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at is Hackers' Pub?

Hackers' Pub is a place for software engineers to share their knowledge and experience with each other. It's also an ActivityPub-enabled social network, so you can follow your favorite hackers in the fediverse and get their latest posts in your feed.

Every time an authoritarian con-artist is held accountable, every time the mask slips in a courtroom, the spell weakens.

It takes pressure. It takes a public that doesn't flinch when the volume gets turned up. It takes faith - not in the perfection of institutions, but in their potential.

theindex.media/authoritarian-g

0
0
0
0

👇🏼👇🏼👇🏼👇🏼 H/t: Democracy Docket

New Jersey Sen. cory booker is on the Senate floor, saying, "I rise with the intention of disrupting the normal business of the United States Senate for as long as I am physically able" to protest and .

Watch live: c-span.org/event/us-senate/us-

0
0
0
0

16세 소년 계정에 뜨는 콘텐츠들...극단적 여성혐오 이끄는 알고리즘 [스프]
* 레이첼 루이스 스나이더는 뉴욕타임스 오피니언에 글을 기고한다. 지난해 더블린시티대학 연구진은 한 충격적인 현상에 관한 를 냈다. 젊은 남성의 소셜미디어 피드에 뜨는 남성우월주의 영상이 큰 폭으로 증가했다는 내용이었다.
news.sbs.co.kr/news/endPage.do

0

This year I am struggling with what to do with students that can't do really basic programming in my intro classes. I have a few who are not retaining any info, can't remember any syntax, are not able to do week 2 or 3 levels of knowledge. In the past I usually assumed these students weren't doing any outside of class studying, but more and more I think there are some really fundamental learning disabilities exacerbated by uneven education during early years of the pandemic. I don't really feel like the office of disability resources would be that helpful here? I am talking to my colleagues and finding they are experiencing this as well. I haven't yet found much support or ideas on how to address it.

0
0
0

Vim/Neovim의 시대가 가고, Vibe Coding 내지는 LLM 에이전트의 도움을 얻는 시대가 왔다지만, 난 아직까지는 전적으로 동의하지는 않음(부분적으로는 동의한다는 의미) 아직까지는 수제로 직접 코드를 짜는 것도 의미가 있고, CLI 기반의 에디터도 저마다의 발전을 하고 있다고 자신있게 말할 수 있음.

내가 생각하는 요오즘 시대 개발의 장점도 언급하면서 CLI 기반의 에디터는 어떤 위치에 있는지도 얘기해보고자 한다.

  1. 신뢰구간이 넓지 않아도 되는 작업을 할때는 AI를 사용하는 코드가 분명 시간을 확 줄여주고 결과적으로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경향은 있지만, "정확함"을 위해서 프롬프트를 넣어야 하는데 그 프롬프트를 넣는 작업이 품이 많이 들때(넣어야 하는 맥락이 너무 많을때) 그렇게 정확하지는 않을뿐더러 맥락을 넣는 시간 때문에 차라리 내가 직접 짜는게 나을때가 많음. 수제로 직접 짜기 vs AI한테 전적으로 맡겨버리기 두 세계를 적절하게 오가면서 작업하는게 베스트이지 않나 싶음.

  2. GUI 에디터 특유의 장점도 분명 있긴 있다. GUI 에디터가 올인원 기능을 갖추고 있는 경우도 많고 편의성 면에서 미니멀리즘을 추구하는 CLI 기반의 에디터보다 가진 기능이 많다. 남이 차려준 밥상이 그렇게 달달하지 않을 수 없다. 하지만, 그런 기능들을 제공하는 플러그인이나 자체 기능들의 내부 구현을 막상 까보면 CLI 도구에 의존하는 기능들이 많다. 특히, LSP/린터/포매터가 그렇다. 다만 추상화레이어를 어떻게 감쌌느냐 정도의 차이가 있는데, 그 추상화레이어를 커스터마이징하는데 있어서의 진입장벽은 CLI 기반의 에디터가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다. 왜냐면, 인고의 시간을 거쳐서 해온게 딱 그거라서(.....)

