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erlmint 웹서비스로도 만든다는게 어떤 의미인가요? 앱/웹 두벌을 공짜로 얻는건 말씀하시는건가요?
Perlmint
@perlmint@hackers.pub · 87 following · 77 followers
크로스 플랫폼 빌드 고치는 노동자
잡담은
@meperlmint 에서
Github
- @perlmint
Bluesky
- bsky.perlmint.dev
@bglbgl gwyng 넵 그 이야기입니다. 빌드 할 때 플래그 변경 수준으로 웹서버로 빌드가 가능하지 않을까? 라는 것이죠. 제공 불가능한 API도 있기는 하겠지만...
tauri를 좀 써보니 진짜 약간의 레이어만 있으면 바로 웹서비스로도 만들 수 있을 것 같은데... 그 약간이 문제겠지...
React만 쓰다가 solidjs를 시도 해봤는데, 홍보하고 있는 장점을 전혀 못 느끼고 있다. 물론 solidjs자체의 문제는 아닌 것 같고, 같이 쓰는 라이브러리의 문제인 것 같다. 일단 Router의 Context Provider와 Route 정의 트리의 시작이 분리가 안되어있고, 부분 경로 별로 레이아웃을 가지는 형태로 작성이 어려운 것 같다. 그리고 A 요소도 어째 동작을 안하게 되었는데 무엇이 문제인지 모르겠다. 디자인 작성이 싫어서 SUID - MUI (react material design)의 solidjs포트 - 를 썼는데 어째서인지 안쓰는 모듈까지 잔뜩 로드하느라 첫 렌더가 너무 느리다.
JSX에다가 React에서 제공하는 primitive와 비슷하게 제공해서 문서를 거의 안보고 넘어갔고, 몇시간 안써봤으니 어딘가 잘 못 쓰는 부분이 있겠거니 싶긴한데 어쨌든 첫인상은 아쉬운 점이 많다.
React만 쓰다가 solidjs를 시도 해봤는데, 홍보하고 있는 장점을 전혀 못 느끼고 있다. 물론 solidjs자체의 문제는 아닌 것 같고, 같이 쓰는 라이브러리의 문제인 것 같다. 일단 Router의 Context Provider와 Route 정의 트리의 시작이 분리가 안되어있고, 부분 경로 별로 레이아웃을 가지는 형태로 작성이 어려운 것 같다. 그리고 A 요소도 어째 동작을 안하게 되었는데 무엇이 문제인지 모르겠다. 디자인 작성이 싫어서 SUID - MUI (react material design)의 solidjs포트 - 를 썼는데 어째서인지 안쓰는 모듈까지 잔뜩 로드하느라 첫 렌더가 너무 느리다.
Microsoft really doesn't like RC4 encryption apparently 😆
@perlmint TypeScript는 Claude Sonnet 3.7보다 Claude Sonnet 3.5 2024-10-22가 더 잘한다는 얘기도 있더라고요. Claude Sonnet 4는 어떤지 잘 모르겠습니다만…
@hongminhee洪 民憙 (Hong Minhee) 저어는... 모델을 추가할 수 있는 권한이 없는 엔터프라이즈 계정으로 쓰고 있습니다. ㅋㅋㅋ... 😇
으아악... 클로드에게 typescript시키는데도 미묘하게 멍청하게 작업한다...
타협하는 마음으로 매번 민주당을 찍는다. 나는 좌파고 애국심도 없는 반면 민주당은 애국보수이기 때문에 정치적으로 맞지 않는다. 국민의힘을 비롯한 일부 정치 세력과 일부 종교 세력은 “보수”가 아니라 “반인륜적 기회주의 세력”에 불과하기 때문에 애초에 고려 대상이 아니다.
반인륜적 기회주의 세력이 충분히 정리되고, 민주당이 정통보수로 자리잡고, 언론이 제대로 작동하기 시작하면(현재의 언론은 기회주의 세력의 일부이거나 극도로 무능하다), 그러면 드디어 안심하고 내가 실제로 지지하는 진보 계열 정당을 찍을 수 있을 것 같다.
