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 I'm who's behind Fedify, Hollo, BotKit, and this website, Hackers' Pub!

Fedify, Hollo, BotKit, 그리고 보고 계신 이 사이트 Hackers' Pub을 만들고 있습니다.

FedifyHolloBotKit、そしてこのサイト、Hackers' Pubを作っています。

嗨,我是 FedifyHolloBotKit 以及這個網站 Hackers' Pub 的開發者!

Website
hongminhee.org
GitHub
@dahlia
Hollo
@hongminhee@hollo.social
DEV
@hongminhee
velog
@hongminhee
Qiita
@hongminhee
Zenn
@hongminhee
Matrix
@hongminhee:matrix.org
X
@hongminhee

@hongminhee洪 民憙 (Hong Minhee) 좋은 글 감사합니다. 스레드에서는 페디버스 활성화를 통해 연합우주에 참여할 수 있는데, 공개된 글을 삭제한 경우에 전파된 글을 삭제할 수 없는 이슈가 있어서, 결국 비활성했습니다. (스레드에서만 삭제되고 다른 우주에는 남아 있음.) 참고 https://www.threads.net/@threads/post/C-TW9Y_unAn

혹시 hackers.pub 이나 다른 연합우주에서 글을 올리고 나서 삭제한 경우에, 다른 곳에 전파된 글들이 삭제된다는 것이 보장될까요? @hongminhee洪 民憙 (Hong Minhee) 님께서 잘 아실 듯 하여, 개인적인 궁금증으로 여쭈어보았습니다.

@arkjunJuntai Park 아쉽게도 보장되지 않습니다. Threads도 페디버스 활성화를 한 상태에서 글 삭제를 하면 다른 페디버스 서버들에게 글이 삭제되었다는 통지(Delete(Note) 액티비티)를 보내는데, 이를 어떻게 처리할지는 다른 서버들의 구현에 달려 있습니다. 대부분의 정상적인 서버 구현들은 모두 실제로 삭제 처리를 하지만, 버그로 인해, 혹은 악의적으로 삭제 처리를 하지 않는 서버가 있을 수도 있겠죠?

0
0
0
0

@strypey @liaizon꧁ wakest ꧂ I think the reason why Asian developers are underrepresented in the international development of the fediverse is because of the language barrier, and I myself am often unable to participate deeply in discussions due to the language barrier.

Do either of you (or anyone) know of a fediverse app that can auto-translate them into passable English?

The Hackers' Pub I'm building will have automatic translation in the future.

0
0
0
0
0
0
0
0

@smartbosslee이현석 네, 맞습니다! 이른바 연합우주(fediverse)라고 하는 건데, 그 안에 Hackers' Pub도 있고 Mastodon도 있고 Meta의 Threads도 있고… 그렇습니다. 그들 사이에 서로 팔로도 되고 댓글도 달리고… 상호작용이 가능해요. 자세한 것은 제가 쓴 연합우주(fediverse)와 ActivityPub 프로토콜 이해하기: 개발자를 위한 가이드를 한 번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0
0

오늘의 일기

  • 웜업/쿨다운 포함해서 50분 인터벌 달리기를 했다. 그리고 집 돌아오는 길에 종아리에 쥐나서 길거리에 주저앉을 뻔했다. 슬슬 런데이 아저씨가 미워지는 구간에 진입 중.
  • GitHub Pages 에서 Netlify 로 무사히 이관했다. 다음 목표는 카테고리 별로 볼 수 있게 내비게이션 바 만들고 RSS 피드 깨진 거 원인 파악해서 고치기.
  • 네이버 블로그 백업용으로 GitHub Pages 를 만들면서 당시에 썼던 독서/영화 기록에 네이버 책/영화 서비스 링크를 전부 달아뒀었는데, 이번에 Netlify 로 옮기면서 전부 지웠다. 당시엔 하이퍼링크를 걸어두는 쪽이 더 범용성 있을 거라고 생각했는데 네이버 영화 서비스가 문 닫을 줄 누가 알았겠어요. 블로그로 정확히 뭘 하고 싶은지 목표가 뚜렷해야 이런 실수를 안 할 텐데, 장기적인 목표는 좀 더 천천히 생각해 봐야 할 거 같다.
  • 내 포스트를 공유한 사람 목록을 보고 싶은데 아직은 방법이 없는듯.
  • 블루스카이와 타임라인을 연결하고 싶은데 계정을 만든지 7일이 지나야 가능한 거 같다.
0

오늘의 일기

  • 웜업/쿨다운 포함해서 50분 인터벌 달리기를 했다. 그리고 집 돌아오는 길에 종아리에 쥐나서 길거리에 주저앉을 뻔했다. 슬슬 런데이 아저씨가 미워지는 구간에 진입 중.
  • GitHub Pages 에서 Netlify 로 무사히 이관했다. 다음 목표는 카테고리 별로 볼 수 있게 내비게이션 바 만들고 RSS 피드 깨진 거 원인 파악해서 고치기.
  • 네이버 블로그 백업용으로 GitHub Pages 를 만들면서 당시에 썼던 독서/영화 기록에 네이버 책/영화 서비스 링크를 전부 달아뒀었는데, 이번에 Netlify 로 옮기면서 전부 지웠다. 당시엔 하이퍼링크를 걸어두는 쪽이 더 범용성 있을 거라고 생각했는데 네이버 영화 서비스가 문 닫을 줄 누가 알았겠어요. 블로그로 정확히 뭘 하고 싶은지 목표가 뚜렷해야 이런 실수를 안 할 텐데, 장기적인 목표는 좀 더 천천히 생각해 봐야 할 거 같다.
  • 내 포스트를 공유한 사람 목록을 보고 싶은데 아직은 방법이 없는듯.
  • 블루스카이와 타임라인을 연결하고 싶은데 계정을 만든지 7일이 지나야 가능한 거 같다.
0

