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at is Hackers' Pub?

Hackers' Pub is a place for software engineers to share their knowledge and experience with each other. It's also an ActivityPub-enabled social network, so you can follow your favorite hackers in the fediverse and get their latest posts in your feed.

Just for clarity: I am optimistic about AI, but AI is a wider field. I am not optimistic about this particular wave of AI being squeezed, unexamined, past its useful limits.

You need other tools as part of the toolkit in order for everything to not be fucked

0
0
0
0
0
0
0

도막도 shared the below article:

논리적이 되는 두 가지 방법 - 논리와 저수준(Low-level) 자료 표현(Data representation) (2 편 중 1 편)

Ailrun (UTC-5/-4) @ailrun@hackers.pub

이 글은 어떤 문장이 "논리적"이라고 할 수 있는지에 대한 심도 있는 탐구를 시작합니다. 일상적인 오용을 지적하며, 진정으로 논리적인 주장은 증명 가능성과 체계의 무모순성이라는 두 가지 핵심 조건을 충족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특히, "좋은 가정 아래" 논리성을 증명하는 두 가지 방법, 즉 함수형 언어와 유사한 구조를 가진 자연 연역과, 약간의 "부정행위"를 통해 무모순성을 쉽게 보일 수 있는 논건 대수를 소개합니다. 글에서는 명제와 판단의 개념을 명확히 정의하고, 자연 연역을 통해 논리적 증명을 구축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합니다. 특히, 자연 연역과 함수형 언어 간의 놀라운 유사성, 즉 커리-하워드 대응을 통해 논리적 사고와 프로그래밍 언어 이해 사이의 연결고리를 제시합니다. 또한, 자연 연역의 한계를 극복하고 무모순성을 보다 쉽게 증명할 수 있는 논건 대수를 소개하며, 자연 연역과의 구조적 차이점을 강조합니다. 이 글은 논리적 사고의 깊이를 더하고, 프로그래밍 언어와 논리 간의 관계에 대한 흥미로운 통찰을 제공합니다. 특히, 커리-하워드 대응을 통해 논리와 프로그래밍이 어떻게 연결되는지 이해하고 싶은 독자에게 유익할 것입니다.

Read more →
12

집이다... 깔끔하게 한 방에 실격당했음 뭘로? 신호위반으로... 아니 그치만 저기요 제가 앉은 키가 크긴 한데 그래도 신호등 보려면 숙여야 하는 건 좀 너무하지 않습니까 그리고 옆에서 이상한 지시 해가지고 가도 되는 줄 알았잖아요 이게 뭐람

1
0
0
0
1
0
0
0
0
0
0
0
0

도막도 shared the below article:

논리와 메모리 - 논리와 저수준(Low-level) 자료 표현(Data representation) (2 편 중 2 편)

Ailrun (UTC-5/-4) @ailrun@hackers.pub

이 글은 "논리적"이 되는 두 번째 방법인 논건 대수를 재조명하며, 특히 컴퓨터 공학적 해석에 초점을 맞춥니다. 기존 논건 대수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컷 규칙을 적극 활용하는 반(半)공리적 논건 대수(SAX)를 소개합니다. SAX는 추론 규칙의 절반을 공리로 대체하여, 메모리 주소와 접근자를 활용한 저수준 자료 표현과의 커리-하워드 대응을 가능하게 합니다. 글에서는 랜드(∧)와 로어(∨)를 "양의 방법", 임플리케이션(→)을 "음의 방법"으로 구분하고, 각 논리 연산에 대한 메모리 구조와 연산 방식을 상세히 설명합니다. 특히, init 규칙은 메모리 복사, cut 규칙은 메모리 할당과 초기화에 대응됨을 보여줍니다. 이러한 SAX의 컴퓨터 공학적 해석은 함수형 언어의 저수준 컴파일에 응용될 수 있으며, 논리와 컴퓨터 공학의 연결고리를 더욱 강화합니다. 프랭크 페닝 교수의 연구를 바탕으로 한 SAX는 현재도 활발히 연구 중인 체계로, ML 계열 언어 컴파일러 개발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Read more →
12
0
0
1
0
2
1
0
0
0
0
0
0
0
0
0
0

💸 Germany sends €204.5M to Microsoft annually while European open-source projects need investment.

Our Account Manager's analysis shows how redirecting these funds could:
✔️End vendor lock-in cycles
✔️Strengthen data sovereignty
✔️Create local tech jobs
✔️Support FLOSS innovation

XWiki, CryptPad and other open-source solutions prove alternatives exist, they just need proper funding.
Read the full analysis here: xwiki.com/en/Blog/why-governme

0
0
0

こういうの、 :mastodon: みたいにドメインによる認証すれば済む話なんじゃないのかと思ったけど、紛らわしいドメインでのニセサイトとかをあらかじめ用意すれば偽装はできなくもないか…?

まあでもそれらしい一意のドメインを取得して、それらしいちゃんとしたサイトをそこに用意する、というほうが SNS にアカウント作るよりはハードルは高そうだし、やはり一定の効果はありそうだけどな。

まあ とかはそういう認証機能も自社でもつことで運営の権威化をしたりブルーチェックをアカウントにお金で売りつける、みたいなことをしたいのだろうから :mastodon: のようなやり方はしないだろうけど

factcheckcenter.jp/fact-check/

0
0
0

Good Copy Bad Copy is a documentary about copyright and culture in the context of Internet, peer-to-peer file sharing and other technological advances, directed by Andreas Johnsen, Ralf Christensen, and Henrik Moltke.

It features interviews with many people with various perspectives on copyright, including copyright lawyers, producers, artists and filesharing service providers.

A central point of the documentary is the thesis that "creativity itself is on the line" and that a balance needs to be struck, or that there is a conflict, between protecting the right of those who own intellectual property and the rights of future generations to create.

soulvlog.blogspot.com/2025/05/

0
0
14
0
0
7
0

𝗡𝗲𝘄 𝗽𝗮𝗽𝗲𝗿 𝗼𝗻 𝗖𝗼𝗿𝗽𝗼𝗿𝗮𝘁𝗲 𝗠𝗮𝗽𝗽𝗶𝗻𝗴 𝗶𝗻 𝗢𝗽𝗲𝗻𝗦𝘁𝗿𝗲𝗲𝘁𝗠𝗮𝗽

Many companies have been editing OSM, including giants such as Apple, Microsoft, Meta, and Amazon. Corporate contributors can map on a global scale and add large amounts of data in a short time.

This new study explores the impact of corporate mapping and highlights the need for transparency:

💡 Study highlights: heigit.org/new-paper-corporate
📑 Full paper: doi.org/10.1080/10095020.2025.

World map depicting trends in corporate mapping in OSM between 2019 and 2023
0
0
0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