이재명은 성남시장 시절부터 존경하던 정치인이자 행정가다. 기회주의자들의 이재명 악마화는 전혀 믿지 않는다. 그가 공약을 지키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할거라고 믿는다. 다만 그는 보수주의자이고 애국자라서 나랑 맞지 않을 뿐이다. 모든 공약에 반대하는 건 아니다. 예를 들어 보편기본소득 관련 정책은 적극 지지한다.
권영국의 공약은 나랑 잘 맞는 편인데(어떤 정치성향 테스트에 의하면 88% 일치) 이걸 그대로 믿는건 아니다. 원래 지지율이 낮을수록 강하고 선명한 메시지를 낼 수 있는거니까. 게다가 권영국이 지금 당장 당선된다 하더라도 그의 공약이 그대로 실행될 가능성이 매우 낮다. 한국은 아직 그렇게 좋은 나라가 아니다.
부디 이재명 정부가 성공하길 진심으로 바란다. 그 덕에 다음 대선 혹은 다다음 대선에서는 꼭 진보정당을 뽑고 싶다.
이재명이 과반을 넘긴 점, 이준석이 선거비 보전을 한 푼도 받지 못하게 된 점은 아주 기쁘다. 다만 권영국의 지지율이 더 높지 않은 게 아쉽고 미안하다.
Right now, South Korea is counting votes for the presidential election. Amid this, it has been revealed that men in their 20s and 30s overwhelmingly support Lee Jun-seok—an anti-feminist and effectively fascist candidate. I feel not only ashamed of my country's men of my generation but also deeply concerned. I believe there is a very high chance that South Korea could become a fascist country in 10 to 20 years. As a socialist and leftist, I feel powerless…
단축키 자동 맵핑을 꺼야 그래도 쓸만할 것 같은데....
macOS에서 실행되는 RDP서버 구현체 입니다. 왜 이런 것을 만드냐고요? 그러게 말입니다... https://github.com/Perlmint/ARISU
단축키 자동 맵핑을 꺼야 그래도 쓸만할 것 같은데....
@perlmint 쓸모 있는 거 아닌가요? ㄷㄷ
@hongminhee洪 民憙 (Hong Minhee) 아 대체품이 없는 쓸모 있는 것이라는 말이었습니다 ㅎ... 이건 대체품이 여럿 있기도 하니까요.
이것 말고 쓸모 있는 것을 만들어야 하는데...
macOS에서 실행되는 RDP서버 구현체 입니다. 왜 이런 것을 만드냐고요? 그러게 말입니다... https://github.com/Perlmint/ARISU
제가 지난 15년 정도 그렇게 살다가 결국 VS Code에 정착했답니다. 온갖 랭귀지 서버 세팅하는 게 너무나 귀찮은 나머지…
@hongminhee洪 民憙 (Hong Minhee) 저는 에디터 자주 바꿔온 편인데요. 사실 개발에서 코드를 조작하는 시간의 비중은 크지않고, 코드를 조작할때 생산성에 영향을 크게 주는건 에디터 기능이 아닌 인텔리센스라고 생각해서입니다. 즉 lsp 만세?
해석: Copliot은 주말에는 2차 인증을 사용할 수 없게 만들어 로그인을 할 수 없도록하는 코드를 제안했다.
C# 파일을 dotnet run app.cs로 직접 실행하는 방법
------------------------------
- *.NET 10 Preview 4* 부터는, 이제 단일 C# 파일을 dotnet run app.cs로 바로 실행할 수 있는 기능이 추가되어, *프로젝트 파일 없이도* C# 코드 실행이 가능해짐
- *파일 기반 앱(file-based apps)* 덕분에, Python이나 JavaScript처럼 간단한 스크립트 실행, 테스트, 아이디어 실험이 한층 쉬워짐
- Nu…
------------------------------
https://news.hada.io/topic?id=21190&utm_source=googlechat&utm_medium=bot&utm_campaign=1834
집에서 식물 기르려고 워터펌프와 식물등을 제어하는 회로를 만들어 쓰다가, 결국에는 중국산 IOT멀티탭으로 전원 공급/차단 하는 것으로 갈아타버렸다. 직접 만드는게 노력은 꽤 드는데 커스터마이징 할 요소도 딱히 없고, 별로 재미도 없고...
