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4bb1t 하위~

Jaeyeol Lee
@kodingwarrior@hackers.pub · 561 following · 418 followers
Neovim Super villain. 풀스택 엔지니어 내지는 프로덕트 엔지니어라고 스스로를 소개하지만 사실상 잡부를 담당하는 사람. CLI 도구를 만드는 것에 관심이 많습니다.
Hackers' Pub에서는 자발적으로 바이럴을 담당하고 있는 사람. Hackers' Pub의 무궁무진한 발전 가능성을 믿습니다.
그 외에도 개발자 커뮤니티 생태계에 다양한 시도들을 합니다. 지금은 https://vim.kr / https://fedidev.kr 디스코드 운영 중
Blog
- kodingwarrior.github.io
mastodon
- @kodingwarrior@silicon.moe
Github
- @malkoG
오늘 서초 OpenUp에서 진행된 OSSCA Fedify팀 모각코에 참여하였습니다.
튜토리얼 완주가 목표였는데 node 버전 이슈가 있었고, 다행히도? 디코에 같은 문제를 겪었던 분이 계셔서 덕분에 어찌저찌 해결하였습니다.
그러나 해당 이슈인지 파악하는데 좀 걸려서 완주는 실패 😞
이슈 내용은: Fedify는 node 22+가 필요한데 내 global node version은 20이었고, 초반에 22 설치는 했으나 터미널에서 적용해야 한다는 개념이 없었음.
그동안 애플리케이션단 구현에만 신경썼지, 의존성 이슈를 겪거나 환경 설정쪽에 큰 관심을 둔 적이 없었는데요. 좋은 경험을 했다는 생각이 듭니다.
다른 분들께서 뭔가 어려운 걸 뚝딱뚝딱 하시는 걸 보고 엄청난 동기부여를 받았습니다. 모각코 좋아용
넷플릭스에 올라온 은혼이 수면제 대용으로 좋다....
털질은 단순히 취미라기 보단 인생의 한 부분이 된거 같기도?
@joonnotnotJoon 온세상이 털이다...
Local LLMs versus offline Wikipedia https://evanhahn.com/local-llms-versus-offline-wikipedia/?utm_source=every.news
로컬LLM이 생각했던 것보다 작고, 위키피디아도 생각했던 것보다 작다....
Terence Tao: A human metaphor for evaluating AI capability
Link: https://mathstodon.xyz/@tao/114881418225852441
Discussion: https://news.ycombinator.com/item?id=44622973
@haejunejung정해준
@henry
@redddy레디
@miinhhoMinho Jang
@taehoon태훈
@chaerrypick01 GlueSQL 팀에서 오신분들 안녕하세요! 반가습니다!
@hayoo유현아 안녕하세요 👀👀
내가.... 엄청 빡센걸 한게 맞지....? 🥹🥹🥹🥹🥹
현재 시각은 23시 58분. Fedify에 NestJS를 지원한다고 온갖 삽질을 하다가 마지막을 보고 있는 시점에서 뭘할까 고민하다 가만히 있기는 좀 그래서 끄적이는 의식의 흐름대로 쓰는 글....
맥락이 싹다 휘발되기전에 내가 어떻게 우여곡절을 겪었는지를 좀 러프하게 요약해보자....
-
Fedify 프로젝트를 NestJS 에서도 쓸 수 있도록 Fedify 모듈을 만들려고 했던 것에서부터 불행이 시작됨.
-
애초에 NestJS는 CommonJS 기반이고 Fedify는 ESM 모듈만 지원했어서, 이걸로 사용할 수 있녜마녜 하는 얘기가 오가는 중에 Node 22 버전에서
NODE_OPTIONS=--experimental-require-module
환경변수 걸면 esm 모듈을 가져올 수 있다는 사실을 알게됨. -
Fedify 프로젝트에 포함된 라이브러리로 넣기 이전에, 가설검증은 해봐야겠어서 기존에 NestJS 기반으로 만들려고 벼르고 있던 프로젝트에서 가설검증을 시도함
-
가설 검증 자체는 성공적이고 스무스했음. Fedify microblogging 예제를 돌릴 정도는 돌아갔던 것 같음.
