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고양이 기르면 고양이 이름을 고양이라고 짓고 개 기르면 이름을 개라고 지어야지
일루수 이름이 뭐야
와이파이 비밀번호는 한글로와이파이야

악하
@akastoot@hackers.pub · 87 following · 65 followers
능력 없고 코딩 못하고 뭔가 만들수도 없고 신입한테도 기죽어지내고 이제 직장이 없어진 SE
사람이라는 게 참 묘하다. 서비스 개발을 시키면 플랫폼 엔지니어링을 하고 싶고, 플랫폼 엔지니어링을 시키면 서비스 개발을 하고 싶어한다. 둘 다 해야 할 때는 이론 공부를 하고 싶다고 하고, 이론 공부를 시키면 서비스 개발을 하고 싶다고 한다.
주어가 계속 바뀌는 이상한 문장인데, 그래서인지 더 마음에 들어서 올렸다. 역시 사람 마음이라는 것은 "내 이야기는 아니고 아는 친구의 친구 이야기인데" 같은 걸로는 쉽게 숨기기 어렵다.
이 노트를 리노트/부스트한 분들 중 한 분을 뽑아 덕자금 1.0을 드립니다.
연합우주에서도 자캐커뮤가 흥행하길 바랍니다.
들리는가!! 내 N150이 오는 소리가!
사실 안들릴거에요 아직 물건너에 있으니까요
토요일/일요일 각각 카테고리를 나눠서 작업하게 될 것 같습니다.
토요일
- Fedify를 이용해서 마이크로블로그를 만드는 튜토리얼을 완주하는 것을 도전해보려고 합니다.
이미 postgres 기반으로 데이터베이스 세팅해서 만들고 있는게 있긴 하지만, Vibe coding으로 쭉 이어나가다가 Fedify를 제대로 활용하는 방법에 대해 알지 못한 상황이라 중간에 삑사리나서 헤매고 있는 상황입니다.
큰 욕심은 안내고 천천히 튜토리얼을 정주행하면서 전반적으로 한 사이클 돌고 감을 잡는 것에 의미를 둘 생각입니다. 예제는 sqlite를 쓰고 있지만, 여기서도 배리에이션 안주고 최대한 예제를 충실히 따르면서 완주하고 배리에이션은 천천히 주려고 합니다.
일요일
- 지난주말에 작업했던 뉴스레터 서비스를 마저 작업할 것인데요. django 기반의 개발환경은 이미 세팅 완료 했습니다.
django admin에서 아티클 url을 수동으로 입력하고 langchain 기반으로 요약하는 기능 PoC로 나마 구현해보려고 합니다.
RE: https://hackerspub-ask-bot.deno.dev/message/0196468d-7fd8-7447-b2a6-e974c49e42b8
Spotify 대안으로서의 Jellyfin
------------------------------
- Spotify 를 떠나 Jellyfin 을 사용하게 된 경험을 공유함
- Spotify를 탈퇴한 후 대체 음악 감상 방법을 찾아 여러 로컬 음악 플레이어를 시도했지만 대부분 불편하거나 시대에 뒤처진 UX였음
- 웹 기반 음악 플레이어를 직접 만들기도 했지만, 오프라인 사용 불가 등 한계가 있었음
- 결국 Jellyfin 셀…
------------------------------
https://news.hada.io/topic?id=20398&utm_source=googlechat&utm_medium=bot&utm_campaign=1834
이거 남일이 아닌게, 우리 부서만 해도 매년 뽑던 인턴쉽을 올해는 안할까 생각중. 그들에게 시킬 게 별로 없다.
AI그림대회에서 오가닉 부품을 쓰다니
학교 캡스톤에서 절반 넘는 팀이 장고를 사용하는 신세카이를 보셨나요? 나도 멋진거 만들고 싶은데 현실적인거 고려하니까 걍 crud 웹앱이 되어버려서 눈물 난다
...구글은 사업 접어라
하고 싶은 공부 엄청 많았는데 학교 회사 스트레스 빔 맞고 그냥 덴지됨
강의를 하나 봐두려고 했는데 사이트를 열었더니 502인거에요 엉응엥웅
https://www.pixiv.net/artworks/129414090
기왕이면 픽시브도 들렀다 가세요~
공모전 참가작품이니까요~
델타룬
6월5일
스팀닌텐도스위치플스기타등등동시발매
24.99달러
많은관심바랍니다
OpenAI가 Windsurf를 30억 달러에 산다는 루머가 있는데, 솔직히 난 잘 이해가 안되서 사람들의 의견이 궁금하다(Cursor는 얼마전에 100억달러로 평가받았다)
확실히 문서에 잘 정리해놓으니까 AI랑 협업하기가 수월한 것 같음. 개인 프로젝트에도 잘 해놓으면 아주 좋겠구먼
@joonnotnotJoon CONTRIBUTING.md 파일 하나 잘 작성해 두면 사람이랑 협업할 때 뿐만 아니라 LLM이랑 협업할 때도 도움이 많이 되더라고요. Hackers' Pub도 하나 마련해 뒀어요.
