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코딩(유의어: 클로드 갈구기)는 여기서 포기 사유:
洪 民憙 (Hong Minhee)
@hongminhee@hackers.pub · 972 following · 681 followers
Hi, I'm who's behind Fedify, Hollo, BotKit, and this website, Hackers' Pub! My main account is at
@hongminhee洪 民憙 (Hong Minhee)
.
Fedify, Hollo, BotKit, 그리고 보고 계신 이 사이트 Hackers' Pub을 만들고 있습니다. 제 메인 계정은:
@hongminhee洪 民憙 (Hong Minhee)
.
Fedify、Hollo、BotKit、そしてこのサイト、Hackers' Pubを作っています。私のメインアカウントは「
@hongminhee洪 民憙 (Hong Minhee)
」に。
Website
- hongminhee.org
GitHub
- @dahlia
Hollo
- @hongminhee@hollo.social
DEV
- @hongminhee
velog
- @hongminhee
Qiita
- @hongminhee
Zenn
- @hongminhee
Matrix
- @hongminhee:matrix.org
X
- @hongminhee
hello world
해커즈펍이 잘 안되는 건가...? 자꾸 단문 등록이 안 되네?
라고 해커즈펍에 쓰는 중...
아 맞다 행사신청
물론 소프트웨어 장인 정신에 가까운 것도 잃어버린지 오래되어 흔히 얘기하는 해커는 아니게 되었습니다. 그렇지만 AI로 바이브코딩이 가능해지고, 소프트웨어 엔지니어가 더 잘 사용할 수 있는 환경까지 마련되면서 소프트웨어 개발에 본질에 더 가까워질 수 있지 않나?라는 생각도 듭니다.
제가 생각하기엔 AI와 함께 인간 지능은 해결해야하는 문제와 이를 뒷받침하는 소프트웨어 구조에 더 잘 집중할 수 있다고 느꼈습니다. 그리고 이것들을 빠르게 반복하면서 개선할 수 있는 생산성까지 얻게된 셈이니까요. 적어도 몇년전부터 그리고 앞으로도 코딩에만 집중하지 못할 저에게는 그러한 부분이 더 크게 다가왔던것 같네요.
최근 바이브코딩에 너무 익숙해지며 생기는 반대 급부 문제도 있습니다만(모든 코드를 다 쉽게 accept한다던지 ㅋㅋㅋ), 발전된 기술을 사용하면서 오는 사이드 이펙트 정도로 생각하고 좋은 해결 방법을 계속 고민하면 되는 문제 정도라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세상은 너무 빠르게 바뀌고 있기 때문에 내년 여름쯤에는 또 다른 생각을 하고 있을수도 있겠습니다.
코드에디터 만들고싶다..
오라클 네이티브 Ingress의 수많은 버그를 밟고 결국 사용을 포기하고 LoadBalancer Service (L4) -> nginx (L7, 여기서 web/streaming 분리) 방식으로 일단 땜빵을 했는데 솔직히 클라우드 갈아타고 싶은데 비용땜에 어떻게든 부여잡고있음
그래서 AWS 갈까요 GCP 갈까요 Azure 갈까요 어디가 더 쌀까요...
@robin 헤츠너로 직접 운영하기... 농담입니다.
AWS >> GCP >> Azure 순으로 복잡성이 높아지고 가격이 올라가고 기능이 다양하니까, 사용 사례에 따라 나눠질 수 있겠네요.
@robin 3개 다 사용해봤는데 비슷한 수준에서는 AWS가 가장 덜 나오긴했습니다. 하지만 ALB가 꽤 비싼편이라서 LB 많이 쓰신다면 GCP 고려해보셔도 될것같슴다!