-
하지만........ Fedify로 통합하는 과정이 문제가 있었는데... Fedify에 돌아가는 코드를 옮겨놓고, 그 코드가 의도하는대로 잘 뽑히는지가 문제였던 것이다.
-
예를 들면, NestJS는 Typescript 생태계에서는 거의 deprecated된 것으로 취급하는 Decorator 문법을 쓰고 있는데, deno 런타임에서는 지원안하는것은 물론이고, 패키징을 하는 것 자체는 성공했으나 npm 패키지를 가져다 쓰는 입장에선 계속해서 런타임 에러가 뜨는 것. 데코레이터 문법의 경우엔 tsconfig 파일을 또 별도로 수정해서 어떻게든 코드가 뽑히게 했음.
-
그래서 node_modules 를 직접 까보면서 코드가 어떻게 뽑히는지 직접 두눈으로 확인해보기도 하고, 민희님 도움 받아서
pnpm prepack
커맨드로 tgz 파일 만들어서 그걸 package.json에서 가져다 쓰는 것도 어쩌다보니 하게 되고... 패키징은 제대로 되었는데 왜 import 오류가 다시 뜨는가 하고 봤더니, 처음으로 돌아가서 NODE_OPTIONS 환경변수 문제였고. commonjs/esm 둘다 js 아웃풋이 나오도록 세팅하는 것도 해보고, 패키지 퍼블리시까지 겨우 성공 -
그러다가, 다시 왜 안 돌아가지하고 봤는데... 처음에 돌아가던 코드에서 좀 정리를 하다보니 안 돌아가게 된 케이스도 있었고, 어떤 부분은 NestJS 내부 구현(Express)을 몰라서 계속 똥볼을 찬 케이스도 있었고, 몇시간을 심연을 들여다 봤던 것 같다...
패키징하면서도 오류 터져서 빌드깨지는거만 체감상 한 10~15번 정도한 것 같은데 머리에 스팀 나는 줄 알았음...
이젠 된다... 진짜 험난한 여정이었다...
설마하긴 했지만, 사소하지만 마지막 순간 만큼은 이 글이 내 시간을 아꼈다..... https://velog.io/@dkvlg/Express-js의-next-함수는-무엇일까
현재 시각은 23시 58분. Fedify에 NestJS를 지원한다고 온갖 삽질을 하다가 마지막을 보고 있는 시점에서 뭘할까 고민하다 가만히 있기는 좀 그래서 끄적이는 의식의 흐름대로 쓰는 글....
맥락이 싹다 휘발되기전에 내가 어떻게 우여곡절을 겪었는지를 좀 러프하게 요약해보자....
-
Fedify 프로젝트를 NestJS 에서도 쓸 수 있도록 Fedify 모듈을 만들려고 했던 것에서부터 불행이 시작됨.
-
애초에 NestJS는 CommonJS 기반이고 Fedify는 ESM 모듈만 지원했어서, 이걸로 사용할 수 있녜마녜 하는 얘기가 오가는 중에 Node 22 버전에서
NODE_OPTIONS=--experimental-require-module
환경변수 걸면 esm 모듈을 가져올 수 있다는 사실을 알게됨. -
Fedify 프로젝트에 포함된 라이브러리로 넣기 이전에, 가설검증은 해봐야겠어서 기존에 NestJS 기반으로 만들려고 벼르고 있던 프로젝트에서 가설검증을 시도함
-
가설 검증 자체는 성공적이고 스무스했음. Fedify microblogging 예제를 돌릴 정도는 돌아갔던 것 같음.
-
하지만........ Fedify로 통합하는 과정이 문제가 있었는데... Fedify에 돌아가는 코드를 옮겨놓고, 그 코드가 의도하는대로 잘 뽑히는지가 문제였던 것이다.
-
예를 들면, NestJS는 Typescript 생태계에서는 거의 deprecated된 것으로 취급하는 Decorator 문법을 쓰고 있는데, deno 런타임에서는 지원안하는것은 물론이고, 패키징을 하는 것 자체는 성공했으나 npm 패키지를 가져다 쓰는 입장에선 계속해서 런타임 에러가 뜨는 것. 데코레이터 문법의 경우엔 tsconfig 파일을 또 별도로 수정해서 어떻게든 코드가 뽑히게 했음.
