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dy Doubling(모각코, 모각작)이 ADHD인이 작업을 끝내는데 도움이 된다는 내용

레니
@renegade_v00@hackers.pub · 10 following · 15 followers
프론트엔드 개발자를 꿈꾸는 취준생입니다. 해커스펍에서는 주로 개발 이야기를 하려고 합니다 🧑💻
모든 종류의 차별과 혐오를 지양하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
GitHub
- @starcradle101
Blog
- hoonieblog.xyz
Twitter
- @renegade_v00
내년 React Summit Asia는 싱가포르에서 열리는군요! 기회가 된다면 한번 꼭 가 보고 싶네요 🤩
프로그래밍 언어 하스켈은 1990년 4월 1일에 처음 나와 올해 35주년이 되었습니다. 오늘이 하스켈 생일이에요. 이거 만우절 농담 아니고 진짜예요.
Hackers' Pub의 초대권은 어떤 기준으로 쌓이는걸까요? 🤔 초대한 인원 수에 따라서? 아니면 랜덤으로?
hoonie-blog v1.1.1 등장!

레니 @renegade_v00@hackers.pub
개선된 기술 블로그 1.1.1 버전이 공개되었습니다. 이번 업데이트에서는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개선 사항들이 적용되었습니다. 특히, 사이트 성능 최적화를 통해 로딩 속도를 개선하고, 반응형 디자인을 강화하여 다양한 기기에서 일관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합니다. 또한, 새로운 기능들을 추가하여 블로그 탐색 및 콘텐츠 접근성을 높였습니다. 이번 업데이트는 마치 게임 패치노트처럼 작성되어, 개발 과정과 변경 사항을 더욱 재미있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블로그를 방문하여 새로운 기능들을 직접 경험하고, 개선된 사용성을 느껴보세요.
Read more →오 인용 버튼이 생겼군요! 감사합니다 ~ ☺️
레니 shared the below article:
Hacker's Pub에 입문한 한국어권 여러분을 위한 안내서

Jaeyeol Lee @kodingwarrior@hackers.pub
Hacker's Pub은 소프트웨어 업계 종사자들이 자유롭게 생각을 공유하고 소통할 수 있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이자 블로깅 플랫폼입니다. ActivityPub 프로토콜을 지원하여 Mastodon, Misskey 등 다른 SNS 서비스 사용자들과도 연결되어 플랫폼 경계를 초월한 소통이 가능합니다. 이 글에서는 Hacker's Pub의 의미와 ActivityPub 프로토콜에 대한 간략한 소개, 그리고 커뮤니티에 기여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제시합니다. 오픈 소스로 개발되는 Hacker's Pub 생태계에 참여하여 함께 서비스를 발전시키고, 우리만의 클라이언트를 만들어 Hashnode와 같은 블로그 템플릿을 구축하는 미래를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Hacker's Pub은 상호 존중과 신뢰를 바탕으로 모든 이들이 자유롭게 의견을 나누고 함께 만들어가는 공간입니다.
Read more →언젠가 해커스펍 오프라인 밋업 같은 거 하면 사진기사 겸 봉사자로 놀러가고 싶음
@renegade_v00레니 아, 원인을 알았습니다. https://hackers.pub/@hongminhee/0195e9c3-2bc8-712a-a38e-aa355335ab0b를 붙이셔야 하는데 https://hackers.pub/@hongminhee/0195e9c3-2bc8-712a-a38e-aa355335ab0b/shares를 붙이신 것 같아요.

