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리와 메모리 - 논리와 저수준(Low-level) 자료 표현(Data representation) (2 편 중 2 편)

Ailrun (UTC-5/-4) @ailrun@hackers.pub

이 글은 "논리적"이 되는 두 번째 방법인 논건 대수를 재조명하며, 특히 컴퓨터 공학적 해석에 초점을 맞춥니다. 기존 논건 대수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컷 규칙을 적극 활용하는 반(半)공리적 논건 대수(SAX)를 소개합니다. SAX는 추론 규칙의 절반을 공리로 대체하여, 메모리 주소와 접근자를 활용한 저수준 자료 표현과의 커리-하워드 대응을 가능하게 합니다. 글에서는 랜드(∧)와 로어(∨)를 "양의 방법", 임플리케이션(→)을 "음의 방법"으로 구분하고, 각 논리 연산에 대한 메모리 구조와 연산 방식을 상세히 설명합니다. 특히, init 규칙은 메모리 복사, cut 규칙은 메모리 할당과 초기화에 대응됨을 보여줍니다. 이러한 SAX의 컴퓨터 공학적 해석은 함수형 언어의 저수준 컴파일에 응용될 수 있으며, 논리와 컴퓨터 공학의 연결고리를 더욱 강화합니다. 프랭크 페닝 교수의 연구를 바탕으로 한 SAX는 현재도 활발히 연구 중인 체계로, ML 계열 언어 컴파일러 개발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Read more →
12

❤️

11 people reacted.

mail@leetekwoo.com 엔지니어링에 관심이 많습니다.

아름다운 것들은 다 어디에

규칙을 만들고, 부수고, 살펴보고, 고치기를 좋아합니다. 논리를 다루는 일이 즐거워 프로그래밍을 업으로 삼았습니다. 현재는 프론트엔드 플랫폼 엔지니어로 일하고 있습니다.

다음 주제에 특히 관심이 많습니다.

  • 프로그래밍 언어론
  • 타입 이론
  • 소프트웨어 아키텍쳐
  • 글쓰기 그리고 맥주와 와인

약력은 비워둘 수 없습니다.

i am the one who knocks

Uncertified Quasi-pseudo dev

지금까지 다루어 봤던 언어는 아래와 같습니다. MSX Basic Z80 Assembly Pascal GW-Basic C Macromedia Director Visual Basic PHP Flash Actionscript C++ Javascript

그리고 지금은, 하스켈을 비즈니스에 쓰려고 몇 년간 노력하고 있습니다. 지금 상태는, 하스켈 자체를 연구하는 게 아니라, 하스켈 (혹은 함수형 언어) 이해가 어려운 이유를 연구하는 아마추어 연구가쯤 되어버렸습니다. 하스켈 주제로 블로그를 운영 중이지만, 아직은 하스켈 프로그래머라고 자신 있게 말하진 못하고 있습니다. 가끔 이해에 도움이 될만한 측면이 보이면, 가볍게 아이디어를 여러 SNS에 올려보곤 하는데, 그다지 프로그래머에게 쓸모 있는 내용이 포함되진 않는 것 같습니다.

슈티를 함께 만들 팀을 만들고 있습니다. 관심 있으신 분, 또는 잘 모르겠지만 이야기를 나눠보고 싶은 분도 bgl@gwyng.com으로 편하게 연락주세요.

Hi, I'm who's behind Fedify, Hollo, BotKit, and this website, Hackers' Pub!

Fedify, Hollo, BotKit, 그리고 보고 계신 이 사이트 Hackers' Pub을 만들고 있습니다.

FedifyHolloBotKit、そしてこのサイト、Hackers' Pubを作っています。

嗨,我是 FedifyHolloBotKit 以及這個網站 Hackers' Pub 的開發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