-
그래서 node_modules 를 직접 까보면서 코드가 어떻게 뽑히는지 직접 두눈으로 확인해보기도 하고, 민희님 도움 받아서
pnpm prepack
커맨드로 tgz 파일 만들어서 그걸 package.json에서 가져다 쓰는 것도 어쩌다보니 하게 되고... 패키징은 제대로 되었는데 왜 import 오류가 다시 뜨는가 하고 봤더니, 처음으로 돌아가서 NODE_OPTIONS 환경변수 문제였고. commonjs/esm 둘다 js 아웃풋이 나오도록 세팅하는 것도 해보고, 패키지 퍼블리시까지 겨우 성공 -
그러다가, 다시 왜 안 돌아가지하고 봤는데... 처음에 돌아가던 코드에서 좀 정리를 하다보니 안 돌아가게 된 케이스도 있었고, 어떤 부분은 NestJS 내부 구현(Express)을 몰라서 계속 똥볼을 찬 케이스도 있었고, 몇시간을 심연을 들여다 봤던 것 같다...
패키징하면서도 오류 터져서 빌드깨지는거만 체감상 한 10~15번 정도한 것 같은데 머리에 스팀 나는 줄 알았음...
이젠 된다... 진짜 험난한 여정이었다...
와 진짜..... 깡으로 코드 돌리면 돌아가는데, 라이브러리로 붙이니까 또 런타임에서 터지네.... NestJS 붙이는 여정이 이렇게나 힘들다
SteamOS 의 일종인 Bazzite 설치.
- 내가 하는 대부분의 게임이 잘 된다.
- 리눅스 데스크탑이 윈도보다 반응성 빠르고 편의성도 좋다.
- 안 되는 게임 https://www.protondb.com/app/2507950 안 되는 것들은 멀티 게임들. 안티 치트 등, 드라이버를 통해 치팅 검사하는 프로그램이 들어가는 것들이 안되는 모양.
애초에 윈도 아닌 게임이 의외로 많이 나오고 있고(Crusader Kings 3, Factorio) 직장이 아니면 집에서 윈도 안 쓴지도 몇 년 되었고, Debian, Arch Linux, OS X 만 쓰고 있다.
bazzite 는 Fedora CoreOS 기반인 모양인데 알게 된지 며칠 안 되어서 패키지 관리가 어떻게 되는 것인지 잘 모르겠다. neovim 설치는 일단 brew 로 하면 되는 모양인데, 다른 소프트웨어들은 flatpak 으로 설치하고 있고...
배틀그라운드나 델타 포스 같은 멀티 총싸움 게임은 결국 윈도에서 해야 (안티 치트 프로그램 리눅스 미지원 문제인듯.)
그러나 해결책은 있다.
- 윈도 - Bazzite 듀얼 부트
- Bazzite 의 Btrfs 를 윈도에서 공유하여 Steam 라이브러리를 같이 쓰기
https://www.youtube.com/watch?v=JxPsKhJGTrs
- 윈도 파티션은 정말 OS 영역과 일부 프로그램만 올린다.
- 나머지 영역에 Bazzite 설치, 윈도로 부팅할 수 있도록 설정 (영상에 네 가지 방법을 알려주는데, 스팀에 등록하는게 가장 마음에 든다)
- 윈도로 부팅은 일회성이며, 윈도를 리부팅하면 기본적으로 Bazzite 로 부팅 됨.
- 윈도로 부팅, WinBtrfs 설치 https://github.com/maharmstone/btrfs
- 레지스트리에 HKEY_LOCAL_MACHINE\SYSTEM\CurrentControlSet\Control\CI\Policy 하위에 DWORD UpgradedSystem 을 1로 넣으면 Btrfs 이 마운트 됨
조금 어려운 지점
- 시큐어 부트 관련하여 MOK 입력하는 거 (바이오스 쪽에서 건드리고, Bazzite 설치 후 universalblue 입력해야 함)
- Winbtrfs 설치 후 btrfs 마운트하기 정도?
Bazzite 에서의 스팀 라이브러리는 사용자 홈 경로 .local/share/steam 이니, 이 경로를 윈도쪽 스팀에서도 설정해주면 게임을 양쪽 OS 볼륨에서 다운로드 하지 않아도 됨.