cursor로 문서와 터미널을 연동시키니까 환경 세팅 할 때의 고통이 줄어들었다
확실히 문서에 잘 정리해놓으니까 AI랑 협업하기가 수월한 것 같음. 개인 프로젝트에도 잘 해놓으면 아주 좋겠구먼
어제 출시된 o3가 코딩스타일은 별론데 디버깅을 매우 잘한다고 한다.
위 계정은 HVM 만드는 사람의 것인데, 나는 새 모델이 나올때마다 저 사람이 하는 벤치마크를 체크한다. 사실 구체적으로 뭐하는지는 잘 모르는데,
- 충분히 어려운 과제로 테스트한다는 점
- 진짜로 자기가 할일을 대체할수 있는지 확인할만큼 밀어붙인다는점
- 결과를 세세하게 공유한다는 점
에서 참고할만하다.
스터디의 진심으로 하기 위해 텍스트를 다시 정리하고 있...진 않고 저녁에 해야한다..
수파-베이스가 미래다....... MVP 뚝딱 만들때 만큼은 그렇다..... 기술부채는 나중에 치우면 된다....
@kodingwarriorJaeyeol Lee (a.k.a. kodingwarrior)
수파베이스 정말 좋다고 했죠 하하
메시지가 자동으로 번역되는 채팅앱이 있으면 좋겠는데, 아마 디스코드가 곧 지원할거 같다.
@akastoot악하 워딩 좀 조심하세요...
뭔가 이거 만들다보니까 fedify를 이용한 sns 만들기 스타터킷 같은게 만들어지면 좋을 것 같음.
* 노트 작성
* 팔로/언팔
* 타임라인
* 프로필
* 블락/블락해제
이런 것들이 미리 구현은 되어있고 나머지 기능은 요령껏 채우면 되는
라고는 하지만 생각을 어떻게든 부여(고구려 아님ㅎ) 잡고 일단 고.....
@kodingwarriorJaeyeol Lee (a.k.a. kodingwarrior)
아이디어 제공해줬으니 아랫것들을 위해서 천천히 만드시겠다는 것이군요..
홍민희님처럼 쏟아부을 정도로 시간 쥐어짜낼 자신이 없는데 걍 슬라이드 공유 서비스 만드는거 생각을 접어야 하나... 프론트엔드는 그래도 시간이 나는데
라고는 하지만 생각을 어떻게든 부여(고구려 아님ㅎ) 잡고 일단 고.....
유적 박살내는 거 보니까 고고학자 맞네요
유튜브 댓글 보면서 느끼는 건데... 한국에서 애플 들어온 이유를 아주 잘 알겠다...
로그인한김에 적고 가야지
플라티나랩 프로그래머입니다
뺑이칩니다 열심히 했습니다
플레이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밤비 귀엽죠 저도 알아요
# 홈서버에_뭐뭐_설치하셨나요
뭐 설치했더라
잘 사용하고 있음
- 위키: outline
- 코드: forgejo
테스트용 설치
- 위키: docmost
사정상 제거함
- nextcloud
설치하고 싶음
- jellyfin
홈서버에 뭘 설치해야 잘 설치했다는 소리를 들을까... 16기가니까 뭐 안올리면 아깝긴 한데... 그냥 미디어 서버로 쓸까?
최면어플을 만드는 놈들, 사실 뇌과학에 CS까지 전공한 변태들 아냐?
@maka@stella.place생성형김마카신경망 당연히 클라담당이랑 쇠뇌 구조 담당은 다를거예요...
점심에 갈비 먹고 체했나........ 딸꾹질이 멈추질 않음...
나 쁜 사 람 으로 찍히고 있나요
자바 두명 타요 의 시즌이 다가온다... 살려줘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가이드북 (게르겔리 오로스 지음, 한빛 미디어) 읽기 시작
40페이지까지 읽은 감상: "이 책 안 읽은 사람 없게 해주세요" 하드웨어적인 감상: "종이 재질이 반짝여서 조명 각도에 따라 읽기가 힘들어요"
한국 IT 직장인의 테크트리는 40대까지 야근 등으로 밤낮없이 일하다 치킨집이란 자조를 하곤 했는데. 그럴 수밖에 없었다. 지역 시장의 작은 기업은 그 이상의 커리어 패스를 제공할 수 없다.
