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아는 바이브 코딩은 음주 코딩이었는데...
김무훈
@iamuhun@hackers.pub · 32 following · 44 followers
업으로서 약 3년 간 웹 프런트엔드 서비스 개발을 경험한 컴퓨터 공학 학부생입니다.
모두를 위한 접근성 지원과 웹 표준 동향, 오픈소스 참여에 주목하여 엔지니어링에 관심을 갖고 있습니다.
터미널에 대해 궁금한 점이 생겨 자료를 찾다 보니 Windows Console Team에서 연재한 시리즈물을 발견했는데, 그 내용이 참 유익했다.
Windows Command-Line Series:
- Backgrounder
- The Evolution of the Windows Command-Line
- Inside the Windows Console
- Introducing the Windows Pseudo Console (ConPTY)
- Unicode and UTF-8 Output Text Buffer
콘솔 앱이 터미널과 입출력을 주고 받는 것을 공기처럼 당연하다고 생각했는데, 그 과정에는 커서 이동이나 개행 등과 같은 제어 문자를 렌더링하거나 SIGINT 같은 시그널을 발생시켜주는 처리가 존재했다. 터미널과 콘솔 앱이 서로 분리된 구조가 과거 물리 터미널로부터 비롯된 것도 흥미로웠고 말이다. 사실 이해 못 한 부분이 아직 많아서 다음에 또 읽어볼 생각이다.
소리치는 인터페이스
김무훈 @iamuhun@hackers.pub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어떤 기능이 있는지 스스로 소리쳐서 알려주어야 합니다. https://www.frontend.moe/posts/screaming-interface/ 이전에 클린 아키텍쳐를 읽다가 얻은 인사이트를 정리하여 공유합니다.
웹 접근성이 UI 설계에 중요한 이유
김무훈 @iamuhun@hackers.pub
웹 접근성의 중요성과 WAI-ARIA 표준을 바탕으로 한 의미론적인 UI를 설계한 사례를 블로그에 공개했습니다.
전문성 검증이 필요한 분야이다 보니, 퇴고 과정에 접근성 전문가 @resistan 님의 도움을 받았습니다.
오 안녕하세요, 웹 몇 개월 전에 직접 운영하고 계신 접근성 사이트맵을 접한 프런트엔드 프로그래머입니다.
개인 블로그에 올릴 웹 접근성이 UI 설계에 중요한 이유 - 웹 접근성의 의의와 의미론적인 CSS 규칙을 설계하는 방법 초안 작성을 마치고 퇴고 작업을 거치는 중입니다. 레퍼런스 검증 등 객관성이 중요한 분야이다 보니, 작업 중간에 몇몇 전문가 분의 의견을 받고 싶어 커뮤니티 가입을 신청했습니다.
그리고 글 맨 하단 섹션에 글을 기획하며 찾은 외부 자료에 대해 목록을 추렸어서 참고 문서 추가에 도움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디지털 접근성에 관심 있는 분들이 계시려나...
구린 영어 실력에 LLM을 빌어서 일단은 혼자 하고 있지만...
예전처럼 평가 중심이 아닌 구현 방법 중심의 글을 좀 생산하고 싶다고...
일단 계획은 이런데... 같이 할 사람 있으면 좋겠다고 생각합니다아아...
GN⁺: 오늘날 평균적인 대학생의 모습
------------------------------
- 저자는 *Gen X 세대* 로, 매우 이른 나이에 박사 학위를 취득해 *30년 넘게 교수로 재직 중* 임
- "*요즘 애들 타령* "으로 치부되는 것을 알고 있지만, "*지금 학생들은 정말 예전과 다르며, 이 변화는 주목할 만함* "
- 근무 중인 학교는 *미국의 지역 공립 대학* 으로, 이 대학의 학생들은 거의 모든 …
------------------------------
https://news.hada.io/topic?id=20049&utm_source=googlechat&utm_medium=bot&utm_campaign=1834
better CSS에 대한 접근들(CSS-in-JS, Atomic CSS, Preprocessor)의 공통된 한계는 constraint solving 방식이 아니란 것이다.
다들 어떤 기존의 스타일을 '덮어쓰는' 방법, 근데 개중에 좀 잘 덮어쓰는 방법을 찾고 있다. 그런데 많은 경우, 뭔가를 덮어쓰려고 하고 있다면, 그건 사실 값을 덮어쓰는게 아니고 만족해야할 조건을 추가하고 싶은거다. 값을 덮어쓰는 것은 조건을 추가하는 방법 중 가장 강제적인 하나의 방법일 뿐이고. 즉, 디자인 시스템은 어떤 조건들의 합들로부터 실제 스타일을 구하는 방법이어야 하고, 개발자는 조건만 명시할 수 있어야 한다.
constraint solving을 잘 설계하고 구현하는게 어렵다 왜 이렇게 안 하냐고 하긴 좀 거시기하다. 그래서 나도 요즘 propagator를 공부중이다.
소프트웨어 개발자들이 자주 틀리는 외래어 표기법.
영어 | 틀린 표기 | 올바른 표기 |
---|---|---|
app | 어플 | 앱 |
application | 어플리케이션 | 애플리케이션 |
directory | 디렉토리 | 디렉터리 |
front-end | 프론트엔드 | 프런트엔드 |
message | 메세지 | 메시지 |
method | 메소드 | 메서드 |
release | 릴리즈 | 릴리스 |
repository | 레포지토리 | 리포지터리 |
또 있을까요?
반갑습니다. 소집해제입니다.
https://www.frontend.moe/posts/naver-2025-coding-test/ 팀네이버 코딩 테스트 후기를 개인 블로그에 올려두었습니다. 꾸준히 일할 수 있는 지속 가능한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로서의 삶을 지켜내고자 반성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iamuhun김무훈 무훈 님, 어서오세요! 오랜만입니다.
@hongminhee洪 民憙 (Hong Minhee) 반갑습니다!! 여태 페디버스 서비스 중에 가장 사용성이 편해서 맘에 드네요.
해커펍은 퍼머링크로 아카이빙 참조하기 최적이라 생각해서 앞으로 기술을 다루며 기록 및 참조하는 용도로 잘 사용하려고 합니다.
트위터는 나중에 다른 사람에게 보여줄 참조용으로 쓰기에는 너무 정보 대비 소음이 많은 특성 때문에 잘 맞지 않는다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