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11/8 #광운대 에서 처음 열리는 #FOSS for All Conference 에서 #자원봉사자 를 모집합니다! 이번 첫 행사를 성공적으로 만들어 가는데 적극적으로 기여 하고 싶다면? 지금 지원봉사자로 지원 해 보세요!
https://fossforall.org/blog/fossforall-conference-2025-call-for-volunteers/
오는 11/8 #광운대 에서 처음 열리는 #FOSS for All Conference 에서 #자원봉사자 를 모집합니다! 이번 첫 행사를 성공적으로 만들어 가는데 적극적으로 기여 하고 싶다면? 지금 지원봉사자로 지원 해 보세요!
https://fossforall.org/blog/fossforall-conference-2025-call-for-volunteers/
🛠️ 기여자를 맞이하는 일, 왜 이렇게 어려울까?
20년 오픈소스 경험에서 배운 온보딩 교훈
👥 Onboarding Contributors: Lessons Learned
👤 Ian Wagner (Co-founder @ Stadia Maps / MapLibre Contributor)
세션 https://2025.fossforall.org/sessions/
티켓 https://event-us.kr/fossforall/event/110400
🧭 리눅스 커널 기여,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까?
히치하이커의 여정으로 본 초보자 컨트리뷰션 가이드
🐧 리눅스 커널 컨트리뷰션 여행기: 히치하이커가 길을 찾는 법
👤 김윤성 (Upstream Linux Kernel Contributor)
세션 https://2025.fossforall.org/sessions/
티켓 https://event-us.kr/fossforall/event/110400
🍓 라즈베리 파이, 어디까지 활용될 수 있을까?
DIY부터 임베디드 시스템까지, 최신 사례와 적용법
🔧 Lessons Learned from Raspberry Pi Use Cases:
A Deep Dive into Applying Them to Your Projects
👤 Masafumi Ohta(Raspberry Pi 커뮤니티 기여자)
세션 https://2025.fossforall.org/sessions/
티켓 https://event-us.kr/fossforall/event/110400
🚀 학생에서 전문 개발자로, 오픈소스가 만든 성장 스토리
리눅스 커널 기여 경험으로 본 도전과 극복의 여정
🐧 From Student to Professional: My Journey as an Open Source Developer
👤 Harry Yoo (Linux Kernel Developer @ Oracle)
티켓 https://event-us.kr/fossforall/event/110400
세션 https://2025.fossforall.org/sessions/
🌟 한 줄의 코드에서 글로벌 엔진까지, 나의 오픈소스 여정
ThorVG에 기여하며 배운 협업과 성장 이야기
🎬 나의 오픈소스 이야기: 한 줄의 코드에서 글로벌 애니메이션 엔진까지
👤 유진의 (ThorVG 메인테이너)
티켓 https://event-us.kr/fossforall/event/110400
세션 https://2025.fossforall.org/sessions/
🧵 5년간의 오픈소스 프로젝트, 무엇이 바뀌고 무엇이 남았을까?
식탁보(TableCloth) 프로젝트의 성장과 변하지 않은 핵심 가치
📌 식탁보 프로젝트 다섯돌: 바뀐 것과 바뀌지 않은 것
👤 남정현 (Microsoft MVP)
세션 https://2025.fossforall.org/sessions/
티켓 https://event-us.kr/fossforall/event/110400
🌏 대만의 기술 커뮤니티는 어떻게 오픈소스를 키울까?
Gathering & Collaboration으로 본 커뮤니티 운영과 가치
🤝 Building community in Taiwan: gathering and collaboration
👤 Mac Taylor (COSCUP)
세션 https://2025.fossforall.org/sessions/
티켓 https://event-us.kr/fossforall/event/110400
🎓 학생도 오픈소스 프로젝트를 운영할 수 있을까?
8천 명이 쓰는 KLAS Helper를 유지하며 배운 기술·커뮤니티 경험담
💡 일반인을 위한 오픈소스 프로젝트 운영하기 (KLAS Helper)
👤 김성진 (Theori)
세션 https://2025.fossforall.org/sessions/
티켓 https://event-us.kr/fossforall/event/110400
🌱 누구나 오픈소스에 기여할 수 있을까?