내 직업(커리어)를 어떤 기준으로 관리할 것인가 기준을 제시하는 책이 아닌가 싶다.
아무도 들어보지 못한 GPS 대안 기술, BPS
------------------------------
- BPS 는 GPS를 대체할 수 있는 *방송 기반 위치 결정 시스템* 으로, *ATSC 3.0 신호를 활용* 하여 높은 정확도의 타이밍을 제공함
- GPS와 BPS는 10ns 이내의 정밀한 동기화를 이루며, 방송 인프라를 활용한 새로운 시도임
- 전력망, 통신, 방송 등 다양한 분야에서 *타이밍 정확성이 중요* 하기 때문에, G…
------------------------------
https://news.hada.io/topic?id=20314&utm_source=googlechat&utm_medium=bot&utm_campaign=1834
사실 각자의 개인 연합우주 서버를 여는 것은 분산되는 측면에서는 매우 좋은데
이게 보안적으로 취약한 서버가 되기 마련이라... 저번처럼 스팸사태가 또 터진다거나, 서버가 암호화폐 채굴장이 된다거나 하는 사태가 벌어질 수 있어서요
웬만하면 구축 커미션이나 호스팅 서비스를 이용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그냥 LLM이 코드베이스 전체를 이해해주면 안 될까: 번들링을 통한 RAG 시도
------------------------------
"이 글에서는 많은 파일을 내포하는 TypeScript 코드베이스를 번들링(bundling)을 통해 1개의 JavaScript 파일로 압축한 후 LLM에게 전달하였을 때, LLM이 코드베이스와 관련된 질문에 얼마나 정확하게 답변할 수 있는지 확인할 것이다."
- NestJS 기반 웹 서버 코드베이스 1개 준비
- esbuild로 코드 압축(번…
------------------------------
https://news.hada.io/topic?id=20309&utm_source=googlechat&utm_medium=bot&utm_campaign=1834
후후후... T10을 주문했다... 처음부터 서버엔 그누구도 서있지 않았어... 내가 서버 위에 서겠다...
@maka ai 하느라 바쁘지 않나요?
아무래도 앱 개발은 혼자선 하면 안되고 트러블슈팅을 할수 있도록 팀을 갖추고 해야하는거 같다. 추잡한 문제들이 너~무 많다. 하지만 이런 허접한 교훈을 얻고 관둘순 없으니 어떻게든 혼자서 마저 나아가야한다.
개인적으로는 k8s쓰는 가장 큰 이유는 개발자 복지라고 생각한다. 적정기술만 쓰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뭔가를 실 서비스에서 경험할 기회를 잃어버린다. 아니 이건 됐고…
온프레미스 클러스터 오퍼레이션 부담이나 EKS같은 서비스의 사용료 걱정만 없다면 쓰는게 무조건 낫다고 생각한다.
일단 k8s뿐만 아니라 컨테이너/머신 오케스트레이션의 세계에서 앱과 머신은 좀 더 잘 죽어도되는 존재가 된다. (물론 stateful한 호스트와 앱을 최대한 stateless하게 하거나, 상태를 분리하여 격리시켜야 하긴 한다)
그러면 docker-compose로 충분하지 않느냐 말할 사람도 있겠지만 처음에야 docker-compose 쓰는거나 k8s 쓰는거나 그게 그거지만(오히려 k8s가 성가실것이다) 마이그레이션의 때가 오면 난 그걸 감당할 자신이 없다.
물론 자신만의 가볍고 쏙 맘에드는 솔루션을 고집할 사람도 있을텐데… 난 남들이 다 쓰는거 쓰는게 편하다.
음악합니다! n년차 간호사이고 프셉일 합니다!
웹소설 좋아하고 지인들과 탐라대화 또는 멘션대화가 잦습니다!
정치 이시국 얘기는 가끔 올라오는편이고 새친구를 구합니다!
부스트나 별/하트 눌러주시면 멘션과 함께 가겠습니다
당신에겐 웹소켓이 필요 없을 수도 있어요
------------------------------
- WebSocket은 실시간 통신에 유용하지만, 항상 필요한 것은 아니며 HTTP 기반 대안이 더 간단하고 안정적일 수 있음
- 트랜잭션 처리, 연결 관리, 서버 복잡성 등에서 WebSocket은 과도한 오버헤드를 유발할 수 있음
- HTTP Streaming과 라이브러리(eventkit)를 활용하면 WebSocket 없이도 실시간 동기화와 이벤트 …
------------------------------
https://news.hada.io/topic?id=20296&utm_source=googlechat&utm_medium=bot&utm_campaign=18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