@hanyeol조한열
@jbee한재엽
@rkttu남정현
@jkaae93가애KAAE
@hby033홍범영
@malkopotato송승현 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어, 이 리포 만든사람이 Vercel 있다가 Cursor 간 그 사람이네!!
@hongminhee洪 民憙 (Hong Minhee) js 출력 파일 자체는 잘 뽑히는건 확인했는데, 이번엔
NODE_OPTIONS
환경변수 걸고 실행했는데도 No "exports" main defined 이런 에러 뜨네요
@hongminhee洪 民憙 (Hong Minhee) 정확히는 빌드가 깨지는게 아니고 다시 런타임에서 깨지는군요
@kodingwarriorJaeyeol Lee 어떤 문제가 있으신가요?
@hongminhee洪 民憙 (Hong Minhee) js 출력 파일 자체는 잘 뽑히는건 확인했는데, 이번엔
NODE_OPTIONS
환경변수 걸고 실행했는데도 No "exports" main defined 이런 에러 뜨네요
빌드가 깨져서 런타임 소스코드를 까보는 결정을 하고야 마는데
그렇게 믿고 싶지 않았는데, 런타임 호환이 진짜 치명적인 병목이었네..... 아...
오늘 MS에서 주관하는 Let's Learn MCP: JavaScript 강의를 들었습니다.
저처럼 MCP에 대해 아무것도 몰랐던 분이시라면 추천드려요! 여기서 자유롭게 보실 수 있고, C#, Python 등 다른 언어로도 진행되더라고요.
- GitHub에 LLM 비교 서비스(?)가 있다는 걸 알게 되었습니다. 한 눈에 볼 수 있어 좋아보였어요.
- MCP가 무슨 concept인진 어느정도 이해했지만 역시 AI쪽 배경지식의 부재로 방대한 의문점이 많이 남았습니다. 일단 RAG와의 차이점을 더 찾아볼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
- 그리고 Cursor에 GitHub MCP를 붙여보았는데 신기했습니다. 더 사용해봐야겠습니다. 일단 사프 Notion MCP를 붙이면 너무 좋을듯...
- 많이 늦었지만 지금이라도 알게되어서 감사하다. 연사님의 "절대 뇌피셜로 공부하지마라" 라는 말씀이 찔리고 좋았습니다.
#PhanpySocial changelog ✨
💬 Better display support for Mastodon v4.4's native quote posts
🧮 Math formatting for LaTeX
🐛 Bug fixes
🔗 https://phanpy.social/
💬 https://matrix.to/#/%23phanpy:matrix.org
Even though, it reached full maturity, BUT for ecosystem, We can have much more possibility. In my thought, it's just beginning.
For growing ecosystem, we can do many things.
오늘은 도망치듯 퇴근
@joonnotnotJoon 살려줘요 사무실에 사람이 갇혔어요
서비스 A를 개발하기 위해 boilerplate B를 만들기 위한 boilerplate C를 만들고 시작했더니 A에서 뭐 하나 바꾸면 B, C까지 전부 다 바꾸고 있는 상황... 이게 실제로 운영을 해봐야만 발견할수 있는게 너무 많네요 하 당연한 얘기긴 한데ㅠ
@theeluwin제이미 보일러플레이트는 원래...... 충분히 성숙기까지 만들고 나서 그때 생각해야하는...
Django 6.0 부터 빌트인 태스크큐가 들어가려는듯.. 오..
VI 사용자의 구글 제미나이 CLI을 통한 AI 코딩 어시스턴트 첫경험
제미나이 CLI에 대한 리뷰는 아니고 그동안 AI 코딩 어시스턴트를 사용하지 않았던 VI 사용자의 AI 코딩 어시스턴트에 대한 간단한 감상입니다.
@kodingwarriorJaeyeol Lee ㅋㅋ 좋은 책은 가져야 제맛~
개발자 책 모임 리스트(ㅋㄷㅇㅅ), 유-명 개발자가 만든 IT신간 서적 봇 엄청 보면서 상시 체크중 :)
@nirvana마센세 사생팬 Nirvana 정말 무섭네요
뭐야 좋은 책 다 가지고 있네
@kodingwarriorJaeyeol Lee 저는 약간 이런 폰트 생각하긴 했거든요! https://noonnu.cc/font_page/1140
fediverse가 어쨋든 좀 우주관련된건대 왠지 그냥 도트가 생각나서요! 아 그리고 가로에 텍스트를 붙이는 생각이셨군요..!