  3. 바이브 코딩은 분명 압도적인 속도로 코드가 짜여질 수 있게 하고, 단위시간당 코드가 짜여지는 양 자체도 어마어마하다. 특히, scaffolding을 할때 더더욱 빛을 발휘한다. 그렇기 때문에, 코드를 짜는건 기계/인공지능에 위임하고, 자세한 디테일을 채우는건 유저리서치를 하거나 와이어프레임을 그려서 기획을 더 보강하는 등 중요한 영역에 집중할 수 있게 된다. 코드를 짜는데 드는 시간은 최소한으로, 중요한 영역에 집중하기 위해 생각하는 시간을 더 많이 가지는 것은 분명 좋은 일이다. 관련해서는 이 글도 읽어보면 좋을 것 같다. https://two-wrongs.com/typing-fast-is-about-latency-not-throughput

물론, 코드를 짜는데 있어서 중요한 것은 리터러시이다. LLM이 코드베이스의 이해를 빠르게 할 수 있도록 도와주긴 하지만, 위에서 언급했듯 어느 정도 시점이 되면 결국엔 직접 짜고 직접 수정하는 일도 있어야 한다. 로컬 LLM이 발전한다 하더라도, LLM을 사용할 여력이 되지 않는 환경에서도 동일한 생산성을 유지할 수 있을까? 생산성이 일관적이지 않다면, 그렇지 않은 환경에 노출이 되었을때 어떻게 대응할 수 있을지가 중요한 포인트일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인자강, 즉, 사람 자체가 강해질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인공지능에 전적으로 의존하지 않고 수제로 직접 코드를 짜는 사람들이 기계/인공지능에 저항해서 어떻게 살아남을까를 생각해보면 인간공학에 기반해서 편집하는 테크닉이 더 연구될 필요가 있다.

GUI 기반의 에디터가 날이 갈수록 좋아지고 있는 상황 속에서 CLI 기반의 에디터가 살아남으려면 더더욱 CLI 기반의 도구와 궁합이 좋은 것을 내세워서 차별점을 내세울 필요가 있다. Neovim은 그런 관점에서 IDE와 유사한 경험을 제공하는 쪽으로 잘 발전되어 왔다고 보고 있다.

Vim/Neovim 생태계는 아직까지는 미래가 낙관적이라고 본다.

@kodingwarriorJaeyeol Lee 저는 VS Code를 오래 써서, Cursor든 Windsurf든 VS Code 포크들은 아무 비용없이 갈아탈수 있었는데요. 사실 저런 툴들의 진짜 강점은 API 요금제인거 같습니다. Claude Code 붙여서 종량제로 쓰면 그게 제일 퍼포먼스 좋겠지만 돈이 계속 나간다는게 상당한 압박인데, Windsurf 한달에 15달러 내면 그냥 채팅용으로도 쓸수있고, 개발자 입장에서 단 한개의 AI 구독이 되는게 가능해요. 그러니까 에디터 자체는 별로 안중요하고 그 뒤에 묶여있는 AI 상품이 매력적인 거죠.

Aider같은 걸로 비슷한 요금제를 구현하는게 가능할지 모르겠네요. 또는 로컬 LLM 성능이 궤도에 오르면 그때 또 많이 달라질거라 봅니다.

0

📢 MisskeyHQの新事務所がオープン 📢
このたび、MisskeyHQは破格での土地の購入に成功しました!
つきましては新事務所はこれより添付の場所となりますので、おいでの方は旧事務所と混同しないようご注意ください。
アクセスには羽田から新東名高速道路が便利です。
今後ともMisskey.ioをよろしくお願いします。

0
0
0
0
0
0

bgl gwyng shared the below article:

hoonie-blog v1.1.1 등장!

