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ngminhee洪 民憙 (Hong Minhee) 너무 문서만 찾아다녀서 날로 먹는 느낌이에요😂

Jaeyeol Lee
@kodingwarrior@hackers.pub · 561 following · 418 followers
Neovim Super villain. 풀스택 엔지니어 내지는 프로덕트 엔지니어라고 스스로를 소개하지만 사실상 잡부를 담당하는 사람. CLI 도구를 만드는 것에 관심이 많습니다.
Hackers' Pub에서는 자발적으로 바이럴을 담당하고 있는 사람. Hackers' Pub의 무궁무진한 발전 가능성을 믿습니다.
그 외에도 개발자 커뮤니티 생태계에 다양한 시도들을 합니다. 지금은 https://vim.kr / https://fedidev.kr 디스코드 운영 중
Blog
- kodingwarrior.github.io
mastodon
- @kodingwarrior@silicon.moe
Github
- @malkoG
@roo_37루
@hongminhee洪 民憙 (Hong Minhee) 문서를 관리하는 것 자체도 꼼꼼한 개발자로서의 중요한 덕목이죠(?)
민희님이 관리하시는 것만 봐도 문서화 퀄리티에 굉장히 감탄하게 됩니다...
문서 잘 뜯어보시면, 80 column 원칙에다가, 소스코드랑 마우스 호버하면 Document 뜨는거랑, 디테일하게 재밌는 부분이 많아요
안녕하세요. 성수동에 위치한 개발자 아지트 공간 튜링의사과입니다.
Mastodon 이전에 가입 후 관리를 못했지만 앞으로는 꾸준한 활동으로 인사 드리겠습니다. 잘 부탁드립니다. 😀
Hackers' Public 1차 모집 완판!!!!!!!!!
2회차 모임은 "연구하는 사람 여기 다 모여" 특집이 될까 "프론트엔드 하면서 툴링시스템에 고통받는 사람들 모임" 특집이 될까.. 다음 연사자로 모시고 싶은 분들 최소 5명...
React is Simple!
Think React state is easy? One wrong move and your counter breaks.
Why It Happens
React batches state updates.
Using setState(state + 1)
can overwrite updates with stale values.
The functional form setState(prev => prev + 1)
ensures correctness.
Don't
const [count, setCount] = useState(0);
setCount(count + 1);
setCount(count + 1);
// ❌ Result: count = 1
Do
const [count, setCount] = useState(0);
setCount(prev => prev + 1);
setCount(prev => prev + 1);
// ✅ Result: count = 2
Explanation
setCount(count + 1)
→ uses an old snapshot of state.setCount(prev => prev + 1)
→ React passes the freshest value.
Updating state without prev
is like asking for “one more slice” 🍕…
but the box already got emptied. Always ask from the current box.
혹시 이 문제 왤케 알고리즘 많이 쓰는지 아시는 분... 난 그냥 초부피 구하는 문제라고 생각햇는데 몬가 잇나봄..? https://www.acmicpc.net/problem/16846
@2chanhaeng이찬행 기하학 유형하면....
@evenharder이하 이 분이 굉장히 달인이셨던걸로 알고 있는데요(?)
@woaol벨 아차차차...
@kodingwarriorJaeyeol Lee 아무도 안 보내줘서 내가 직접 갑니다
@akastoot악하 얼탱이가 없네요 얼얼탱탱 후라이팬놀이도 아니고
저는 빵쇼날 영업 해달라고 썻어요
@2chanhaeng이찬행 당장은 말씀드릴 순 없지만... 재밌는 그림이 나오긴 했어요
대관료 + 강연비를 충당할 수 있을 정도의 손익분기점을 넘었다...!! 그리고 수상할 정도로 뻥셔널 얘기를 하고 싶어하는 분들이 많으신...
왜 나만 해커즈펍퍼블릭 서울 못가..
@akastoot악하 신청해놓고 갑자기?