나도 비슷한 까닭으로 15년 넘게 Vim/Neovim 써 오다가, 몇 해 전부터 VS Code를 써 왔고, 요즘엔 Zed를 함께 쓰고 있다. Zed가 조금만 더 발전하면 Zed를 메인으로 쓰게 될 날이 올 듯…! RE: https://yuri.garden/notes/a5zx8jmbwl
나도 비슷한 까닭으로 15년 넘게 Vim/Neovim 써 오다가, 몇 해 전부터 VS Code를 써 왔고, 요즘엔 Zed를 함께 쓰고 있다. Zed가 조금만 더 발전하면 Zed를 메인으로 쓰게 될 날이 올 듯…! RE: https://yuri.garden/notes/a5zx8jmbwl
hackers.pub
Link author: 洪 民憙 (Hong Minhee)@hongminhee@hackers.pub
@hongminhee洪 民憙 (Hong Minhee) 아하 감사합니다! /shares가 붙지 않은 링크를 확인해보니 인용 여부를 묻는 창이 표시되네요.
저도 최근 VSC에서 Zed로 넘어오게 됐습니다. 특히 블로그 글을 mdx로 작성하는 입장에서, 플러그인 없이도 mdx 문법과 미리보기를 지원하는 Zed가 정말 마음에 들었어요. 하지만 내장 터미널에서 한글 사용 시 글자가 제대로 표시되지 않고, 일부 작업 시 Zed가 강제 종료되는 문제가 생겨서 최근 이슈를 제보했습니다.
https://github.com/zed-industries/zed/issues/26036
https://github.com/zed-industries/zed/issues/27599
https://hackers.pub/@hongminhee/0195e9c3-2bc8-712a-a38e-aa355335ab0b/shares
인용은 이렇게 하는게 아닌가보군요...혹시 해커스펍에서 다른 사용자가 쓴 글을 인용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저도 최근 VSC에서 Zed로 넘어오게 됐습니다. 특히 블로그 글을 mdx로 작성하는 입장에서, 플러그인 없이도 mdx 문법과 미리보기를 지원하는 Zed가 정말 마음에 들었어요. 하지만 내장 터미널에서 한글 사용 시 글자가 제대로 표시되지 않고, 일부 작업 시 Zed가 강제 종료되는 문제가 생겨서 최근 이슈를 제보했습니다.
https://github.com/zed-industries/zed/issues/26036
https://github.com/zed-industries/zed/issues/27599
https://hackers.pub/@hongminhee/0195e9c3-2bc8-712a-a38e-aa355335ab0b/shares
나도 비슷한 까닭으로 15년 넘게 Vim/Neovim 써 오다가, 몇 해 전부터 VS Code를 써 왔고, 요즘엔 Zed를 함께 쓰고 있다. Zed가 조금만 더 발전하면 Zed를 메인으로 쓰게 될 날이 올 듯…!
올해도 벌써 25%나 지나갔다는 사실이 믿기지 않네요. 그래도 한 건 많겠지 싶어서 1분기에 했던 일들을 회고로 정리해 봤습니다.
해커스펍을 어떻게 사용해볼까 하다가, 우선 한동안은 블로그에 작성하는 글을 공유해보기로 했습니다.
오늘 공유할 글은 React의 디자인 패턴 중 하나인 Container/Presentational 패턴에 관한 글입니다. 예전에 교육 프로그램을 들을 때 팀 프로젝트로 Next.js 기반의 서비스를 구현한 적이 있는데, 해당 프로젝트의 회고를 진행하면서 컨테이너 패턴을 사용했다고 착각했습니다. 최근 이력서 피드백을 받다가 이를 깨달아서, 그렇다면 컨테이너 패턴은 뭔지, 그렇다면 제가 프로젝트에 사용했던 패턴은 과연 무엇이었는지를 글로 옮겨 봤습니다.
https://hoonieblog.xyz/blog/study-react-container-presentational-pattern
AI가 생성한 내용을 내 지식관리시스템(위키 등)에 복붙하면 그건 내 지식일까 아닐까?
2008년 경에 The extended mind (1998, Andy Clark and David Chalmers)라는 짧은 에세이를 읽었는데 여기서 본 내용이 참고할만 하다.
저자들은 장기기억 상실을 앓고 있는 사람이 수첩에 모든 걸 기록하고 항상 이를 참고한다면 그 수첩에 담긴 글들은 "확장된 기억"이라고 주장한다. 더 나아가서, 수첩의 내용이 단순히 "기억"이 아니라 "믿음extended dispositional belief"이기 위해서 필요한 기준을 추가로 제시한다.
- 해당 정보가 그 사람의 삶에 항상 함께하며 참고해야하는 상황이 오면 거의 반드시 참고하여 행동한다.
- 참고하고 싶을 때 어려움 없이 참고할 수 있어야 한다.
- 일단 그 정보를 참고하면 이를 의심없이 수용한다.
- 그 정보가 거기에 담긴 이유는 과거 언젠가 내가 내용을 신뢰했기 때문이다.
AI가 생성한 내용을 검토 없이 복붙했다면 이는 4번을 만족하지 못하고, 이에 따라 3번에도 문제가 생긴다. 따라서 검토 없는 복붙은 좋은 전략이 아닐 뿐 아니라 내 지식관리시스템을 망칠 가능성이 크다.
참고로 에세이의 저자들은 이 중 마지막 기준에 논쟁의 여지가 있다고 말하긴 한다. 무의식적으로 믿음이 형성되는 경우, 기억 조작이 일어난 경우 등이 있기 때문. 그런데 KMS 맥락에선 4번이 중요하다고 봐도 되겠다.
@ak 좋은 글 감사합니다! 4번은 굉장히 인상깊은 문장이네요 😮
해커스펍에 처음 방문해 봤습니다. 아직까지는 어떻게 활용해야 할 지 잘 모르겠지만, 쓰다 보면 금방 적응하겠죠. 반갑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