@hollo
@leetekwoo 제가 알고 있기로도 아직은 x86계열이 OS들의 지원이 가장 잘 되고, arm계열도 많이 지원하지만, 많은 부분의 하드웨어가 독점적이기도 한 애플 실리콘 맥(M시리즈)은 문제가 있습니다.
애플 실리콘 맥미니는 기본 가격이 애플답게 높은 편임에도 성능, 전력 소모면에서 장점이 크지만, 앞서 말한 부분의 제약을 감수 해야 합니다. 그래서 그냥 macOS를 그대로 쓰는 편이 많은걸로 압니다. 인텔 맥은 성능도 가격에 비해 별로 추천 할 만하지 못 하다고 생각하구요.
이야기 하신 목적을 주로 생각하면, 아직은 x86계열 CPU가 장착된 장비가 쉽고 저렴한 선택일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불과 몇년 전만 해도 rpi4(arm64)도 리눅스에서 제대로 지원이 안되어서, beta버전 배포판에 하드웨어 제어 SW도 누락되어서 직접 빌드하고 그랬거든요.
맥/iOS RDP클라에서 주요 조합키를 Windows에서 동작하도록 맵핑하는 동작이 있는데 맥버전에서는 이걸 또 끌 수 있다고 한다. 휴리스틱하게 잘 찍어서 원래 값으로 되돌려야 할 것 같은데...
"AI[1] 덕분에 ***가 민주적이 된다"는 말이 자주 나오고는 한다. 나는 이에 매우 회의적이다. 다른 것은 다 받아들여서 AI가 많은 사람들이 어떤 일을 매우 싸게 (거의 공짜로) 할 수 있게 해준다고 쳐도, AI로 만들어내기 힘든 수준의 "고급" 결과물은 여전히 존재하고, 이는 특정 직군의 고경력 전문가에게 넘어가게 된다. 문제는 이 "경력"을 어떻게 쌓느냐이다. 해당 직군의 초보자들은 AI에 밀려 경쟁력을 잃기 십상이고, 그들을 위한 여러 자리를 (AI를 활용하여 생산성을 높인) 전문가 한 명이 대체하기도 한다. 어떤 직군을 가질 수 있는 조건이 말하자면 이미 엄청난 실력을 가질 것이 되는 환경의 조성을 "민주적이다"라고 할 수 있을까?
정확히는 최근 많이 사용되는 미디어(Media) 생성 인공지능들과 대형 언어 모형(Large Language Model, LLM)들 ↩︎
@perlmint 저렴한 서버용 컴퓨터로 OS부터 해볼까 싶어서 고민 중입니다.. 맥 미니 쓰는 것이 좋을까요?
@leetekwoo OS부터 해본다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알 수 있을까요? 일단 맥 미니에서는 서버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에는 좋으나, OS와 관련한 것은 무엇이든 어렵지 않나 싶습니다.
홈서버를 만드려 하는데, 서버용 컴퓨터로 무엇을 사용할 지 고민 중입니다.
@leetekwoo 저는 rpi4를 쓰다가, Local LLM 같이 고사양을 요구하는 것을 해보고 싶어서 M4 Mac mini를 추가로 쓰고 있어요.
새 블로그 글
[ko] SKT 유심 “재설정” 분석 – 무엇이 바뀌는가, 그리고 정말로 교체와 동일한가
MS는 너무 친절해서 iPadOS Windows앱에서 Cmd+a를 입력하면 Ctrl+a로 바꿔서 보내주나보다.
RDP서버 프로젝트 이름 골랐다. ARISU(Apple Rdp Implementation Server Unit?) 아리수라는 국산 사과품종이 있다고 합니다. 약어는 당연히 어거지로 ㅎ...