Git 3.0에서는 기본 브랜치로 main을 사용합니다
------------------------------
- *Git 3.0* 부터 새 저장소 생성 시 기본 브랜치가 자동으로 *main* 으로 설정됨
- 이번 변경은 *Git 2.52 패치 노트* 에 명시된 내용으로, Git 3.0부터 git init 명령이 ‘master’ 대신 ‘main’을 사용함
- Software Freedom Conservancy 가 2020년 6월 기본 브랜치명 변경 계획을 발표했고, *GitHu…
------------------------------
https://news.hada.io/topic?id=24651&utm_source=googlechat&utm_medium=bot&utm_campaign=1834
오라클 네이티브 Ingress의 수많은 버그를 밟고 결국 사용을 포기하고 LoadBalancer Service (L4) -> nginx (L7, 여기서 web/streaming 분리) 방식으로 일단 땜빵을 했는데 솔직히 클라우드 갈아타고 싶은데 비용땜에 어떻게든 부여잡고있음
그래서 AWS 갈까요 GCP 갈까요 Azure 갈까요 어디가 더 쌀까요...
파이썬으로 할 수 있는 게 별로 없단 얘길 들었다. 하지만 난 파이썬 백엔드 하고 있어..
묘하다… claude max $100을 사용하다가 최근에 또 잠깐 사용을 잘 못해서 pro로 내렸더니 너무 빠르게 사용량을 다 채워버리고 있다. max쓰면 실제로 5배보다 더 주나..?
洪 民憙 (Hong Minhee) shared the below article:
GitHub Action Rerunner
초무 @2chanhaeng@hackers.pub
GitHub Action Rerunner는 팀원들이 레포지토리에 대한 직접적인 쓰기 권한 없이도 실패한 GitHub Actions를 재실행할 수 있도록 권한을 위임하는 웹 애플리케이션입니다. 레포지토리 소유자는 개인 및 조직 레포지토리를 등록하고, 암호화된 Personal Access Token을 등록하여 공유 가능한 고유 링크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팀원은 이 링크를 통해 자신에게 할당된 PR 목록을 확인하고, 실패한 Action을 원클릭으로 재실행할 수 있습니다. Next.js, React, Tailwind CSS, PostgreSQL, Prisma ORM, Octokit 등의 기술 스택을 사용했으며, GitHub OAuth를 통해 안전한 계정 관리를 제공합니다. 이 도구를 사용하면 레포지토리 보안을 유지하면서도 팀원들이 CI/CD 프로세스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어 개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Read more →Hackers Public @ Seoul 송년회 ---- 2025년의 마지막을 해커들과 함께해요.
Hackers' Public @ Seoul 송년 네트워킹 밋업은 발표보다 대화, 형식보다 연결을 중심으로 진행됩니다. 라이트닝 토크도 지원받습니다. 만들었던 것·배운 것·고민했던 이야기를 자유롭게 얘기해보도록 해요.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 🗓 12/21(일) 14:30~18:30
- 🎤 라이트닝 토크 5분 자유 참여
- 📌 1차 모집: 11.26~12.5 (회원 대상)
- 신청하기 👉 https://event-us.kr/hackerspubseoul/event/117468
洪 民憙 (Hong Minhee) shared the below article:
Optique 0.7.0: Smarter error messages and validation library integrations
洪 民憙 (Hong Minhee) @hongminhee@hackers.pub
Optique 0.7.0 introduces enhancements focused on improving the developer experience and expanding its ecosystem for type-safe CLI argument parsing in TypeScript. This release brings automatic "Did you mean?" suggestions to help users correct typos, along with seamless integrations for Zod and Valibot validation libraries, ensuring more robust and efficient CLI development. Duplicate option name detection is now included to catch configuration bugs early, and context-aware error messages provide users with precise feedback. The update also features customizable shell completion naming conventions and improved line break handling in error messages. With these new features, Optique aims to streamline CLI development in TypeScript, making it more intuitive and less error-prone. This release underscores Optique's commitment to providing developers with powerful tools for building high-quality CLI applications.
Read more →The #PHP 8.5 release announcement page looks amazing! https://www.php.net/releases/8.5/en.php
I’d love to see this design treatment applied to the rest of php.net.
