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onhairdino @hongminhee洪 民憙 (Hong Minhee) 일단 제 추측은 국내 소프트웨어 시장이 설치형에서 서비스형으로 그 중심이 옮겨 갈 무렵 현장에서 release/distribute/deploy의 개념을 혼용해 사용하면서 그렇게 굳어진게 아닌가 싶었는데요.

마침 TTA 정보통신용어 사전을 검색해 보니까 전개/배치 (https://terms.tta.or.kr/dictionary/dictionaryView.do?word_seq=088174-1) 처럼 영어로 deployment에 대응되는 용어들은 대부분 말씀하신대로 "배치" 또는 "전개"로 정의되어 있고, "배포"로 정의되어 있는 건 배포 (https://terms.tta.or.kr/dictionary/dictionaryView.do?word_seq=173823-1)로 유일합니다. 그런데 이때 배포는 그 정의를 살펴보면 설치형 소프트웨어의 배포(distribute/release) 개념을 서비스형 소프트웨어로 확장하면서 만들어진 것으로 보입니다.

용어의 쓰임으로 보나 TTA 표준을 따르나 deployment는 제안하신 "배치"나 "전개"로 부름이 적절한 것 같지만, 현재는 어떤 우연한 계기로 "배포"라고 부르는 관습이 업계에 강하게 자리잡은 것 같네요.

2

❤️

2 people reacted.

Hi, I'm who's behind Fedify, Hollo, BotKit, and this website, Hackers' Pub! My main account is at @hongminhee洪 民憙 (Hong Minhee).

Fedify, Hollo, BotKit, 그리고 보고 계신 이 사이트 Hackers' Pub을 만들고 있습니다. 제 메인 계정은: @hongminhee洪 民憙 (Hong Minhee).

FedifyHolloBotKit、そしてこのサイト、Hackers' Pubを作っています。私のメインアカウントは「@hongminhee洪 民憙 (Hong Minhee)」に。

지금까지 다루어 봤던 언어는 아래와 같습니다. MSX Basic Z80 Assembly Pascal GW-Basic C Macromedia Director Visual Basic PHP Flash Actionscript C++ Javascript

그리고 지금은, 하스켈을 비즈니스에 쓰려고 몇 년간 노력하고 있습니다. 지금 상태는, 하스켈 자체를 연구하는 게 아니라, 하스켈 (혹은 함수형 언어) 이해가 어려운 이유를 연구하는 아마추어 연구가쯤 되어버렸습니다. 하스켈 주제로 블로그를 운영 중이지만, 아직은 하스켈 프로그래머라고 자신 있게 말하진 못하고 있습니다. 가끔 이해에 도움이 될만한 측면이 보이면, 가볍게 아이디어를 여러 SNS에 올려보곤 하는데, 그다지 프로그래머에게 쓸모 있는 내용이 포함되진 않는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