어쨌든 이제 크게 키보드 조합 입력을 더 구현하고, 알림 영역에 등록하고 앱 번들 만들기까지 하면 최소한의 쓸 수준은 될 것 같다. 그 이후에는 적정 해상도로 변경, 클립보드 구현, 사운드 까지 하면 아마도 끝...?
아 인증도 좀 더 제대로 해야지. 그리고 몇가지는 정리해서 RDP 프로토콜 구현체 라이브러리에 기여 넣어야지
맥 미니에 아이패드에서 Windows app(구 Microsoft RDP)로 접속하기
사실 이미 맥용 RDP 상용 서버가 있긴합니다. 그냥 집에서 혼자 쓸거에는 아까워서 만드는 겁니다...
맥 미니에 아이패드에서 Windows app(구 Microsoft RDP)로 접속하기
스크린캡처 권한이 무슨 기준으로 주어지는지 잘 모르겠는데, 터미널 안에서 실행시키면 터미널 앱에 스크린 캡처 권한을 주고 쓰게 된다. launchctl로 실행 시키면 cli 바이너리 자체에 스크린캡처 권한을 주게 되는데, 이건 빌드 할 때마다 다시 권한을 주라고 한다. 그리고 아마도 설정 UI상의 문제로 이미 권한이 주어진 것 처럼 보여서 삭제 후 재등록 같은 작업이 필요하다.
어쨌든 이제 크게 키보드 조합 입력을 더 구현하고, 알림 영역에 등록하고 앱 번들 만들기까지 하면 최소한의 쓸 수준은 될 것 같다. 그 이후에는 적정 해상도로 변경, 클립보드 구현, 사운드 까지 하면 아마도 끝...?
전에 만들다 방치하고 있던 macOS RDP서버를 일요일에 다시 건드렸고, 트리플 버퍼 + 갱신된 영역만 복사 및 전송을 구현했다. 확실히 로컬 네트워크 상에서는 반응성이 좋아졌다.
스크린캡처 권한이 무슨 기준으로 주어지는지 잘 모르겠는데, 터미널 안에서 실행시키면 터미널 앱에 스크린 캡처 권한을 주고 쓰게 된다. launchctl로 실행 시키면 cli 바이너리 자체에 스크린캡처 권한을 주게 되는데, 이건 빌드 할 때마다 다시 권한을 주라고 한다. 그리고 아마도 설정 UI상의 문제로 이미 권한이 주어진 것 처럼 보여서 삭제 후 재등록 같은 작업이 필요하다.
전에 만들다 방치하고 있던 macOS RDP서버를 일요일에 다시 건드렸고, 트리플 버퍼 + 갱신된 영역만 복사 및 전송을 구현했다. 확실히 로컬 네트워크 상에서는 반응성이 좋아졌다.
[단독] “이 정도면 봐주겠지”...SKT 해킹 대응 총력 약속 깨고 가입자 유치 열올려 - 매일경제
https://www.mk.co.kr/news/it/11326438
쟤들은 기본적으로 양심이 없다.
많은 언어에서 배열이 primitive로 주어지기 때문에 간과하기 쉬운데, 실제로 배열은 Binary Trie이다. 인덱스 0b01101010로 어떤 배열을 접근한다는건 왼오오왼오왼오왼으로 트리를 타고 내려가는 것이다. 실제로 칩에서 어떻게 동작할지를 상상해보면 좋다.