수상한 컨셉의 함수형 언어가 1.0을 찍었는데 생각보다 재밌어 보여서 한 번 찍먹해 볼까 싶다.
https://www.unison-lang.org/unison-1-0/ https://rosettalens.com/s/ko/the-big-idea https://rosettalens.com/s/ko/abilities-and-ability-handlers
도메인 분실[?]로 hollo로 갈아탔습니다. 갈아타는게 쉽지 않군요. 기존에 쓰던 Android/iOS Client와의 호환성도 추가적으로 체크해봐야할것 같습니다. ㅠㅠ
C++ rant만으로 2시간 분량을 채울 수 있다는 게 놀랍다 (CW: AI 삽화) https://youtu.be/7fGB-hjc2Gc
지금 아이디어는 load에서 SSR인지 여부에 따라서 T | Promise<T>를 던져서 SSR에서는 바로 데이터 / CSR 에서는 Promise 결과가 스트리밍되게 하고 +page.svelte에서는 항상 #await :then을 씌워주면 SSR때도 Promise 아닌게 들어오면 :then을 렌더링하니까 어떻게 될 거 같긴 한데 어쨌든 SvelteKit의 간단한 구조는 포기해야 하니까... (어쩔 수 없는거지 싶기도 하고)
@robin 관련된 내용인지는 모르겠는데, 비동기 SSR 관련해서 뭔가 업데이트가 진행중인 것 같네요. (대충 비동기로 SSR이 되게 할 예정이라는 공지)
https://github.com/sveltejs/svelte/discussions/16784
Fediverseのアドベントカレンダー、2025年も会場をご用意しています。
アドベントカレンダーはキリストの降誕祭・待降節に由来するもので、
12月1日(クリスマスの4つ前の日曜日)〜12月24日、毎日印をつけたり、毎週キャンドルを灯しながら数えていく習慣がありまして、
クリスマスを待つ子供達に、お菓子やおもちゃが入った扉がついているカレンダーがつくられ、毎日ひとつずつ開けていく習慣が根付いています。
大人向けの、紅茶とか化粧品の入ったカレンダーも、だいぶメジャーになってきましたよね。
で、これになぞらえて行われている、毎日記事を書いて発表する技術界隈から始まったイベントがありまして、
その流れを汲んでいるのが、今回私たちが企画しているアドベントカレンダーです。
みんなでテーマに沿った記事を持ち寄って、それを読んで一年を振り返ったり、知見を共有したり、抱負を語ったりするイベントです。
個人的な感想や振り返りなども受け付けているので、みなさん、ぜひ参加してください。エントリー受付中です。
登録・詳細はこちらからどうぞ。
https://adventar.org/calendars/11463
「ご自身のブログや、Hackers' Pub、投稿できるその他のサービスを利用して記事を公開し、そのURLを登録してください」
Hackers' Pubって書いてある😍
まだHackers' Pubで記事を書いたことがないので、この機会になにか書いてみようかな🍤
네이버 모각코 지도를 오랫만에 업그레이드합니다. 24시, 야간, 밤 11시 이후 마감, 심야, 새벽 시간에도 운영하는 카페들을 모아 별도 지도로 준비하고 있습니다.
