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며칠 openai agent sdk 살펴보면서 끼적끼적 해보고 있는데 python의 asyncio 는 왜 이렇게 복잡하고 거지 같지? 라는 느낌을 확 받네. 웬간한 라이브러리들은 요즘 async/await 기반으로 되어 있는데 streamlit 에서 그걸 쓰려고 하면 asyncio 오류가 막 나고... 그걸 안정적으로 처리하는 방법이 뭔가 확립이 되어 있지 않아서 각자 나는 이게 좋았다 그런데 나는 그렇게 해도 이런 오류가 나서 이게 좋다... 이게 뭔지 참...

洪 民憙 (Hong Minhee)
@hongminhee@hackers.pub · 611 following · 407 followers
Hi, I'm who's behind Fedify, Hollo, BotKit, and this website, Hackers' Pub!
Fedify, Hollo, BotKit, 그리고 보고 계신 이 사이트 Hackers' Pub을 만들고 있습니다.
Website
- hongminhee.org
GitHub
- @dahlia
Hollo
- @hongminhee@hollo.social
DEV
- @hongminhee
velog
- @hongminhee
Qiita
- @hongminhee
Zenn
- @hongminhee
Matrix
- @hongminhee:matrix.org
X
- @hongminhee
초창기 파이썬 계에서 회자되던 모토 비슷한게 "어떤 일을 하기 위한 명백한 방법이 한 가지여야 한다?" 그런 말이 있었던 것 같은데... 지금 상황은 그거랑 너무 멀리 떨어져 있는 것 같다.
요즘 며칠 openai agent sdk 살펴보면서 끼적끼적 해보고 있는데 python의 asyncio 는 왜 이렇게 복잡하고 거지 같지? 라는 느낌을 확 받네. 웬간한 라이브러리들은 요즘 async/await 기반으로 되어 있는데 streamlit 에서 그걸 쓰려고 하면 asyncio 오류가 막 나고... 그걸 안정적으로 처리하는 방법이 뭔가 확립이 되어 있지 않아서 각자 나는 이게 좋았다 그런데 나는 그렇게 해도 이런 오류가 나서 이게 좋다... 이게 뭔지 참...
하스켈 패키지 검색 엔진이자 웹 서비스인 후글(Hoogle)은 서비스에 종종 문제가 생기곤 합니다. 그럴 때는 다음과 같은 대체 서비스를 이용해보세요!
한편 후글을 로컬에 설치해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잦은 서비스 문제에 질렸다면 로컬에 후글을 설치해보세요!
그리고 만약 당신이 부자라면⋯ 하스켈 재단에 기부해주세요⋯
https://wikidocs.net/book/14314
Langchain 관련해서 한국어로 정리가 잘 정리되어 있는 듯
@hongminhee洪 民憙 (Hong Minhee) 노고에 박수와 응원을 보냅니다. 🙏
どうやらHackers' Pubのフォローのおすすめの品質が悪い気がするので、計算式を手直し中…
아무래도 Hackers' Pub의 팔로 추천 품질이 떨어지는 것 같아서 수식을 손 보는 중…
A patch for Chinese translation has been submitted to Hackers' Pub! Thank you, @dwndiaowinner!
아무래도 Hackers' Pub의 팔로 추천 품질이 떨어지는 것 같아서 수식을 손 보는 중…
どうやらHackers' Pubのフォローのおすすめの品質が悪い気がするので、計算式を手直し中…
아무래도 Hackers' Pub의 팔로 추천 품질이 떨어지는 것 같아서 수식을 손 보는 중…
apmodel 0.3.1 now available!
This replaces 0.3.0, which was removed due to several problems
・Activity.accept()
can now generate an Accept activity for the activity and Activity.reject()
can generate a Reject activity for the activity
apmodel v0.3.1が利用可能になりました!
これは、いくつかの問題のために削除された0.3.0を置き換えるものです。
・Activity.accept()
でそのアクティビティに対してのAcceptアクティビティを生成できるようになり、Activity.reject()でそのアクティビティに対してのRejectアクティビティを生成できるようになりました。
apmodel 0.3.1 now available!
