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 I'm who's behind Fedify, Hollo, BotKit, and this website, Hackers' Pub!

Fedify, Hollo, BotKit, 그리고 보고 계신 이 사이트 Hackers' Pub을 만들고 있습니다.

FedifyHolloBotKit、そしてこのサイト、Hackers' Pubを作っています。

嗨,我是 FedifyHolloBotKit 以及這個網站 Hackers' Pub 的開發者!

Website
hongminhee.org
GitHub
@dahlia
Hollo
@hongminhee@hollo.social
DEV
@hongminhee
velog
@hongminhee
Qiita
@hongminhee
Zenn
@hongminhee
Matrix
@hongminhee:matrix.org
X
@hongminhee
1
6
2

fedify node (ActivityPub판 neofetch 같은 것) 커맨드로 Hackers' Pub 서버를 찔러봤다.

  hackers.pub
  ===========
  Software:
    hackerspub v0.1.0+0972cbb086b1f01e039221a3c8522fc4b8d0b4b8
    https://hackers.pub/
@##@    https://github.com/hackers-pub/hackerspub
 ppbkM@*mp%#BowZphZXXUJCLdW#  Protocols:
 JJLOk#dzJb&&&*kbhahhqQCOwJuXZpLvJmp    activitypub
 XXzcQb*ohCfcq*pQLLQZqbhhkbqZCzQoMZuXCQ  Outbound services:
 XzxtnULCJx)xwaQnzCOphMB@#aZUxzOqLvCqk    atom1.0
 XXcvCpakdUtvpMkqLccU0h#@aZc|/uJOq*#  Users:
 XXJLd8@qnXpWB@8WdYjCkM@aZLXO%    244 (total)
 Q0Zwa#kUQk%km0CYccmM#%dw0d8    24 (active half year)
 MMW&#B*MB#&*akkho&@8&M8    5 (active month)
  Local posts: 
    3,946
  Local comments:
    0
  Open registrations:
                                           No

1

많은 언어에서 배열이 primitive로 주어지기 때문에 간과하기 쉬운데, 실제로 배열은 Binary Trie이다. 인덱스 0b01101010로 어떤 배열을 접근한다는건 왼오오왼오왼오왼으로 트리를 타고 내려가는 것이다. 실제로 칩에서 어떻게 동작할지를 상상해보면 좋다.

3

Hackers' Pub이라는 소프트웨어 개발자를 위한 SNS 겸 블로그 플랫폼을 만들고 있습니다. ActivityPub을 지원하여 Mastodon이나 Misskey 등과도 상호 소통이 가능합니다. 아직 사용자 수는 적지만 괜찮은 글들이 올라옵니다. 관심 있으신 분은 DM으로 이메일 주소 알려주시면 초대 드립니다!

Hackers' Pubというソフトウェア開発者向けのSNS兼ブログプラットフォームを開発しています。ActivityPubに対応しており、MastodonやMisskeyなどとも相互にコミュニケーションが可能です。まだユーザー数は少ないですが、質の高い記事が投稿されています。

また、これまでは韓国語中心のコミュニティが形成されていますが、今後は日本語コミュニティも拡大していきたいと考えています。自動翻訳機能が搭載されているため、既存の韓国語の記事も日本語で読むことができます。

ご興味のある方は、DMでメールアドレスをお知らせいただければご招待いたします!

1

Hackers' Pub이라는 소프트웨어 개발자를 위한 SNS 겸 블로그 플랫폼을 만들고 있습니다. ActivityPub을 지원하여 Mastodon이나 Misskey 등과도 상호 소통이 가능합니다. 아직 사용자 수는 적지만 괜찮은 글들이 올라옵니다. 관심 있으신 분은 DM으로 이메일 주소 알려주시면 초대 드립니다!

4
1
0
1
1

Apache Pulsar 4에서 ZooKeeper가 대체되는구나.

