would it really be so hard for Bash to offer this info natively, rather than leaving script authors to replicate the shell's own parsing logic?
블루스카이를 연합우주보다 먼저 썼고, 해커뉴스에서 관련 주장에 대해서 꽤 싸우기도 한 입장에서 민희님의 글 〈Bluesky는 X의 훌륭한 대안일 수 있지만, 연합우주의 대안은 아닙니다〉에 대한 반대 의견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 의견이 연합우주에 대한 전면적인 비판이 아니라는 것을 의견을 제시하기에 앞서 확실히 해 둔다(그랬다면 Hackers' Pub에 들어 올 일이 없었겠지).
탈중앙화는 매력적인 개념임이 틀림 없다. 인터넷의 많은 중요한 요소들이 어느 정도 탈중앙화되어 있으므로 탈중앙화가 인터넷의 장점들에 큰 몫을 했다는 생각을 쉬이 할 수 있고, 어느 정도는 그게 사실이기도 하니까. 하지만 엄밀히 말하자면 탈중앙화는 기술적인 특징이지 그 자체로 장점이 아니며, 탈중앙화가 장점으로 작용하려면 연결고리가 필요하다. 이를테면 비트코인을 위시한 암호화폐는 본디 비잔틴 실패까지 대비할 수 있는 강력한 탈중앙화를 장점으로 내세웠으나, 결국 화폐로서 제대로 사용되기 시작하자 현실 경제와의 커플링 때문에 그 "장점"이 크게 희석되고 말았다. 현 시점에서 암호화폐는 무에서 유의 신뢰를 창조하여 신용화폐의 요건을 충족하는 데까지는 성공했고 그것만으로도 역사적인 일이기는 하지만, 그게 탈중앙화랑 무슨 상관이 있느냐 하면 글쎄올시다.
블루스카이가 연합우주보다 덜 탈중앙화되어 있음은 분명하다. 민희님의 글에서 지적되었듯, 블루스카이가 이런 선택을 한 가장 큰 이유는 온전한 소셜 네트워크 기능을 위해 전역 뷰가 필수적으로 필요하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반대로 말하면 연합우주는 더 탈중앙화를 하기 위하여 전역 뷰를 포기했는데, 이 때문에 연합우주에서의 "소셜 네트워크"는 트위터/X와는 구조가 크게 다르다. 노드 규모가 문턱값에 다다르지 못하면 다른 노드에 있는 사용자를 찾아서 팔로해야만 온전한 소셜 네트워크 구성이 가능한데, 연합우주 안에서는 이런 외부 사용자를 찾는 구체적인 방법을 제공하지 않는다. 물론 인터넷과 똑같이 검색 엔진이 존재할 수야 있겠지만, 크롤링으로 인한 부하와 프라이버시에 대한 의견 차이 때문에 현실적으로 작동하는 연합우주 내 검색 엔진은 없다고 알고 있다. 따라서 연합우주에서 소셜 네트워크의 구성은 연합우주 바깥의, 보통은 중앙화되어 있는, 다른 소셜 네트워크(이를테면 현실 인간 관계)를 빌어야만 하는데, 이러면 탈중앙화가 큰 가치가 있을까?
한편으로는 전역 뷰가 소셜 네트워크의 단점이라고 주장할 수 있는 여지도 있다. 트위터/X를 오래 써 본 사람이라면 다 알겠지만 한 무리의 사람들이 다른 의견을 가진 무리와 충돌하는 주된 통로는 검색이나 해시태그를 통한 노출, 즉 전역 뷰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현실의 규모 있는 연합우주 노드들을 살펴 보면 각 노드가 곧 한 무리에 대응하는 식으로 충돌을 미리 회피하는 형태로 구성되지, 딱히 이런 충돌을 막기 위한 접근을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니다. 노드 운영자를 위해 차단하는 걸 추천하는 서버 목록 같은 게 돌아다니는 건 연합우주 바깥의 일이지 않는가. 결국 전역 뷰의 역할을 대체하는 소셜 네트워크 바깥의 또 다른 소셜 네트워크가 존재할 것이기에, 우리가 소셜 네트워크를 어떤 이유로든 유용하다고 여긴다면 전역 뷰가 없는 게 장점이 될 수는 없다.
모든 이들이 이런 사고 과정을 가지고 블루스카이나 연합우주를 선택했다고 생각하진 않지만, 적어도 현 시점에서 사용자들은 블루스카이(이 글을 쓰는 시점에서 약 3360만명)를 연합우주(FediDB와 Fediverse.party로부터 추정할 때 최대 1530만명)보다 선호하는 것은 틀림이 없다. 게다가 블루스카이의 규모는 최근 1년 사이에 10배 불어난 것이고, 조금 장애가 있었지만 현재는 잘 동작하는 것으로 보인다. 위의 논의와 결합해 보면, 블루스카이는 정석적인 스케일링에 성공하고 있는 반면 연합우주는 스케일링 문제를 회피하기 위해 온전한 소셜 네트워크의 구성을 포기했다고 볼 수도 있는 대목이다. 블루스카이가 못미더운 부분은 분명히 존재하지만, 연합우주가 더 좋은 소셜 네트워크 경험을 제공한다고 가정하고 블루스카이의 단점을 제시할 수는 없다. 마치 암호화폐를 논할 때 장점만 말할 수 없는 것과 마찬가지로 말이다.
RE: https://hackers.pub/@hongminhee/2025/bluesky-a-good-alternative-to-x-not-to-the-fediverse
캬 요맛에 홈서버 열지 짜릿하다 짜릿해
Show GN: 2024년 개정된 한국 점자 규정 기반의 점역 오픈소스 라이브러리
------------------------------
Braillify 는 완전 오픈소스 한글 점역 라이브러리입니다.
기존에도 한글 점역 라이브러리가 존재했으나 2024 개정 한국 점자 규정을 준수하지 않거나, 오픈소스가 아니었습니다.
하지만 Braillify 가 Apache License 2.0 라이센스를 기반으로 완전 오픈소스 점자 라이브러리를 공개합니다.
…
------------------------------
https://news.hada.io/topic?id=23218&utm_source=googlechat&utm_medium=bot&utm_campaign=1834
버그를 수정하고 더 많은 데이터를 넣으니 결국 더 큰 버그의 발견이...
오늘도 COMPILING!
디버깅 정보를 뽑을 수 없지만 데이터를 잔뜩 입력해볼 수 있는 환경에서 발생하는 오류의 재현 테스트 케이스를 코드로 작성하는데 성공했다. 이게 되니까 바로 의심 가는 곳 수정이 가능했고, 테스트 통과 ㅠ...
https://biz.heraldcorp.com/article/10577799
티베로 사이트가 해킹당해서 티베로의 버전이 전부 악성코드가 포함된 버전으로 바꿔치기당해서 배포됐는데도 티맥스는 이를 눈치 못채고 있었고 언제부터 바꿔치기당했는지도 파악 불가능히다고 함
공용 장비에 서비스가 아닌 개발용 컨테이너가 실행되는데, 그냥 docker로 설정 했더니 누가 켰던 컨테이너인지 모르겠어서 곤란하다... rootless 설정해야할 것 같은데...
서버메이드 깐프 



![묶여있던 슬랙 알림 6건을 펼친 화면
“[GeekNews] at://의 위치는 어디인가” 항목에 하이라이트 되어있다.](https://media.hackers.pub/note-media/687ff4c4-af55-4ec2-b31c-0e5a314f6bfd.web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