This replaces 0.3.0, which was removed due to several problems
・Activity.accept()
can now generate an Accept activity for the activity and Activity.reject()
can generate a Reject activity for the activity
하스켈 카레
@hongminhee洪 民憙 (Hong Minhee) 혹시 포지페드(ForgeFed)를 아시나요? 액티비티펍 확장이라고 하는데 깃(Git) 같은 것을 연합우주에서 사용할 수 있는 것 같습니다. 해커스펍의 장기 로드맵에 포지페드가 포함되면 어떨까 싶어 공유합니다.
https://forgefed.org/
@curry박준규 ForgeFed의 존재 자체는 알고 있었는데, Hackers' Pub에 도입할 생각은 못 해봤네요! 장기적으로 도입을 한 번 검토해 보겠습니다.
ActivityPub은 눈팅만 하고있었는데, 슈티에 피드를 넣기로 결정하고나니 ActivityPub를 써볼 기회가 생겼다. 따로 페디버스 서버를 팔지, 아니면 다른 방법을 쓸지(있긴 한가)를 고민해봐야한다.
이제 계정이 두 개인데 어떻게 분리하지 🤔 SNS 계정을 두 개 써본 적이 없어서...
이제 계정이 두 개인데 어떻게 분리하지 🤔 SNS 계정을 두 개 써본 적이 없어서...
@nyeongAn Nyeong (安寧) 여기에 코딩 얘기를 주로 쓰시면 어떨까요!
@hongminhee洪 民憙 (Hong Minhee) 👍 점점 좋아지는군요. 너무 좋구요. 감사합니다. (이미지 여러개일 때 표시도 개선되어 좋습니다. 😂)
@arkjunJuntai Park 그건 아무리 해도 모바일 뷰처럼 폭이 좁은 화면에서는 이미지가 전체 페이지 가로 스크롤을 만들기에 같이 고치게 되었습니다… 😂
🎉 Why I Care So Much About the Fediverse by Ayo Ayco (@ayoAyo Ayco) | https://ayos.blog/why-fediverse/
타임라인 필터가 추가되었습니다. 총 네 종류의 필터와 팔로 추천 탭이 있는데요.
- 연합우주: 기존에 보시던 타임라인입니다. 자신이 팔로하는 연합우주 내 모든 계정의 콘텐츠를 모아서 볼 수 있습니다.
- Hackers' Pub: 다른 연합우주 서버 콘텐츠를 제외하고 Hackers' Pub 내의 콘텐츠만 모아서 볼 수 있습니다.
- 공유 제외: 공유된 내용 말고, 자신이 팔로하는 계정이 직접 쓴 콘텐츠만 볼 수 있습니다.
- 언급: 자신을 언급(멘션)한 콘텐츠만 모아서 볼 수 있습니다. 본격적인 알림 기능이 생기기 전까지는 이 필터를 활용해 주세요.
- 팔로 추천: 관심 있을 만한 계정을 추천해 줍니다.
タイムラインフィルターが追加されました。全部で4種類のフィルターとフォローのおすすめタブが用意されています。
- フェディバース:従来のタイムラインです。自分がフォローしているフェディバース内の全てのアカウントのコンテンツを纏めて見る事が出来ます。
- Hackers' Pub:他のフェディバースのサーバーのコンテンツを除いて、Hackers' Pub内のコンテンツのみを纏めてて見る事が出来ます。
- 共有除外:共有されたコンテンツではなく、自分がフォローしているアカウントが自分で書いたコンテンツだけを見る事が出来ます。
- 言及:自分を言及(メンション)したコンテンツのみ纏めて見る事が出来ます。本格的な通知機能が出るまでは、このフィルターを活用してください。
- フォローおすすめ:興味の有りそうなアカウントをお勧めしてくれます。
타임라인 필터가 추가되었습니다. 총 네 종류의 필터와 팔로 추천 탭이 있는데요.
- 연합우주: 기존에 보시던 타임라인입니다. 자신이 팔로하는 연합우주 내 모든 계정의 콘텐츠를 모아서 볼 수 있습니다.
