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github.com/pitch-connect/fedify-nestjs-example/
ActivityPub 어플리케이션이 어떻게 동작해야하는지 이해하는걸 베이스로 "바이브"하면서 조금씩 튜닝하는걸로 전략을 바꿈
@kodingwarrior@hackers.pub · 509 following · 400 followers
Neovim Super villain. 풀스택 엔지니어 내지는 프로덕트 엔지니어라고 스스로를 소개하지만 사실상 잡부를 담당하는 사람. CLI 도구를 만드는 것에 관심이 많습니다.
Hackers' Pub에서는 자발적으로 바이럴을 담당하고 있는 사람. Hackers' Pub의 무궁무진한 발전 가능성을 믿습니다.
그 외에도 개발자 커뮤니티 생태계에 다양한 시도들을 합니다. 지금은 https://vim.kr / https://fedidev.kr 디스코드 운영 중
https://github.com/pitch-connect/fedify-nestjs-example/
ActivityPub 어플리케이션이 어떻게 동작해야하는지 이해하는걸 베이스로 "바이브"하면서 조금씩 튜닝하는걸로 전략을 바꿈
클로드 코드로 "바이브" 했더니 fedify nestjs 연동이 따잇!! 라이브러리로 다듬어서 내놓기까지는 7월은 안넘어갈듯? (희망사항)
https://github.com/fedify-dev/fedify/issues/270
나도 넣어봤다! Fedify 이슈!!
개인적으론 Velog의 상위호환이라고 생각하는 일본의 Zenn에서도 agentic coding이 굉장히 핫한듯
"오늘의 해커뉴스 요약"이라고 한국어로 매일마다 해커뉴스를 한국어로 요약해서 보내주는 헤임달 프로젝트가 있었습니다. 언제부턴가 다시 다른 이름으로 부활했는데요...... 바로 요겁니다. https://every.news 좀 더 범용적인? 느낌으로 다시 부활한 것 같아요.
Thanks to @anaclumosSunghyun Cho
매일마다 해커뉴스를 요약해서 보내주는 뉴스레터는 요깄습니다 https://every.news/alerts/8XYPTZZVV7ZJ
https://gerred.github.io/building-an-agentic-system/
Ever wondered how modern AI coding assistants actually work? Beyond the prompts and demos, there's a rich ecosystem of patterns, architectures, and engineering decisions that make these systems effective.
This series reveals those patterns. It's the missing documentation—a practical engineering guide based on real production systems, including deep analysis of Amp (the collaborative platform), Claude Code (Anthropic's local CLI), and open-source implementations like anon-kode.
Claude Code의 구현원리를 소개하는 책이라.....
한빛미디어 @minhyeok민혁
인사이트
@skeorl2916진불
@seha
이렇게 IT 도서 출판사 분들이 계십니다
한국에 있는 연합우주 인스턴스들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사이트 어디 없나 https://status.xxxxxxxx.net 같은
2분기 결산 스킵하고 3분기랑 합쳐서 합니다.... 큼직한게 3분기에 몰려있음..
여기에도 내가 있다...
aider 커맨드로 스크립팅이 가능하다는건 알았는데, 이런 식으로 넘겨줄 수도 있구나. 파일을 싹 다 grep해서 하나하나 맞춤형으로 프롬프트 넣고 수정하는...
해커스펍에서도 출판사 분들이 자주 비추시려나 (기대)
오피셜이 떴는데..... 많은 일들이 있을 것 같습니다 😇😇😇
https://activitypub.rocks/implementation-report/
여기에 hackerspub이랑 hollo 들어가는 상상
https://github.com/mastodon/mastodon/pull/34964/files
마스토돈에 알고리즘 기반의 계정 팔로 추천 기능이 4.4에 들어갈 예정이라고 한다........
레일즈 기반의 Fasp(Fediverse Auxiliary Service Provider) 프로바이더 구현체를 어디선가에서는 공유했던 것 같은데, 기억이 가물가물하다.
오, 이맥스컨퍼런스 참가자 모집
드디어 스레드에서 연합우주 계정 팔로우가 된다... @alternative00__alternative 님 덕분에 알게된 사실...
카네기멜런 조교수가 권장하는 "모든 개발자들이 해보면 좋은 프로젝트"
텍스트 에디터
2d game
컴파일러
작은 운영체제
스프레드시트
비디오게임 콘솔 에뮬레이터
그 외에도 데이터베이스 직접 만들기, 그림판 직접 만들기, 터미널 유틸리티 직접 만들기
마틴파울러 블로그에서도 Agentic Coding에 대한 글이 꾸준히 연재되고 있는듯. 정제도 되어있고 한번에 모여있어서 좋다. https://martinfowler.com/articles/exploring-gen-ai.html
Javascript Weekly 뉴스레터에 @hongminhee洪 民憙 (Hong Minhee) 님의 Logtape가 소개되었습니다
해커스펍에 새로 들어오는 분들이 계실땨마다 끌올,,,
진짜 발표자료 5개 준비 어떻게 하냐 (먼산)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 가이드북 저자 게르겔리 오로스, 켄트백 둘다 페디버스 계정 있는걸 사이먼 윌라이슨 계정을 통해 알았다..... 페디버스에서 네임드 개발자 찾으라면 있긴 있는데, 사혼의 구슬 찾는듯한 이 묘한 기분
슬슬 분기결산할때가 오긴 했군아....
나는.. 가끔.. https://hackers.pub/nodeinfo/2.1 를 확인한다...... 오늘 기준으로 해커스펍 가입하신분 대략 345명...