원래 Pulsar는 장기 플랜으로 ZooKeeper 대체를 계획, Cloud Native 한 운영에 맞도록 etcd를 대체자로 계획하고 있었다.
근데 어쩐 일인지 oxia 라는 Metadata store service 를 자체적으로 개발, etcd와 oxia 중에 선택할 수 있도록 했다.

메세지 브로커 서비스 특성상 운영에 큰 문제거 없다면 잘 건드리지 않기 때문에 당분간 내가 쓸 일은 없겠지만 Cloud Native 한 Pulsar 신규 구성을 염두에 둔다면 oxia를 고려해 보는 것도 나쁘지 않겠다.

https://streamnative.io/blog/announcing-apache-pulsar-tm-4-0-towards-an-open-data-streaming-architecture

https://github.com/streamnative/oxia?tab=readme-ov-file

oxia logo image
1

드디어 Fedify에서 npm 패키지 만드는데 dnt를 버리고 tsdown을 쓰게 바꿨다. 테스트도 Deno, Node.js, Bun 내장 테스트 러너로 돌게 했고. 이제 다시 원래 하려고 했던 Cloudflare Workers 지원 작업을 재개해야 한다.

https://github.com/fedify-dev/fedify/commit/cc3d14fda6a8548ecb04473de19c9134655e5018

5
0
0
0
4
2
1
2

그리고 Deno가 자체 API를 모두 Deno 네임스페이스 안에다 몰아넣는 방식은 그 나름의 장점도 있지만, 표준화될 수도 있을 가능성은 원천 차단하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Node.js처럼 모듈로 다 빼는 게 나은 것 같다.

2

이제 Deno 뿐만 아니라, Bun, 심지어 Node.js도 내장 테스트 러너를 지원하는데, 문제는 이들의 API가 서로 다 다르다는 것. 그리고 기능도 조금씩 달라서 어떻게 호환 레이어를 만드려고 해도 세 테스트 러너가 제공하는 기능의 교집합만 쓸 수 있다. 음…

2

이제 Deno 뿐만 아니라, Bun, 심지어 Node.js도 내장 테스트 러너를 지원하는데, 문제는 이들의 API가 서로 다 다르다는 것. 그리고 기능도 조금씩 달라서 어떻게 호환 레이어를 만드려고 해도 세 테스트 러너가 제공하는 기능의 교집합만 쓸 수 있다. 음…

2

한국 페디버스 개발자 모임에서 주최한 스프린트에 다녀왔다. 기여하고자 했던 github.com/fedify-dev/fedify/i 는 또 JSON-ish 관련 이슈로 해결하지 못했지만 소규모 모임에서 얻을 수 있는 좋은 분위기와 에너지를 맘껏 느껴 좋았다. PR은 보내지 못했지만 Fedify 마스코트(이름 없음)로 키링 만들어 나눠드려 그나마 다행이었다. 행사 준비하고 진행해준 @hongminhee洪 民憙 (Hong Minhee) 님께 감사드린다.

페디버스 행사가 있는 날에 하필 트위터 서비스가 고장나서 오랜만에 마스토돈에 글 남겨본다 ㅋㅋ

페디파이 마스코트로 만든 키링맥북도 오랜만 코딩도 오랜만 스프린트도 오랜만지하철 2호선 타고 성수로 넘어가며 본 풍경이 상쾌했다.
1
12

BeOSの精神的な後継者でありオープンソースプロジェクトであるHaiku(@haiku)…いつかはぜひちゃんと使ってみたいと思っています。(VMへのインストールは何度か試したことがありますが)

1
2

한국 페디버스 개발자 모임에서 주최한 스프린트에 다녀왔다. 기여하고자 했던 github.com/fedify-dev/fedify/i 는 또 JSON-ish 관련 이슈로 해결하지 못했지만 소규모 모임에서 얻을 수 있는 좋은 분위기와 에너지를 맘껏 느껴 좋았다. PR은 보내지 못했지만 Fedify 마스코트(이름 없음)로 키링 만들어 나눠드려 그나마 다행이었다. 행사 준비하고 진행해준 @hongminhee洪 民憙 (Hong Minhee) 님께 감사드린다.