- Hackers' Pub: 다른 연합우주 서버 콘텐츠를 제외하고 Hackers' Pub 내의 콘텐츠만 모아서 볼 수 있습니다.
- 공유 제외: 공유된 내용 말고, 자신이 팔로하는 계정이 직접 쓴 콘텐츠만 볼 수 있습니다.
- 언급: 자신을 언급(멘션)한 콘텐츠만 모아서 볼 수 있습니다. 본격적인 알림 기능이 생기기 전까지는 이 필터를 활용해 주세요.
- 팔로 추천: 관심 있을 만한 계정을 추천해 줍니다.
Good morning Fediverse.
We still don't have a properties on ActivityPub activities and objects to indicate how long they can be cached in your ActivityPub Store.
모바일 뷰에서 타임라인 레이아웃이 깨지던 문제를 해결했습니다. 제보해주신 @bglbgl gwyng 님께 감사드립니다!
モバイルビューでタイムラインのレイアウトが崩れる問題を修正しました。報告してくださった @bglbgl gwyng さんに感謝します!
모바일 뷰에서 타임라인 레이아웃이 깨지던 문제를 해결했습니다. 제보해주신 @bglbgl gwyng 님께 감사드립니다!
ActivityPubの開発ハマると意外と楽しいかもしれない
쉘스크립트처럼 oci 컨테이너들을 조합하는 언어가 있으면 좋겠다.
컨테이너는 샌드박싱된 파일시스템을 입력으로 받아 출력으로 쓰고, 그런 컨테이너들을 (|
pipe operator로 stdin/stdout을 잇듯이) 조합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때 각 컨테이너가 필요로하는 입력 파일/디렉토리들에 대해 일종의 타입 체크를 해서 no such file or directory
가 뜨는것을 막아줄수 있을것이다.
사실 yaml등으로 작성하는 CI/CD 설정 파일들이 비슷한 기능을 하고있는데, 이걸 좀더 멀쩡한 언어로, 로컬에서도 쓸수있으면 좋겠다.
@bglbgl gwyng 예전에 Bass라는 언어를 우연히 본 적이 있는데, 그게 떠오르네요. 말씀하신 것과는 좀 다르지만요.
쉘스크립트처럼 oci 컨테이너들을 조합하는 언어가 있으면 좋겠다.
컨테이너는 샌드박싱된 파일시스템을 입력으로 받아 출력으로 쓰고, 그런 컨테이너들을 (|
pipe operator로 stdin/stdout을 잇듯이) 조합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때 각 컨테이너가 필요로하는 입력 파일/디렉토리들에 대해 일종의 타입 체크를 해서 no such file or directory
가 뜨는것을 막아줄수 있을것이다.
사실 yaml등으로 작성하는 CI/CD 설정 파일들이 비슷한 기능을 하고있는데, 이걸 좀더 멀쩡한 언어로, 로컬에서도 쓸수있으면 좋겠다.
그동안 Hackers' Pub에 올라온 이미지가 너무 작아서 보기 힘드셨죠? 이제 단문에 첨부된 이미지 섬네일을 누르면 이미지가 확대됩니다.
今までHackers' Pubに投稿された画像が小さくて見づらかったでしょう?今からは投稿に添付された画像のサムネイルを押すと、画像が拡大されます。
그동안 Hackers' Pub에 올라온 이미지가 너무 작아서 보기 힘드셨죠? 이제 단문에 첨부된 이미지 섬네일을 누르면 이미지가 확대됩니다.
@hongminhee洪 民憙 (Hong Minhee) 타서버의 계정과 글을 분산된 각 서버에서 저장하는 식일까요 연합우주는 알면 알수록 흥미롭네요. (아직도 모르겠지만요 😂)
@arkjunJuntai Park 구현에 따라 달라지긴 하지만, 대부분의 ActivityPub 서버 구현들은 다른 서버에 있는 계정 정보나 다른 서버로부터의 게시물을 캐시처럼 로컬에 저장해 두는 식으로 동작합니다!