저는 약간 이런 느낌 생각하긴 했거든요
오......오오오오........ 폰트 자체 느낌이 완전 좋네요........ 가로가 아니어도 영역만 잘 자르면 되겠는데요? 주문제작 맡길건데, 아예 흰색 영역이랑 칼선만 잘 떠진다면 이걸로 갈 수 있을 것 같긴 합니다. 안되면, 원래 계획했던대로 가로로고 만드는걸로 갈 것 같아요. 그냥 좌우 모서리만 둥글게해서 찍어내면 되긴 해서요.
폰트 추천 진짜 감사합니다
응모하고 싶은 마음이 굴뚝 같지만 운영진이라 할 수가 없구나… 😂
@hongminhee洪 民憙 (Hong Minhee) 혹시나 중복 응모한다면..... 상의해서 티켓 나눠드리는걸로....
@kodingwarriorJaeyeol Lee 사이즈는 얼마나 생각하세요?
@hjleee93hyeonjeong lee 사이즈는 상관없습니다! 폰트만 보면 되는거라서요! 스티커 주문제작까지 고려하면 사이즈는 당장은 세로 500px 기준이면 될 것 같습니다!
진짜... 없어요....? 🥺🥺🥺🥺🥺🥺
이번엔 런타임에서 깨져 (오열)
- NestJS 연동 PR 어떻게든 끝장을 낸다!
- 파이콘 발표자료 슬라이드라도 완성을 한다!
문서화랑 트러블슈팅은 내일 마저하자......... 삽질하다 지쳤어요 땡벌...
간다! NestJS 지원! 당장은 빌드가 와장창 깨지지만...!! 가보자~~!!!
정보 : 깃헙 리포지토리의 insight 탭 들어가서 dependency graph 메뉴로 들어가면, 어떤 프로젝트가 그걸 갖다쓰고 있는지 쓱 훑어볼 수 있다.
그리고 생각지도 못한데서도 fedify를 쓰고 있다는걸 알게 되기도 한다.
Much of the internet runs on systems written in the programming language C, but C has major security vulnerabilities.
Now, @amitamit levy,
@mpmilanoMae Milano and
@lschuermannLeon (dormant account), along with collaborators at Princeton and UC-San Diego, have created a tool, Omniglot, that safeguards systems while developers migrate them to safer languages like Rust.
Learn more: https://bit.ly/44UnAF2
새벽의 센치한 감성에 하고 싶은 말은 많지만,,,, Hackers Pub을 비롯한 Fedify 응용 프로젝트들이 대중화되는 특이점은,, 온다,,!!
Vim 스타일 키 바인딩 설명하면서 q에 자잘한 드립 쳐놓았는데 제발 리뷰하면서 다들 알아차려줬으면 좋겠다
@joonnotnotJoon 제가 다른건 버스 못태워드려도 Vim 사용법은 버스 태워드릴 수 있는데 ^^
1년 반 만에 글을 썼다. 웹이 복잡해진 과정을 간략히 되돌아보고, 웹을 지탱해온 하이퍼미디어라는 개념이 얼마나 강력한 힘을 가졌는지 짚어보았다. https://parksb.github.io/article/43.html
@kodingwarriorJaeyeol Lee 숭배합니다. 이게 알림이 바로 가네...
@nirvana마센세 사생팬 Nirvana 정말... 일관적이네요,,,,,
@nirvana마센세 사생팬 Nirvana 어.... 안녕..하세요....
해커톤 - 아이디어 도출, 팀 구축, 구현, 입상 전략까지 (노아론 (지은이) / 로드북 / 2025-07-28 / 30,000원) https://feed.kodingwarrior.dev/r/VYdKUR
https://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368098929&partner=openAPI&start=api
아 ㅡㅡ 국제화 빡세다 ㅡㅡ 키가 10000개를 넘어가네 ㅡㅡ;;;
LLM이 똥볼을 차니까 츳코미 주도 개발을 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