카미유 @renegade_v00@hackers.pub

개선된 기술 블로그 1.1.1 버전이 공개되었습니다. 이번 업데이트에서는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개선 사항들이 적용되었습니다. 특히, 사이트 성능 최적화를 통해 로딩 속도를 개선하고, 반응형 디자인을 강화하여 다양한 기기에서 일관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합니다. 또한, 새로운 기능들을 추가하여 블로그 탐색 및 콘텐츠 접근성을 높였습니다. 이번 업데이트는 마치 게임 패치노트처럼 작성되어, 개발 과정과 변경 사항을 더욱 재미있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블로그를 방문하여 새로운 기능들을 직접 경험하고, 개선된 사용성을 느껴보세요.

Read more →
0
0
0
0

참고로 Hackers' Pub은 딱 한 번 뿐이긴 하지만 핸들을 바꿀 수 있답니다.

사실 ActivityPub이나 WebFinger 명세에서는 핸들을 바꿀 수 없다는 제약이 있지는 않아요. 다만 대부분의 ActivityPub 구현들이 액터 ID에 핸들의 일부를 포함시키기 때문에 바꿀 수 없게 되었을 뿐…[1]

자세한 설명은 Fedify 문서의 Actor identifier and WebFinger username 항목을 읽어보시면 됩니다.


  1. Misskey는 안 그렇기 때문에 기술적으로 나중에 핸들 변경 기능을 추가하려면 추가할 수 있긴 합니다. ↩︎



RE: https://serafuku.moe/notes/a6199pgz4v

0
0
0
0

Vim/Neovim의 시대가 가고, Vibe Coding 내지는 LLM 에이전트의 도움을 얻는 시대가 왔다지만, 난 아직까지는 전적으로 동의하지는 않음(부분적으로는 동의한다는 의미) 아직까지는 수제로 직접 코드를 짜는 것도 의미가 있고, CLI 기반의 에디터도 저마다의 발전을 하고 있다고 자신있게 말할 수 있음.

내가 생각하는 요오즘 시대 개발의 장점도 언급하면서 CLI 기반의 에디터는 어떤 위치에 있는지도 얘기해보고자 한다.

  1. 신뢰구간이 넓지 않아도 되는 작업을 할때는 AI를 사용하는 코드가 분명 시간을 확 줄여주고 결과적으로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경향은 있지만, "정확함"을 위해서 프롬프트를 넣어야 하는데 그 프롬프트를 넣는 작업이 품이 많이 들때(넣어야 하는 맥락이 너무 많을때) 그렇게 정확하지는 않을뿐더러 맥락을 넣는 시간 때문에 차라리 내가 직접 짜는게 나을때가 많음. 수제로 직접 짜기 vs AI한테 전적으로 맡겨버리기 두 세계를 적절하게 오가면서 작업하는게 베스트이지 않나 싶음.

  2. GUI 에디터 특유의 장점도 분명 있긴 있다. GUI 에디터가 올인원 기능을 갖추고 있는 경우도 많고 편의성 면에서 미니멀리즘을 추구하는 CLI 기반의 에디터보다 가진 기능이 많다. 남이 차려준 밥상이 그렇게 달달하지 않을 수 없다. 하지만, 그런 기능들을 제공하는 플러그인이나 자체 기능들의 내부 구현을 막상 까보면 CLI 도구에 의존하는 기능들이 많다. 특히, LSP/린터/포매터가 그렇다. 다만 추상화레이어를 어떻게 감쌌느냐 정도의 차이가 있는데, 그 추상화레이어를 커스터마이징하는데 있어서의 진입장벽은 CLI 기반의 에디터가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다. 왜냐면, 인고의 시간을 거쳐서 해온게 딱 그거라서(.....)