@may오월 그렇네요. 데스크탑 버전으로 먼저 접해서, 모바일에도 당연히 있을 줄 알았습니다. 혼란을 드린 듯하여 죄송합니다. 언젠가 UI 개선되면 추가 되지 않을까 예상해봅니다. cc
@hongminhee洪 民憙 (Hong Minhee)
@arkjunJuntai Park
@may오월 모바일 뷰에서는 상단에 너비가 좁아서 그냥 검색을 숨겨버렸는데, 2단으로 펼치거나 해야겠네요. 고민 좀 해보겠습니다!
@hongminhee洪 民憙 (Hong Minhee) 다른 연합우주 계정까지 자동완성되는 것은 신기하네요! (제 모든 연합우주 계정이 자동완성되네요)
@arkjunJuntai Park 네, 맞습니다! 정확히는 모든 연합우주 계정을 찾을 수 있는 건 아니고, Hackers' Pub 서버와 한 번이라도 소통한 적 있는 연합우주 계정은 모두 나옵니다.
음. 큰일났다. 너무 바빠서 해커스펍에 글을 안쓰는 버릇들였더니 막상 여유생기니 손에 안 잡힘... 흑흣
이제 단문 또는 게시글 입력 시에 멘션할 사용자의 핸들이 자동 완성됩니다. 아직은 기초적인 구현으로, 후보가 사전순으로 나열될 뿐이지만, 추후 관련도가 높은 순서로 나열하도록 개선될 예정입니다.
これにより、投稿や記事の入力時にメンションするユーザーのハンドルが自動補完される様に成りました。まだ基礎的な実装で、候補が辞書順に表示されるだけですが、今後は関連性の高い順に表示される様に改善される予定です。
이제 단문 또는 게시글 입력 시에 멘션할 사용자의 핸들이 자동 완성됩니다. 아직은 기초적인 구현으로, 후보가 사전순으로 나열될 뿐이지만, 추후 관련도가 높은 순서로 나열하도록 개선될 예정입니다.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아키텍처>를 읽었다. #독서
<가상 면접 사례로 배우는 대규모 시스템 설계 기초> 시리즈의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버전을 기대했지만, 아티클 모음집에 가까웠다. 각 챕터의 저자가 모두 다르다보니 내용이 체계적이지 않았고, 그 깊이도 일과적이지 않았다. 사실 나는 "왜"가 궁금한건데 대체로 "어떻게"에 초점이 맞춰져 있는 느낌.
적어도 모든 챕터가 아키텍처를 한 눈에 조망할 수 있는 다이어그램을 우선 제시하고, 탑 다운으로 디테일에 다가가는 형식을 취했다면 더 효과적이지 않았을까 싶다. 그런 점에서 버클리DB와 센드메일 챕터는 인상적이었다.
실제 소프트웨어의 아키텍처를 분석한다는 컨셉이 너무 좋은 접근이고, 대학 수업에서도 다루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 정도라서 구성에 더욱 아쉬움이 남는다.
@hongminhee洪 民憙 (Hong Minhee) a journey of 18446744073709551616 genders begins with a single step.
@evanEvan Prodromou While the West debates gender binaries, the Chinese have been refining Confucius's gender philosophy for millennia. They didn't need 64 bits by accident—this is clearly the culmination of ancient wisdom that foresaw our modern discourse. Truly, the Middle Kingdom was middle ground on gender all along!
Translated from the original Korean post:
A few days ago, I took over a Flutter app that a team in China had abandoned. I was particularly impressed by how they had defined the user's gender field type not even as
Int
but asInt64
—truly a piece of code containing 4,000 years of Chinese wisdom!
@hongminhee洪 民憙 (Hong Minhee) a journey of 18446744073709551616 genders begins with a single step.