많이 제보하고 공유해주세요~ 🤗
오라클 쿠버네티스에 OCI native ingress controller 설치하는거 계속 고급 클러스터를 쓰라면서 안 되는데 문서에서는 일반 클러스터도 할 수 있다고 해서 황당했는데 알고보니 일반 클러스터는 생성 시에만 애드온을 설정할 수 있고 고급 클러스터는 생성 후에 별도로 추가할수 있는 그런거인거 같다... 문서화너무구려궁시렁궁시렁
11월 나온 모델만 가지고 regression 때리면 내년 1월 중순에 SWE-Bench 가 saturate되네요. 굉장히 optimistic 한 전망이지만 반대로 갑자기 exponential grokking이 발생할수도 있으니 무섭네요
opus 4.5 파일 수정 속도 이거 무슨 일이래
Codex 쓸맘이 안드는게 ChatGPT는 틈만나면 친한척 해서 Claude 계속 씀
잘 놀고와서 그런지 작업이 잘 된다
SvelteKit의 +page.svelte가 +page.ts를 기다리는 구조가 SSR 시에는 복잡도를 엄청 줄여주는데 (데이터가 다 로딩되어 있어서 <Suspense> 등이 필요 없으니까...) CSR 때는 페이지 렌더링을 늦추는 주범이 되는 것 같아서 고민
지금 아이디어는 load에서 SSR인지 여부에 따라서 T | Promise<T>를 던져서 SSR에서는 바로 데이터 / CSR 에서는 Promise 결과가 스트리밍되게 하고 +page.svelte에서는 항상 #await :then을 씌워주면 SSR때도 Promise 아닌게 들어오면 :then을 렌더링하니까 어떻게 될 거 같긴 한데 어쨌든 SvelteKit의 간단한 구조는 포기해야 하니까... (어쩔 수 없는거지 싶기도 하고)
SvelteKit의 +page.svelte가 +page.ts를 기다리는 구조가 SSR 시에는 복잡도를 엄청 줄여주는데 (데이터가 다 로딩되어 있어서 <Suspense> 등이 필요 없으니까...) CSR 때는 페이지 렌더링을 늦추는 주범이 되는 것 같아서 고민
최적화 작업을 위해 프로파일러를 만들었는데 확실히 분석 도구가 있으니까 효율적으로 작업을 할 수 있게 된 것 같다. 이전에는 깜깜히 진행하는 느낌이였는데 본격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되니까 뭘 해야하지 잘 보이는 느낌임
오라클 클라우드의 가장 좋은 점은 NAT 게이트웨이에 돈을 받지 않는다는 점이다... 어떻게 이걸 그렇게 비싼 가격을 받을까 다른 클라우드들은...
Black 이거 왜 인기지? 문자열 기본이 홑따옴표가 아니라 쌍따옴표인데? 게다가 끄는 옵션만 있고 홑따옴표로 강제하는건 없네? Black 불매한다
洪 民憙 (Hong Minhee) shared the below article:
도커로 구축한 랩에서 혼자 실습하며 배우는 네트워크 프로토콜 입문 #4
자손킴 @jasonkim@hackers.pub
이 글은 네트워크 계층과 애플리케이션을 연결하는 L4 전송 계층의 핵심 개념을 소개합니다. 포트 번호를 통해 애플리케이션을 식별하고, UDP와 TCP 프로토콜의 특징과 패킷 형식을 설명합니다. UDP는 실시간성을, TCP는 신뢰성을 중시하며, TCP는 3-way handshake로 연결을 설정하고, 흐름 제어, 혼잡 제어, 재전송 제어를 통해 데이터 전송을 관리합니다. 특히 TCP 커넥션의 상태 전이 과정과 4-way handshake를 통한 연결 종료 과정을 상세히 다룹니다. 이 글을 통해 독자는 L4 전송 계층의 작동 방식과 TCP의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 메커니즘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얻을 수 있습니다.
Read more →
洪 民憙 (Hong Minhee) shared the below article:
Tootleの話
のえる @noellabo@hackers.pub
この記事では、長らく更新が途絶えているものの、多くのユーザーに愛用されているMastodonクライアントアプリ「Tootle for Mastodon」について解説しています。古いアプリであるため、新しいMastodonの機能に対応していないことや、通知によるアプリのクラッシュ、通知リレーサーバーの不安定さ、課金時の不具合といった問題点が指摘されています。さらに、プライバシーポリシーの未公開やクリップボードへのアクセス警告など、プライバシーに関する懸念も提示されています。アプリがGoogle Analytics for Firebaseを使用し、利用状況に関するテレメトリ情報を収集していることが確認されていますが、現時点では悪意のある設計とは断定できないと結論付けています。Tootleの利用継続については、作者の過去の言動から各自で判断する必要があると述べています。
Read more →https://eatchangmyeong.github.io/2022/04/22/interest-driven-mu-recursive-functions.html 이 글을 재작성하고 싶은데 예시로 뭘 들어야 될지 모르겠다..... μ를 반드시 써야 되고 구현 난이도가 적당한 거였으면 좋겠는데 생각나는 게 너무 어려운 것밖에 없다
후쿠오카로 여행을 왔지만 일단 https://github.com/fedify-dev/fedify/pull/484을 올렸다. 감사합니다 ㅋㅋㅋ
@hongminhee洪 民憙 (Hong Minhee)
https://developer.mozilla.org/en-US/blog/image-formats-codecs-compression-tools/
모질라 개발자가 작성한 jpeg, avif 비교 기사. 모질라는 mozjpeg으로 이미지 파일 최적화에 기여해왔고 jpeg를 다룬 경험이 많은 곳. 결론은 고화질에서는 큰 이득이 없지만 저-중화질에서는 유리하다고.