  3. 바이브 코딩은 분명 압도적인 속도로 코드가 짜여질 수 있게 하고, 단위시간당 코드가 짜여지는 양 자체도 어마어마하다. 특히, scaffolding을 할때 더더욱 빛을 발휘한다. 그렇기 때문에, 코드를 짜는건 기계/인공지능에 위임하고, 자세한 디테일을 채우는건 유저리서치를 하거나 와이어프레임을 그려서 기획을 더 보강하는 등 중요한 영역에 집중할 수 있게 된다. 코드를 짜는데 드는 시간은 최소한으로, 중요한 영역에 집중하기 위해 생각하는 시간을 더 많이 가지는 것은 분명 좋은 일이다. 관련해서는 이 글도 읽어보면 좋을 것 같다. https://two-wrongs.com/typing-fast-is-about-latency-not-throughput

물론, 코드를 짜는데 있어서 중요한 것은 리터러시이다. LLM이 코드베이스의 이해를 빠르게 할 수 있도록 도와주긴 하지만, 위에서 언급했듯 어느 정도 시점이 되면 결국엔 직접 짜고 직접 수정하는 일도 있어야 한다. 로컬 LLM이 발전한다 하더라도, LLM을 사용할 여력이 되지 않는 환경에서도 동일한 생산성을 유지할 수 있을까? 생산성이 일관적이지 않다면, 그렇지 않은 환경에 노출이 되었을때 어떻게 대응할 수 있을지가 중요한 포인트일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인자강, 즉, 사람 자체가 강해질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인공지능에 전적으로 의존하지 않고 수제로 직접 코드를 짜는 사람들이 기계/인공지능에 저항해서 어떻게 살아남을까를 생각해보면 인간공학에 기반해서 편집하는 테크닉이 더 연구될 필요가 있다.

GUI 기반의 에디터가 날이 갈수록 좋아지고 있는 상황 속에서 CLI 기반의 에디터가 살아남으려면 더더욱 CLI 기반의 도구와 궁합이 좋은 것을 내세워서 차별점을 내세울 필요가 있다. Neovim은 그런 관점에서 IDE와 유사한 경험을 제공하는 쪽으로 잘 발전되어 왔다고 보고 있다.

Vim/Neovim 생태계는 아직까지는 미래가 낙관적이라고 본다.

@kodingwarriorJaeyeol Lee 저는 VS Code를 오래 써서, Cursor든 Windsurf든 VS Code 포크들은 아무 비용없이 갈아탈수 있었는데요. 사실 저런 툴들의 진짜 강점은 API 요금제인거 같습니다. Claude Code 붙여서 종량제로 쓰면 그게 제일 퍼포먼스 좋겠지만 돈이 계속 나간다는게 상당한 압박인데, Windsurf 한달에 15달러 내면 그냥 채팅용으로도 쓸수있고, 개발자 입장에서 단 한개의 AI 구독이 되는게 가능해요. 그러니까 에디터 자체는 별로 안중요하고 그 뒤에 묶여있는 AI 상품이 매력적인 거죠.

Aider같은 걸로 비슷한 요금제를 구현하는게 가능할지 모르겠네요. 또는 로컬 LLM 성능이 궤도에 오르면 그때 또 많이 달라질거라 봅니다.

0
0
0
0
0

洪 民憙 (Hong Minhee) shared the below article:

hoonie-blog v1.1.1 등장!

카미유 @renegade_v00@hackers.pub

개선된 기술 블로그 1.1.1 버전이 공개되었습니다. 이번 업데이트에서는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개선 사항들이 적용되었습니다. 특히, 사이트 성능 최적화를 통해 로딩 속도를 개선하고, 반응형 디자인을 강화하여 다양한 기기에서 일관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합니다. 또한, 새로운 기능들을 추가하여 블로그 탐색 및 콘텐츠 접근성을 높였습니다. 이번 업데이트는 마치 게임 패치노트처럼 작성되어, 개발 과정과 변경 사항을 더욱 재미있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블로그를 방문하여 새로운 기능들을 직접 경험하고, 개선된 사용성을 느껴보세요.

Read more →
0
0
0
0

참고로 Hackers' Pub은 딱 한 번 뿐이긴 하지만 핸들을 바꿀 수 있답니다.