とりあえずhollo.amase.ccにおいておくことにした (自前で書いちゃってもいいんだけど比較的安定してるサーバーに置きたい)
@apkit@hollo.amase.ccapkit - An ActivityPub Toolkit
apkit以外の更新の通知 (?)も多分これでやるんだろうけど表示名をActivityPub for Python
にするとしてハンドルが思いつかないので
@hongminhee洪 民憙 (Hong Minhee) 이번에 맥을 바꿨는데 기본이 zsh 라서 그냥 쓰고 있어요 ㅎㅎ 암것도 안하고 순정상태 그대로라 bash랑 별로 다른지도 모르고 그냥 쓰고 있네요
@ysh염산하 저는 굳이 굳이 기본 셸을 bash
로 바꿔서 쓴답니다… 😅
Translated from the original Korean post:
A few days ago, I took over a Flutter app that a team in China had abandoned. I was particularly impressed by how they had defined the user's gender field type not even as
Int
but asInt64
—truly a piece of code containing 4,000 years of Chinese wisdom!
韓国語原文からの翻訳:
数日前、中国のチームが諦めたFlutterアプリを引き継ぐ事に成ったが、ユーザーの性別フィールドの型が
Int
でさえなくInt64
と指定されている部分が特に印象的だった。中華四千年の知恵が詰まったコード!
Translated from the original Korean post:
A few days ago, I took over a Flutter app that a team in China had abandoned. I was particularly impressed by how they had defined the user's gender field type not even as
Int
but asInt64
—truly a piece of code containing 4,000 years of Chinese wisdom!
며칠 전부터 중국에서 작업하다 포기한 Flutter 앱을 이어받아서 작업하게 되었는데, 사용자의 성별 필드의 타입을 Int도 아니고 Int64로 지정해놓은 부분이 굉장히 인상적이었다.
중화 사천년의 지혜가 담긴 코드!
멘션이 구체적으로 어떤 사람을 가리키는 것인지 잘 드러나도록 고쳤습니다. 멘션된 사람의 프로필 사진과 이름이 함께 표시됩니다.
メンションが具体的に誰を指すのかが良く分かる様に修正しました。メンションされた人のアイコンと名前が一緒に表示されます。
멘션이 구체적으로 어떤 사람을 가리키는 것인지 잘 드러나도록 고쳤습니다. 멘션된 사람의 프로필 사진과 이름이 함께 표시됩니다.
@arkjunJuntai Park 저도 시도해볼 여유는 없어서 직접 써보진 못했습니다. 언어가 좀더 멀쩡하고 모던한 느낌은 있어요.
@bglbgl gwyng
@arkjunJuntai Park 근데 셸은 뭔가 마냥 프로그래밍 언어는 또 아니라서, 멀쩡함보다 타이핑을 덜 하게 해주는 실용성이 더 중요한 구석도 있는 것 같습니다. 어디까지나 적절한 트레이드오프가 있겠지만요. PowerShell이
bash
같은 것보다 훨씬 멀쩡하긴 한데, 막상 써보면 되게 불편하더라고요.
@hongminhee洪 民憙 (Hong Minhee) nushell은 어떨까요?
@bglbgl gwyng 아, 그러게요. Nushell이 있었죠… Nushell도 좋아 보여요!
오 여태 진취적 셸로는 Nushell 정도밖에 몰랐는데 이런 것도 있군요 👀
@xiniha.devXiNiHa Nushell이랑 목표가 좀 겹치는 프로젝트 같더라고요.
@hongminhee洪 民憙 (Hong Minhee) 저는 이미
zsh
에 익숙해져 버렸네요. 언제든 더 편한 것으로 바꿀 의지는 남아 있으나, 한편으로 그동안 써온 익숙함을 버릴 수 있을런지는 모르겠습니다. 😅
@arkjunJuntai Park 저도 익숙함 때문에 아직까지
bash
를 쓰고 있어요… 😂
늙은이라 아직도 bash
를 쓰고 있는데, 언젠가 옮기긴 해야겠지만 뭘로 옮겨야 할 지가 고민이다. 진취적으로 @oilsforunix 같은 걸 쓸지, 아니면 여러 애플리케이션의 자동 완성 지원을 고려하여 zsh
같은 걸 쓰는 게 좋을지… 중간점에 있는 fish
같은 게 적절할까 싶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