1일차 야간의 끌올
섬세한 일러스트와 함께 설명하는 색공간. 향후 로드맵이 그래픽스부터 네트워크, ML, 컴파일러, 양자컴퓨팅까지 망라하고 있어서 아주 기대된다. https://www.makingsoftware.com/chapters/color-spaces-models-and-gamuts
@parksbSimon Park 저도 "이 시리즈는 무조건 뜬다!!" 라는 마음가짐으로 뉴스레터 구독하고 있어요
Hackers' Public @ Seoul 1회차 모임 (1차 모집)
서울에서 열리는 Hackers' Pub 오프라인 밋업, "Hackers' Public @ Seoul"이 2025월 9월 14일(일) 처음으로 개최됩니다. 처음 열리는 밋업인 만큼, 참여하는 많은 분들이 재밌게 느낄 수 있는 소재 위주로 연사자 분들을 섭외했습니다.
- 일시 : 9월 14일 (일) 오후 3시 ~ 오후 6시
- 장소 : 서울특별시 성동구 상원길 26, 튜링의사과
- 주제
강연이 끝나고 난 뒤에 자유롭게 네트워킹하는 시간을 가질 예정입니다. 각자 얘기하고 싶은 주제를 들고 오시면 좋습니다.
참여 신청
오프라인 밋업은 여기서 참여신청이 가능합니다. https://event-us.kr/hackerspubseoul/event/110961
- 모집 기간
- 1차 모집 : 8월 27일 ~ 9월 1일 (Hackers' Pub에서만 모집)
- 2차 모집 : 9월 3일 ~ 9월 7일 (Hackers' Pub 외부에서도 공개적으로 모집)
주의사항
- 본 행사는 Hackers' Pub에서 진행하는 오프라인 행사이며, Hackers' Pub 계정을 가지지 않은 분이 신청하셨을 경우 환불처리될 수 있습니다.
- Hackers' Pub 외부에서 유입하시는 경우, 각 모집기간이 끝나고 24시간 안에는 Hackers' Pub에 가입이 되어 있으셔야 참여자로 확정됩니다.
아, 포스터 올리는거 까먹었다!!
Hackers' Public @ Seoul 1회차 모임 (1차 모집)
서울에서 열리는 Hackers' Pub 오프라인 밋업, "Hackers' Public @ Seoul"이 2025월 9월 14일(일) 처음으로 개최됩니다. 처음 열리는 밋업인 만큼, 참여하는 많은 분들이 재밌게 느낄 수 있는 소재 위주로 연사자 분들을 섭외했습니다.
- 일시 : 9월 14일 (일) 오후 3시 ~ 오후 6시
- 장소 : 서울특별시 성동구 상원길 26, 튜링의사과
- 주제
강연이 끝나고 난 뒤에 자유롭게 네트워킹하는 시간을 가질 예정입니다. 각자 얘기하고 싶은 주제를 들고 오시면 좋습니다.
참여 신청
오프라인 밋업은 여기서 참여신청이 가능합니다. https://event-us.kr/hackerspubseoul/event/110961
- 모집 기간
- 1차 모집 : 8월 27일 ~ 9월 1일 (Hackers' Pub에서만 모집)
- 2차 모집 : 9월 3일 ~ 9월 7일 (Hackers' Pub 외부에서도 공개적으로 모집)
주의사항
- 본 행사는 Hackers' Pub에서 진행하는 오프라인 행사이며, Hackers' Pub 계정을 가지지 않은 분이 신청하셨을 경우 환불처리될 수 있습니다.
- Hackers' Pub 외부에서 유입하시는 경우, 각 모집기간이 끝나고 24시간 안에는 Hackers' Pub에 가입이 되어 있으셔야 참여자로 확정됩니다.
요즘 새로 배운 이것저것...
- gerrit이라는 10년 전부터 존재하던 rebase, stacked-pr workflow를 지원하는 git remote가 있다
- 커널 개발하는 변태들이 쓰는 mailing-list workflow는 사실 rebase, stacked-pr workflow와 매우 유사하다
- EU쪽에도 jj 기반의 탈 github 개발자 허브를 만들려는 움직임이 있는듯. (개인적으론 tangled.sh가 더 유력해보임)
가장 놀랐던건 mailing-list workflow... 이거 진짜 생각보다 나쁘지 않은 것 같기도, tangled.sh에서 mailing-list를 지원할 수 있다면, gh 같은 별도의 cli 툴 없이도, 협업까지 터미널에서 처리할 수 있어보임.
@kodingwarriorJaeyeol Lee 이건 좀 궁금하네요. 비공개 밋업인가요?