사실 ActivityPub이나 WebFinger 명세에서는 핸들을 바꿀 수 없다는 제약이 있지는 않아요. 다만 대부분의 ActivityPub 구현들이 액터 ID에 핸들의 일부를 포함시키기 때문에 바꿀 수 없게 되었을 뿐…[1]

자세한 설명은 Fedify 문서의 Actor identifier and WebFinger username 항목을 읽어보시면 됩니다.


  1. Misskey는 안 그렇기 때문에 기술적으로 나중에 핸들 변경 기능을 추가하려면 추가할 수 있긴 합니다. ↩︎



RE: https://serafuku.moe/notes/a6199pgz4v

0
0

🚨 GoboLinux 017.01 - Passing the Torch 🔥

We're excited to release GoboLinux 017.01, a bug-fix update! We also announce the transition of leadership—Hisham Muhammad, founder for 25 years, steps down, with @nuc1eon taking the reins. Huge thanks to Hisham, Lucas Correia Villa Real (aka paranoidd), and all our contributors!

Check out the release notes and grab your ISO here: gobolinux.org/index.html#conte

0
0
0


오는 사람, 가는 사람 말리지 않습니다냥.
여러분의 타임라인에 곧 복학하는 방구석 잉여를 키워 보세요!

- 컴공 대학생 4학년이에요
- 일본어에도 관심이 있어, 일본어권 연합우주와도 가끔씩 교류하는 편이에요
- 게임을 가볍게 하고 있어요. 요즘에는 드럼매니아와 작혼에 관심이 있어요.
- 일단 k.lapy.link의 운영자예요
- 매일 어딘가 흐물흐물하게 굴러다니고 있어요
- 밀면 광인입니다.
밀면맛집 추천해주세요밀면.:milmyeon:

게시물로는... 평소 일상의 파편 내지는 문득 떠오른 생각을 위주로 게시할 것 같아요.

타임라인에 굴러다니는 마리모를 키워 보세요!
감사합니다냥.

1
0
0

🚨 GoboLinux 017.01 - Passing the Torch 🔥

We're excited to release GoboLinux 017.01, a bug-fix update! We also announce the transition of leadership—Hisham Muhammad, founder for 25 years, steps down, with @nuc1eon taking the reins. Huge thanks to Hisham, Lucas Correia Villa Real (aka paranoidd), and all our contributors!

Check out the release notes and grab your ISO here: gobolinux.org/index.html#conte

0
0

4. As next steps forward, we will be organizing a set of roundtables to listen to the FediForum community, to hear how we can do better -- with a reconstituted organizing team. I clearly am not able to do this myself.

We want to do this with the community, and with all parts of the community, including trans folks, black people, and the many other marginalized groups that are under attack from so many directions these days. We want to do what we can to stand with you.

0
0

2. FediForum April 1-2 is canceled, to be rescheduled at a future date.

In this environment, it is hard for me to see how a typical FediForum event could be successful tomorrow or the day after, we all need a time out. So I'm pulling the plug right now.

Registration is disabled as of now. Everybody who has a ticket can ask for a full refund. If you don't, we will credit the purchase price for a future FediForum. Use the e-mail on our contact page fediforum.org/contact/

0
0
0
0

1. We've all had a difficult few days. Tempers are high. Some of what's been happening in the Fediforum comments section has reached insult-only stage and I have heard of physical safety concerns.

This is needs to stop, right now, none of this helps anybody.

So hold it, people.

0
0
0

🏳️‍⚧️ Trans Day of Visibility 🏳️‍⚧️

We’re already visible, we need protecting.

Here’s one way you could help:

If you’re in a conversation with someone idly saying something transphobic you could say “that's not the case”, ask them to stop (if it's safe for you to do so), or leave.

Especially if you're a white man:
Your privilege means your words / actions
can have more weight.

It's very easy to repeat things we've heard without considering if it’s baseless or illogical. I've done it too!

0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