@yang 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프로젝트 여러개 동시에 작업할 일이 있어서 Claude Code를 동시에 여러개 돌려야 하는데, 한 화면에서 볼 수 있는 괜찮은 멀티플렉서가 뭐가 있을까 하고 찾아봤는데.... zellij가 제 몫을 하는 것 같다.
사용방법이 어려울 줄 알고 쫄아서 시도 조차를 안했었는데, 화면 최하단에 어떤 단축키를 쓰면 어떤 동작이 일어난다고 친절하게 명시되어 있어서 진입장벽도 그렇게 있지는 않은듯....?
두달내내 발표자료를 깎지 않을까.. 싶네요.. 파이콘(세션 발표, 커뮤니티 소개 발표) / 우부콘(세션 2개) / 모각작모임 라이트닝 토크. 요렇게 5개를 준비하게 생겼습니다.
전반적으로 내용은 얼추 완성이 되긴 했는데, 피그마로 만들었던 자료를 구글 슬라이드 기반의 템플릿으로 하나하나 다 옮겨야 함...
그리고 Claude Code로 실험을 좀 많이 하게 될 것 같아요
해커스펍의 게시글에 단문이나 attachment를 인용할 수 있는 기능이 생기면? 내용이 좀 더 풍부해지고 가독성도 괜찮을 것 같음. 문제는 구현 난이도가 크흡...
내가 그닥 좋아하는 사람은 아니지만 Ruby On Rails의 메인테이너이자 37signal의 대표는 DHH는 이런 얘기 를 했었다.
요약하자면,
인용한 글에서도 비슷한 내용이 언급이 되어 있는데, 결국에는 사람이 수제로 작업하는것이 개인의 성장에 도움이 되고 대 LLM의 시대에 리터러시를 키울 수 있게 된다는 것
LLM의 편의성은 자명하지만, 적당히 비용효율적으로 트레이드오프 맞춰서 업무를 하더라도 내가 키우고 싶은 코어스킬을 키우는데 있어서는 정신을 곤두세울 필요가 있지 않나 싶은 생각이 들었다.
Claude Code한테 뭔가를 지시하면, 지가 알아서 착착 todo list 만들어서 뭘 하려고 하는지 명시하고, 뭔가를 하고 있는 동안에는 Thinking 메시지에서 어떤 접근을 하고 있다라고 투명하게 말해주는데 일머리 있는 주니어한테 보고받는 느낌이라 굉장히 기분이 묘함.....
해커스펍에 Duolingo 마냥 QR 코드 프로필 공유할 수 있는 기능이 탑재된 꿈을 꾸었다......
Zenn 하니까 하나 더 생각나는거. Zenn에서는 트렌드를 실시간으로 받아볼 수 있도록 rss 피드를 제공한다. Velog도 마찬가지로 지원하긴 한다.
하지만... 개인적으론 벨로그보다 zenn에 올라오는 글의 퀄리티가 마음에 들었어서, @akastoot악하 님이랑 zenn trend 봇을 만들었는데...... 제목 (원문 유지/영어 번역/한국어 번역), 그리고 원본페이지/각 언어별 번역페이지 이렇게 링크를 제공해주는 방식이었다.
당시엔 네이버에서 papago api가 오픈되었기 때문에, 그럭저럭 공짜점심을 먹을 수 있었으나.... 어느 순간부터 papago api가 샷다를 내려버리는 바람에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진 봇이 되어버렸다......
지금 다시 만들게 된다면, 번역 기능은 DeepL 번역 API 쓰고, 자동번역페이지는 더 이상 못쓰게 되었으니 각 언어별 3줄 요약 정도만 남기고, 봇 굴리는건 @botkitBotKit by Fedify
으로 할 수 있지 않을까.....
ryoppippi 라는 일본쪽 개발자 분을 neovimconf.live에서 발표했을때 인연으로 지나친 적 있어서 일방적으로(?) 알고 있긴 한데, ccusage 같은 것도 만드시고 한국 기업인 뤼튼테크놀로지에서도 잠깐 일하시기도 하셨더라... 뭔가... 핸들을 볼때마다 내적반가움을 느낌..
@yssung106돌고드름
@gomtaengee
@girin영화사랑기린
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Hashicorp의 전 CTO이자, Ghostty 터미널 앱을 만든 미셸 하시모토의 Agentic Engineering (feat. Zed)
해커스펍.... 모임.... 아마 가능할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이제 장소와 시간만 구하면 된다.....
@soymilk두유 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어라라라라라라 이게 왜 된거야
왠지..... 소프트웨어 마에스트로나 BoB 같은 경로로 해커스펍 유입이 들어온다면 굉장히 재밌어질 것 같은...!!
여기 모임여는거보고 대충 커비할만한거 커비해봐야지
https://x.com/zenncafe_team/status/1934808141943984286?t=RlZp8hwULdeWPLsaCIbBlQ&s=19
Zenn도 커뮤니티 밋업을 하는듯...? 참고로 Zenn은 일본에서는 dev.to 와 같은 위상의 개발자 블로그 커뮤니티이다....
슬슬..... 날이 덥구나.....
다음에 구할 리눅스 머신에는 hyprland 세팅해볼까 고민했었는데, 메인테이너의 COC 대하는 애티튜드보니까 고민이 싹 사라지는
결국 게임 클리어하는데에 시간 다 썼고.. 이제 진짜 할 일 하자...
@teslamint 여기서도 반가워욥~~!!
BoF 세션을 준비하는 것 자체가 너무 처음이라서 10분-15분 안쪽으로 교통정리하는 차원에서 에디터가 어떻게 발전해왔는지 맥락 빠르게 정리하고, 청중들이 어떻게 참여를 할 수 있는지 브레인스토밍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