@boltlessboltless.me 이벤터스 좌표가 곧 올라올 예정이긴 한데, 어떻게 보면 비공개고 어떻게 보면 공개입니다(?)
어딘가의 요청으로 두번째로 추천사를 쓴다.... 암튼 그렇게 되었다...
@msy윤민석 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https://github.com/Avik-creator/manim-mcp
3b1b가 애니메이션 만들때 사용하는 라이브러리 manim이 있는데, 이걸 이용해서 애니메이션 깎는 코드를 생성하도록 도와주는 MCP 서버도 나왔다... 세상 신기하네...
오이카페에 ActivityPub 지원이 들어갔습니다. 이제 좋아하는 작가나 커뮤니티의 새 그림을 연합우주에서도 받아 보세요!
작가 프로필이나 커뮤니티 메인 페이지에서 ActivityPub 핸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인용된 그림은 ActivityPub 연동을 도와주신 @hongminhee洪 民憙 (Hong Minhee) 님이 오이카페 초창기에 그려 주신 고양이 그림입니다. 감사합니다!
@akastoot악하 왜냐면 내일 딱 맞춰서 오픈하려구요
해커스펍 오프라인 밋업... 9월 14일... 연사자 분들이 다들 훌륭하신 분들인데... 오픈하고 싶어서 근질근질하네...
Ask HN: 소프트웨어 설계를 배우기에 좋은 최고의 코드베이스는 무엇인가요?
------------------------------
- 소프트웨어 설계 능력을 향상시키고자 노력하고 있는데, 기존의 잘 설계된 코드베이스를 연구해 보라는 권유를 받았음
- 공개적으로 접근 가능한 코드베이스 중 소프트웨어 설계의 골드 스탠다드로 여겨지는 것은 어떤게 있는지 궁금함
## 1\. *추천 코드베이스*
- *대형/대표 프로젝트*
- Git, Postg…
------------------------------
https://news.hada.io/topic?id=22729&utm_source=googlechat&utm_medium=bot&utm_campaign=1834
하마터면 내가 올린 그림이 썸네일로 올라올 수 있었는데 아깝다(?)
안녕하세요. 닷넷데브 운영진 남정현입니다.
닷넷 개발자와 클라우드 엔지니어의 만남, .NET Universe CloudBro Edition에서 시작합니다!
이번 컨퍼런스에서는 개발자를 위한 DevOps 도구인 Aspire와 .NET 10의 강력한 DX를 완성하는 File-based App 기반을 새롭게 소개하며, Container, Kubernetes, Observability 등에 관한 업계 동향, 인사이트를 종합적으로 알아보실 수 있는 세션으로 구성될 예정입니다.
이번 미니 컨퍼런스는 다음주 목요일 (9/4) 저녁 6시 30분터 9시 30분까지, 역삼동 마루360 지하1층 성장 세미나룸에서 열립니다. 평소 데브옵스 기술과 컨테이너 기술에 관심이 많으셨던 분들께 인사이트를 드릴 수 있는 알찬 세션으로 구성하였습니다.
좌석이 한정되어 있어 빠른 신청이 필요합니다. 지금 바로 신청해주세요!
등록하기: https://event-us.kr/dotnetdev/event/110640
#닷넷 #CloudBro #닷넷데브 #DevOps #K8s #CloudEngineering #platformengineer
Today is the new semester for @CMUDBCMU Database Group's Intro to Database Systems! We're going harder into material than ever before. Projects are more challenging but you can use LLMs to help. We also have 10min talks each Wed from leading DB companies. Follow from home/prison on YouTube: https://15445.courses.cs.cmu.edu/fall2025
Everything is available for free to non-CMU students:
• Lectures on YouTube: https://www.youtube.com/playlist?list=PLSE8ODhjZXjYMAgsGH-GtY5rJYZ6zjsd5
• Slides + Notes + Homeworks on course website.
• Project source code on GitHub: https://github.com/cmu-db/bustub
• Grading with Gradescope (see FAQ ➡️ https://15445.courses.cs.cmu.edu/fall2025/faq.html#q7)
Special thank you to our Affiliate companies for their support this academic year:
• ClickHouse
• DataStax
• dbt Labs
• Firebolt
• MotherDuck
• RelationalAI
• SingleStore
• SpiralDB
• PingCAP / TiDB
• Yellowbrick
• Yugabyte
https://github.com/django/djangoproject.com/issues/2175
한국에도 Django 커뮤니티 디스코드가 생긴듯. 모더레이터분이 Django에 기여한 이력이 있으신 분!
