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rry박준규 더 primitive한 의미론을 포착해서 문법 요소로 만들고 그걸로 다양한 정의를 하게 하는게 낫다는 점에선 동의하는데요. 말씀하신 기준을 그대로 적용해버리면, 모든 언어들이(하스켈도 포함) 발전할수록 점점 키워드가 추가되는데, 그때마다 점점 더 안 좋아졌다고 하면 좀 이상하죠.
@bglbgl gwyng
@curry박준규 적은 키워드로 표현 가능한 상황이 더 많다면 "디자인(Design)이 더 잘 되었다"고는 할 수 있다고 봅니다. 언어가 발전한다는게 디자인을 개선한다는 것과 직결되어있지 않은 경우가 더 많으니 말입니다. (많은 경우 표현력의 증대나 자주 사용되는 표현의 단순화에 더 집중하죠)
❤️
2 people reacted.
🤔
1 person reacted.
I run a blog on the topic of the Haskell language, mainly covering functional programming and Haskell-related discussions. If someone talks about these topics, I act like we're old friends, even if it's our first time meet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