AI와 함께 기여의 장벽을 낮춘 전세계 유일 오픈소스 기여모임 운영기
🤖 "누구나 원하는 오픈소스에 기여를" 커뮤니티 운영기 with AI
👤 김인제(LINE Plus)
세션 https://2025.fossforall.org/sessions/
티켓 https://event-us.kr/fossforall/event/110400
🤝 코드 없는 기여, 어디까지 인정받을 수 있을까?
On-site Non-uploading 기여를 통해 본 데비안의 협력 문화
📦 데비안 프로젝트 기여 고찰
👤 김종민(Debian Developer)
세션 https://2025.fossforall.org/sessions/
티켓 https://event-us.kr/fossforall/event/110400
🛰️ 왜 사람들은 X·Facebook을 떠나 Bluesky로 모일까?
데이터 소유권과 서비스 다양성을 기반으로 한 차세대 SNS
🌐AT-protocol과 Bluesky, 탈중앙 SNS를 향한 새로운 접근
👤나사공 (boltless)
세션 https://2025.fossforall.org/sessions/
티켓 https://event-us.kr/fossforall/event/110400
🪒 야크 셰이빙: 새로운 오픈소스의 원동력
작은 불편함에서 시작된 수많은 프로젝트, 그 연결의 힘은?
야크 셰이빙: 새로운 오픈소스의 원동력
홍민희 (자유·오픈소스 소프트웨어 개발자)
연사 https://2025.fossforall.org/speakers/
티켓 https://event-us.kr/fossforall/event/110400
🧑💻 FOSDEM: 세계 최대 오픈소스 컨퍼런스의 비결
25년간 8,000+명이 모인 비영리 행사, 어떻게 유지됐을까?
“FOSDEM - what it is, why we do it, and how”
RichiH (Grafana Labs)
요즘 채용 시장을 보면 닷넷의 자리가 줄어든 것처럼 보이지만, 그렇다고 해서 닷넷 기술의 가치가 줄어드는 것은 아닙니다. 실제로 파이썬, 자바 중심의 흐름이 두드러지지만, 닷넷은 여전히 독자적인 강점을 가진 기술입니다.
종종 간과되는 점은, 닷넷 개발자가 닷넷의 멀티/크로스 플랫폼을 아우르는 기술 포트폴리오 덕분에 그 자체로 풀스택 개발자에 가깝다는 사실입니다. 웹, 클라우드, 데스크톱, 모바일, IoT, 웹(웹어셈블리 포함), AI까지 이어지는 폭넓은 기술 스펙트럼에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닷넷은 시장에서 쉽게 대체할 수 없는 강점입니다.
특히 닷넷 10의 파일 기반 앱(File-based App)은 비싼 IDE에 의존하지 않고도 텍스트 에디터 하나만으로 애플리케이션을 빌드할 수 있게 해줍니다. 지금처럼 불경기에 빠른 대응이 필요한 시기에, 이러한 역량은 그 어느 때보다 귀합니다.
닷넷 개발자 여러분, 시장의 기울어진 운동장에 주저하기보다는 닷넷 기술이 가진 다양성과 가능성을 더 확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리고 그 중심에는 이 기술을 믿고 함께 가는 개발자들의 연대가 있습니다. 그러니 위축되지 않으셨으면 합니다.
그리고 저는 기업들이 변화된 .NET 기술 환경을 다시 한 번 리뷰하고 채용 확대를 검토해 주시길 기대합니다. 이는 개발자와 기업 모두에게 큰 시너지가 될 것이라 믿습니다.
닷넷데브에서도 이런 현황에 대한 논의가 이어지고 있어, 관련 글타래를 함께 공유합니다. 🔗 https://forum.dotnetdev.kr/t/topic/13817
#닷넷 #풀스택 #개발자 #커뮤니티 #기술다양성 #dotnet #fullstack #community #dotnet10 #techd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