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file img

구슬아이스크림

@icecream_mable@hackers.pub · 61 following · 45 followers

인간의 언어처리와 LLM의 언어처리를 서로 비교하는 전산심리언어학(Computational Psycholinguistics)을 연구했'었'습니다.

하지만 CS덕질이 더 재밌다는 걸 깨닫고선 대학원을 탈출했습니다.

요즘은 데이터 엔지니어링과 컴파일러가 재밌어요.

Github
@kihyo-park
Blog
kihyo-park.github.io
Linkedin
kihyo-park

오래 전

현대 컴퓨터는 계산기라기보다는 복사 기계에 더 가깝다

는 문장을 읽었고 그것에 대해 종종 생각함. 생각해 보면 정말 하는 일이 대개 그런 것에 속한다고 느낌. 어딘가에 있다는 데이터를 모으고 가공하고 정제해서 또 어딘가에 두고 그걸 누군가 가져갈 수 있게 하는 일 끊임 없이 반복함. 데이터의 형식이나 크기나 여러 속성이 다양하고 그래서 다루는 방법과 기술에도 많은 차이가 있지만 어쨌든. 요즘 종종 인용되는 타입 검사는 해결책이 아니라 증상이다(Type Checking is a Symptom, Not a Solution)에 대한 반응들을 보고 직렬화 글과 거기 인용된 인터넷은 디버깅 모드로 돌아가고 있다는 글까지 떠올랐음.

(이 글은 Hackers' Pub에서 제공하는 Markdown 문법 가이드에 익숙해지기 위한 시도로 작성함.)

5

Perl을 만든 언어학자 Larry Wall이 쓴 글 중에 종종 다시 읽어 보는 글

Human languages therefore differ not so much in what you can say but in what you must say. In English, you are forced to differentiate singular from plural. In Japanese, you don’t have to distinguish singular from plural, but you do have to pick a specific level of politeness, taking into account not only your degree of respect for the person you’re talking to, but also your degree of respect for the person or thing you’re talking about.

Programming is Hard, Let's Go Scripting...

그렇기 때문에 사람의 언어는 당신이 그렇다고 생각하고 있던 것과는 많이 다르다. 영어로 얘기할때는 단수와 복수를 확실히 구분해야만 한다. 일본어에서는, 단수와 복수를 구분할 필요는 없지만, 정중함의 정도를 조절할 줄 알아야 한다. 즉, 상대방에 대한 존경을 표현할 수 있는 정도를 선택해야 하고, 상대방의 입장에서 내가 존중 받아야 하는 정도를 생각해서 말해야 한다.

프로그래밍은 어렵다, 스크립팅의 세계로 가보자...

9

LWN.net의 What every programmer should know about memory 시리즈를 훑어 보고 나서 든 생각인데, 현대적인 컴퓨터의 메모리 모델이란 건 사용성 관점에서는 놀라울 정도로 투명하게 추상화되어 있으면서 동시에 성능 관점에서는 무시무시할 정도로 새는 부분이 많은 추상화인 것 같다.

인상깊었던 부분 중 하나는, 코드를 실행해 보기 전에는 완벽한 최적화가 사실상 불가능한 메모리 접근 패턴이 드물지 않게 발생할 수 있다는 건데, 이런 부분 때문에 JIT 컴파일러가 AOT 컴파일보다 잠재적으로 더 우수한 성능을 낼 수 있다는 주장이 있었던 걸까 싶다.

6
3
0
0

지금 리눅스 진영에서 컨테이너/네임스페이스의 입지가 어떻게 될까요? 사실 요즘 서비스 배포할때는 죄다 컨테이너 쓰잖아요? 근데 또 컨테이너로 할수 있는 것중 상당수는 그냥 기존 권한 관리로도 가능하단 말이죠? 근데 컨테이너를 쓸땐 기존 권한 관리를 그냥 없는셈 치고 접근하게 되는데 이게 정말로 다들 동의하는 방식인지가 궁금합니다.

3
6

最近(최근) 한창 開發中(개발중)인 Fedify 基盤(기반) ActivityPub 서비스 2():

完全(완전) 期待中(기대중)!!

6

구슬아이스크림 shared the below article:

페디버스에서 어떤 사람들을 팔로하면 좋을까?

Jaeyeol Lee @kodingwarrior@hackers.pub

페디버스 입문이 막막한 개발자들을 위해, Hackers' Pub을 포함한 ActivityPub 기반 서비스 활용법을 소개합니다. 트위터와 달리 추천 기능이 부족한 페디버스에서, 어떤 인스턴스를 선택하고 누구를 팔로우해야 할지 어려움을 겪는 분들을 위해 유용한 정보들을 제공합니다. 먼저, 개발자들이 많이 모여있는 국내외 마스토돈 인스턴스들을 소개합니다. silicon.moe, hachyderm.io, emacs.ch 등 다양한 관심사에 맞는 인스턴스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Geeknews Bot, Hacker News, Lobsters 등 개발 관련 뉴스를 제공하는 계정들과, Mastodon, Golang, Asahi Linux 등 오픈소스 프로젝트에 기여하는 개발자들을 팔로우하여 유용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이 글은 페디버스 생태계에서 개발자들이 양질의 정보를 얻고 소통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페디버스 입문자들이 자신에게 맞는 인스턴스와 계정을 찾아 팔로우함으로써, 더욱 풍부하고 유익한 경험을 할 수 있도록 안내합니다.

Read more →
8
6
4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