개인적 경험으로는, 최신 AOM 코덱 기준 인코딩 시간이 jpeg보다는 느리지만 실사용에 방해될 정도는 아니었고, 내가 쓰는 (상당히 고화질) 기준으로 2MP 정도에서는 30~50% 정도 이득이 있었음. 웹에 올리는 용도로는 가치가 있다.
나는 내부 아카이빙용으로 초고화질 손실 12MP avif를 사용하고 있음. Lossless webp와 비교시 화질 차이는 거의 없으면서 용량이 반으로 준다는 장점이 있다. jpeg과 비교시 artifact가 잘 안 보이는 것도 좋음. Lossless 대비 색 수가 반 정도로 줄지만.
Im @Engineering cafe in FUK (^ν^)
요즘 AI 수학자/과학자를 만들겠다는 스타트업들이 생기고있는데, 멤버들도 빅테크 출신에 쟁쟁하고 투자도 크게 받는 등 절대 장난같은건 아니다. 그치만 의문이 드는건 피할수가 없는데... 만약에 AI 사업가를 만드는 스타트업을 세워서 VC를 찾아가면, '...그냥 직접 비즈니스를 하시죠?'라고 할게 당연하지 않나. AI 수학자/과학자를 만드는 스타트업도 비슷한 느낌이다. 그냥 연구 결과 낸다음 빅테크 인수될 계획이라고 하면 할말은 없다만.
하스켈 소켓 통신 라이브러리 이름을 rocket 이라고 지으면 상도덕에 어긋나나?
사이버 날씨라는 말 개웃기네
오늘은 aws 날씨 흐림
오늘은 cloudflare 날씨 흐림
ㅋㅋㅋㅋㅋ
마스토돈 CEO 자리에서 물러납니다
------------------------------
- *Mastodon 창립자 Eugen Rochko* 가 약 10년 만에 CEO 자리에서 물러나며, *상표권과 자산을 비영리단체에 이양*
- 프로젝트가 개인 중심이 아닌 *커뮤니티 중심 구조* 로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 핵심 목표
- 소셜미디어 운영의 *정신적 부담과 대중의 기대* 가 사임 결정의 주요 배경으로 언급
- 지난 10년…
------------------------------
https://news.hada.io/topic?id=24472&utm_source=googlechat&utm_medium=bot&utm_campaign=1834
아 열심히 코딩하고 있었는데 클로드가 죽어서 코딩을 못하겠네 하하
내일은 오랜만에 튜링의 사과 가야지...
#rustlang hot take: We should rename .unwrap() to .or_panic(). (And .expect() to .or_panic_with().) "Unwrap" is a terrible name for the panicking function, especially since we also have things like .unwrap_or() and .unwrap_or_default() which never panic.
요즘 새로운 프로젝트를 진행중이다.
많은 언어들의 많은 패키지 매니저들이, 패키지에 대한 테스트를 돌릴 방법은 제공하면서(npm test 등) 막상 그 패키지 레포를 클론떴을때 그 패키지를 사용하는 아무 예제나 실행시켜볼 쉽고 통일된 방법은 잘 제공 안하는 거 같다. 가령 examples/*의 코드들을 실행시킬 방법은 npm 패키지들마다 제각각이다. 왓더??
클라우드플레어에 의존하지 않는 신토불이 서버를 세워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