Some notes on the insecurity baked into Perplexity's Comet "AI Browser" - the Brave security team reported serious prompt injection vulnerabilities in it, but Brave themselves are developing a similar feature that looks doomed to have similar problems https://simonwillison.net/2025/Aug/25/agentic-browser-security/
오늘치 작업 많이 했는데? 하고 있으면, 클로드코드 모델이 Opus에서 Sonnet으로 바뀌더니 똥볼차면서 재롱부리고 있다
@2chanhaeng이찬행
@z9mb1wwj 아니 근데, 저도 저화질 버전 가지고 있는데 고화질 버전은 어떻게 입수하신거야 와
@2chanhaeng이찬행
@z9mb1wwj 그거 아시나요? 저거 제가 원조에요
좀 더 맥락을 설명을 말씀드리자면? 2020년쯤인가 제가 어디 알고리즘 연합 스터디(SUAPC 검색하면 나옴) 창립 멤버였었는데, (지금은 디스코드이긴 하지만) 슬랙 채널로 다른 학교 사람들끼리 처음 교류하는 자리였었거든요. 다들 슬랙 처음 쓰는 거기도 하고 다른 학교 사람들끼리 어색한 것 같아가지고 어떻게하면 말을 트게 할까 고민했었는데요. 제가 그 당시 감자탕 먹고 있었어서, 벽 보고 멍때렸는데 갑자기 "감자탕의 효능" 같은게 보이더라구요. 그래서 의식의 흐름대로 저렇게 헛소리했었는데,,,,,, 누가 캡쳐해서 짤로 저장해서 여기저기 돌고 있더라구요... 그러다가 저 오른쪽 포스터가 나오고.. 어디 학원에서도 "~~의 효능"으로 패러디하고 있고 나름 재밌는 경험이었습니다..
@2chanhaeng이찬행
@z9mb1wwj 그거 아시나요? 저거 제가 원조에요
@z9mb1wwj 자신의 레벨에 따라 다른데요,
- 코테 시스템 자체에 익숙하지 않은 경우(내 코드를 제출해서 채점을 받는다는 것에 익숙하지 않은 경우)
- 프로그래머스 - 코딩테스트 에서 Lv. 0 문제들을 풀면서 일단 코테 방식에 익숙해지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 코테 문제들을 봤는데 너무 어렵다 - 기초 필요
- 기초적인 코테 알고리즘들을 책을 통해 공부하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https://ebook-product.kyobobook.co.kr/dig/epd/ebook/E000002942452 나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001033111?utm_source=google&utm_medium=cpc&utm_campaign=googleSearch>_network=g>_keyword=>_target_id=aud-901091942354:dsa-435935280379>_campaign_id=9979905549>_adgroup_id=132556570510&gad_source=1 같은, 코딩 테스트를 다루는 서적을 집중적으로 공부해 보시는걸 추천드립니다(근처 도서관에 가시면, 코딩 테스트 관련 서적이 몇 권 있을 거에요).
- 나는 코테 좀 익숙한데 좀 어려운 문제 보면 주춤거림
- https://solved.ac/ 솔브드는 언제나 당신을 환영합니다.
@akastoot악하
@z9mb1wwj 또 나왔다. 진심모드 악하 ㄷㄷ
비즈니스 로직을 잘 구현한다는게 무슨 의미인가요?
@z9mb1wwj 비즈니스 적인 요구사항을 코드로서 잘 녹여낸다라는 의미죠. 보통은. 현실의 문제를 프로그래밍(혹은 전산학적인) 관점에서 문제를 잘 정의해서 적절하게 잘 해석하느냐랑, 그 해석을 기반으로 구현을 하느냐랑 별개의 영역이기도 하고...