페디버스 행사가 있는 날에 하필 트위터 서비스가 고장나서 오랜만에 마스토돈에 글 남겨본다 ㅋㅋ

페디파이 마스코트로 만든 키링맥북도 오랜만 코딩도 오랜만 스프린트도 오랜만지하철 2호선 타고 성수로 넘어가며 본 풍경이 상쾌했다.
5

Had a wonderful time today at our second FediDev KR (@sprints.fedidev.kr한국 페디버스 개발자 모임) gathering at Turing's Apple (@TuringAppleDev튜링의 사과) in !

We spent the day contributing to various open source projects including @fedifyFedify: an ActivityPub server framework, @holloHollo :hollo:, and Hackers' Pub. It was fantastic to see the community come together to build and improve tools for the decentralized social web.

Our participants made some great contributions, and you can read all about what we accomplished in today's blog post.

Looking forward to our next sprint!

A hand holding a 3D-printed keychain featuring the Fedify dinosaur mascot logo in blue and white colors. The keychain is packaged in a clear plastic bag with Korean text indicating it's from the FediDev KR Second Sprint on May 24, 2025. The background shows laptops and stickers on a table, suggesting a coding workspace at the sprint event.A bright green poster for FediDev KR #2 sprint event, showing the date 2025-05-24 Sat 13:00–18:00. The poster features Korean text announcing a FediDev KR sprint session, with the Turing's Apple logo and a circular blue logo with wave-like design. The poster is displayed on a TV at the entrance of the venue.
3
0
0
6

같은 얘기 한 적 있는데, 유전자 발현(expression)을 계산(evaluation)하거나 평가(evaluation)하지 않듯이, 표현(expression)을 평가(evaluation)는 해도 계산(evaluation) 또는 (표현의) "값을 구한다(evaluate)"고 하지 않듯이, 식(expression)도 평가(evaluation)하지 않고, '값을 구한다(evaluate)'거나 계산(evaluation)했으면 좋겠다고 생각해 봅니다.

5
9
17
0
0
0
4
1
7

OpenAI: PostgreSQL의 확장 한계를 넘어서기
------------------------------
-
OpenAI 는 *PostgreSQL을 샤딩 없이 사용* 하면서도 수억 명의 사용자 트래픽을 효과적으로 처리하는 방법을 PGConf.dev 2025에서 공유함
- *쓰기 병목*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 쓰기 분산, 쿼리 최적화, 스키마 관리* 등 다양한 접근 방식을 도입함
- 주요 이슈로 *MVCC 디자인의 테이블/인덱스 팽창* , …
------------------------------
https://news.hada.io/topic?id=21081&utm_source=googlechat&utm_medium=bot&utm_campaign=1834

2
0
1
2

Zed는 일단 에디터로서의 완성도가 매우 높다. 웬만한 기능이 모두 빌트인되어 있으면서, 방대한 코드베이스에서도 엄청난 반응성을 보여준다. AI 기능은 커서와 크게 다르지 않은데, 기본 제공 모델이 아직 Claude 뿐이다. (다른 모델은 API 키 필요) 그리고 IRC 같은 채팅 기능이 내장되어 있는게 재미있다. 전반적으로 상당히 공들인 것 같고, 장인정신 같은 것이 느껴지는 소프트웨어.

Zed 에디터에서 ~/.config/zed/settings.json 파일을 편집 중인 모습. 설정에는 AI 에이전트로 'claude-sonnet-4' 모델이 명시되어 있고, Vim 모드 활성화, 폰트 설정, 테마 설정('Dracula' 다크 테마), 사용자 정의 색상 등이 포함됨. 화면 오른쪽에는 '#vim' 채널의 채팅 로그가 표시되어 있으며, Vim 모드 관련 질문과 답변이 활발히 오가고 있음.
4
1
6
3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