개인적으로 블루스카이의 꽃은 커스텀 피드라고 생각해요 빅테크 SNS의 알고리즘: - 어떻게 도는지 아무도 모름 - 이용 시간이 늘기만 하면 됨 - 이용자들에게 미칠 해악은 전혀 고려하지 않음 블루스카이의 알고리즘: - 한국어 포스트를 모아보는 피드 (실제로 있음) - 일주일치 밀린 블스 따라잡기 (실제로 있음) - 📌이라고 답글을 달면 북마크가 되는 피드 (실제로 있음) - 리포스트 없이 수제포스트만 보여주는 피드 (실제로 있음) - 블친들의 마지막 한 포스트씩 보여주는 피드 (실제로 있음)
크롬 리모트 데스크탑은 아이패드에서 쓸만하지 못합니다. 왜 앱이 없고 브라우저에서 쓰게 되어있는지 모르겠지만 그덕에 이상한 동작과 버그가... ㅠ
(2025-05-24) FediDev KR 스프린트 두 번째 모임
2025년 5월 24일 스프린트 모임의 기록을 남깁니다.
오늘 박현우 님(
@lqezPark Hyunwoo)께서 Fedify 로고로 배지를 만들어 와주셨습니다! FediDev KR 두 번째 스프린트 모임 오신 분들께 나눠드리고 있어요.
테스트가 일부는 멀쩡한데 나머지는 앞서 잘 지킨 규칙을 틀린 잘 못 된 테스트를 작성해줘버렸다. 결국 손으로 고치고... 고친 것 기반으로 다시 고치라고 시키고... 그러는 중에 버그를 발견해서 고치고... 일을 줄여주길 원했는데 숨겨져 있던 일만 찾아주는 AI...
통신사 해킹 사태 등의 보안 사고에 대해 IT쪽으로 조금이라도 지식이 있는 사람과 아닌 사람(e.g. 우리 엄마 아빠)의 통신사의 잘못에 대한 분노의 크기가 다른거 같다. 가령 나는 해커가 RSA2048를 해독하는 알고리즘이라도 발명해서 해킹했다면 크게 화가 안날것이다. 굿잡, 어쩔수없지 정도? 근데 이번 사고의 디테일은 몰라도 그런거랑은 전~혀 관련 없다는건 당연하다.
근데 우리 엄마도 이게 통신사의 인재라는건 아는데, 동시에 해커들도 뭔가 방어하기 어려운 첨단 기술 그런걸 썼다고 막연히 생각하는거 같다. 그래서 나처럼 통신사들이 한방에 골로 가도 할말 없을 만큼의 잘못을 저질렀다고까지 생각하고 분노하진 않는듯...
https://www.boannews.com/media/view.asp?idx=137345 정황을 조합한 추정이긴 하지만 신뢰가 없는 곳들이라 진짜 일지도...
미리보기가 안나오네... KT도 SKT가 당한 공격에 당했을 수 있다는 의혹 기사입니다
https://www.boannews.com/media/view.asp?idx=137345 정황을 조합한 추정이긴 하지만 신뢰가 없는 곳들이라 진짜 일지도...
모 "보안 전문가" 어용교수 양반이 IMEi 스푸핑이 불가능하다고 하는데,
XDA나 4PDA 밥 일주일이라도 먹은 사람이라면 이 말이 틀린 것을 바로 알 것...
왜 이렇게 뻔한 거짓말을 하는지 모르겠음.
내일은 테스트 코드 짜기 시켜야지가 결국 오늘이 되어버렸고, 시켜놓고 집가는 중...
AI직원의 출근거부사태에 이어, 업데이트가 몇분째 없길래 뭐하고 있냐고 물으니까 황급하게 다시 일하기 시작했다(아마 이용자가 몰려서인것으로 예상). 졸기까지하고 사람 다 됐구만.
흠, 단문 기능에는 이름에 걸맞게 길이 제한을 두는 게 좋으려나? 대충 500자에서 1,000자 정도로? 🤔
@hongminhee洪 民憙 (Hong Minhee) 장문 기능을 권유하고 승인하면 장문 UI로 작성한 내용을 옮겨주면 좋지 않을까요?






서버메이드 깐프 


![[단독] “이 정도면 봐주겠지”...SKT 해킹 대응 총력 약속 깨고 가입자 유치 열올려](https://pimg.mk.co.kr/news/cms/202505/26/news-p.v1.20250526.c3524363f3cc40f19c9e42af972499cd_R.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