나도 오이카페(https://oeee.cafe)에 그림 올려봤다
내가 누구???? >> Zed랑 Neovim이랑 같이 쓰는 사람 <<
지금 프로젝트를 개발하고 있는 환경에서는 Zed 쓰는게 궁합이 더 잘 맞기도 한데, Git 관련 유틸리티는 Neovim 쪽이 잘해줘서 여전히 애착이 가고 있다. Zed는 화면을 자유롭게 분할해서 한쪽 버퍼를 아예 터미널로 활용할 수 있는 것도 아니라서, Claude Code 띄우거나 등등등의 목적으로 터미널 옆에 띄워놓는건 불가피한 듯.
직접 밑바닥에서부터 개발하니까 Fedify 문서 각 항목마다 왜 있는지 좀 실감이 되는구만
@kodingwarriorJaeyeol Lee vim은 텍스트편집기 아닌가용??
@thaumiel999
김지운 네! 맞아요!
백엔드는 수제로 짜고, 프론트엔드는 바이브코딩(AI한테만 맡기는 진짜 바이브코딩임)으로 작업하고 있는데, 백엔드를 이렇게 만드니까 돌아가긴 하는구나 가설검증하기에는 괜찮은 듯. 코드 퀄리티? 그건 셀프호스팅 첫트해보고 나서 생각해봐야지 ㅋㅋ!!!!
@z9mb1wwj 이제 오마에 다음은 키사마 일것 같네요.
@gaebalgom개발곰
@z9mb1wwj 그다음에는 danna 가시죠
왜 내가 시니어 연차지?
왜????
얼마나 지났다고? (돌아보니 개발밥 먹은지 10년 좀 못됨)
Vim adventure하다가 기록이 날아가서 의욕이 사라짐
@z9mb1wwj 대신 귀여운 Vim으로 실전체험
해커스펍에 기여할거 생겼다 굿
Vim에 관심있는, 혹은 Vim을 사랑하는 여러분, 안녕하세요.
한국어권 Vim 사용자 모임 vim.kr입니다. 오늘은 vim.kr에서 공식적으로 주최하는 모임 소식을 전해드리려 합니다.
혹시 *빔교정학원 모임(vimrc)*을 들어보신 적 있으신가요? vimrc 밋업은 2019년과 2022년에 3년 간격으로 개최된 바 있는데, 2025년부터는 저희 vim.kr이 그 바통을 이어받아 공식적으로 진행하게 되었습니다.
지난 7월 2일, 기존 vimrc 밋업을 주최하셨던 박현우(lqez)님께 연락을 드렸고, 이어 7월 6일 첫 회의를 통해 vim.kr에서 본 행사를 이어가기로 확정하였습니다.
이번 vimrc 밋업은 이전과는 조금 다른 방식으로 준비되고 있습니다. 특정 연사자가 발표하는 자리가 아니라, 모든 참가자가 동등한 입장에서 자신이 Vim을 어떻게 활용하는지 경험과 노하우를 공유하는 자리를 지향합니다. 즉, 발표 중심의 형식보다 네트워킹과 상호 교류에 초점을 맞춘 밋업입니다.
행사 규모는 약 36명으로 계획 중이며, 일정은 11월 둘째 주에서 셋째 주 사이로 조율하고 있습니다. 현재 대관 장소도 검토 중이니, 혹시 행사 장소 후원에 관심 있는 분이 계시다면 연락 부탁드립니다.
행사 관련 최신 소식은 vim.kr 디스코드를 통해 안내드릴 예정입니다.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오늘 할 것
- vimrc 모임 열리긴 한다고 공지하기
- vimrc 장소 후원 모집하기
- nestjs 프로젝트 진짜진짜 federation 잘 동작하는지 사이클 확인해보기
- Hackers Public @ Seoul 모집 포스터 만들기
다 했다!!!!!!!!!! 이제 cosmoslide 작업에 집중하자잇!!
Canva는 신이다...
파이콘때도 뽑아보긴 했었는디 포스터 뚝딱하고 뽑힘
LLM이 말아주는 코드는 이것저것 고민하면서 수제로 코딩하는 노가다를 줄여주는 역할을 하지만, 인터페이스 짜는 것 정도는 사람이 해줘야 하는듯. 인터페이스만 잘 만들어놓고 그거 가지고 알아서 조립하라하니까 그럴싸하게 조립은 잘해줌
NestJS로 포폴쌓으려고 했는데, NestJS 특유의 이상한 동작때문에 억까당함
민희님 덕분에 한 사이클 돌게는 했다......... 내가 만들어놓은 구현도 이상했던거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