현재 Hackers' Pub의 안 좋은 UI로 인해 많은 분들이 알아채지 못하시는 듯하여…

  • Hackers' Pub에는 X처럼 단문을 올리는 용도의 노트와 velog처럼 긴 글을 올리는 용도의 게시물이 나뉘어 있습니다.
  • 노트든 게시물이든 타임라인에 뜨는 것은 같지만, 둘의 모양이 조금 다릅니다. 둘 다 Markdown을 지원하는 것은 같습니다.
  • 노트는 첫 화면 타임라인 맨 위에 있는 UI로 작성합니다. (이건 다들 이미 아실 듯.)
  • 게시물은 우상단 본인 계정명에 마우스 커서를 가져다 대면 나오는 메뉴 속 새 게시물 항목을 누르면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 게시물은 작성하던 도중 페이지를 닫더라도 임시 보관함에 자동으로 저장되므로 나중에 다시 이어서 쓸 수 있습니다.

아직 한창 만드는 중이라 여러모로 미흡합니다. 빠른 시일 내에 UI를 개선하도록 할게요!

0
0
0

@curry박준규 용도상으로는 말씀하신 것처럼 노트는 X처럼 짧은 글을 공유하라고 만든 기능이고, 게시물은 velog처럼 긴 글을 공유하라고 만든 기능입니다. 읽을 때 UI도 좀 달라요. 각 용도에 좀 더 최적화된 UI입니다. 그리고 게시물은 기억하기 쉬운 퍼머링크(고유 URL)를 가진다는 차이도 있고요. 그렇지만 노트에 긴 글을 써도 되고 게시물로 짧은 글을 써도 되긴 합니다.

0
0
0
0
0
0

【輪読会試験開催のお知らせ】
​:fedilug:​ 輪読会📖第0弾として
「〜自分でActivityPub対応SNSを作ってみよう〜『自分だけのフェディバースのマイクロブログを作ろう!』輪読会」
https://github.com/dahlia/fedify-microblog-tutorial-ja

を行います!申し込みは以下からできます!ぜひ参加してフィードバックをください!!
https://fedilug.connpass.com/event/348240/

0
0
0
0
0
0
0

@PossiblyMaxMax Great question about our queue implementation! Fedify doesn't actually create separate physical queues, but rather uses a single logical queue where each message contains its own destination information.

For resource management, we generally rely on the underlying queue implementation (Redis, PostgreSQL, etc.) to handle concurrent processing efficiently. Since version 1.0.0, we've introduced ParallelMessageQueue which processes multiple messages concurrently with a configurable worker count—usually set close to your CPU core count for IO-bound operations.

We don't spin up new queues dynamically; instead, we focus on making the message processing scalable. You can control the parallelism level when using ParallelMessageQueue, and for high-volume instances, you can horizontally scale by running multiple worker processes that connect to the same shared queue backend.

This approach keeps the architecture simpler while still allowing for good throughput and resource utilization that can scale with your instance size.

0

Just released @fedify/markdown-it-mention v0.3.0! This update adds support for bare handles (e.g., @username without domain) with the new localDomain option, allowing you to specify the domain for these shortened mentions.

Install via npm, Bun, or Deno:

npm add @fedify/markdown-it-mention@0.3.0
bun add @fedify/markdown-it-mention@0.3.0
deno add jsr:@fedify/markdown-it-mention@0.3.0
0

@FediChatBot Hello from Hackers' Pub! Hackers' Pub is an ActivityPub-enabled blogging platform for software engineers. You can think of it as a Fediverse version of DEV.to. As such, I'm communicating with you through ActivityPub.

Hackers' Pub is still in development, but it is also open-sourced under the AGPL-3.0 license, so anyone can participate in the development.

What do you think of the future of Hackers' Pub? How does it compare to DEV.to, Qiita/Zenn in Japan, velog in Korea, etc.? Do you think it is competitive?

0
0
0
0
0
0
0
0

Hackers' Pub 쓰고 계신 분들 중에서, 자신의 Hackers' Pub 계정을 연합우주(fediverse)뿐만 아니라 Bluesky에도 노출하고 그쪽 사람들과 교류하고 싶으신 분이 있다면, 상단 검색창에 @bsky.brid.gy@bsky.brid.gy을 검색하셔서 나오는 프로필을 팔로해 보세요. 그리고 1분 정도 뒤에 Bluesky에서 본인ID.hackers.pub.ap.brid.gy로 검색하면 본인의 Hackers' Pub 계정이 Bluesky에서도 보이는 걸 확인하실 수 있을 겁니다.

0
0
0

昨日と今朝は主にバグ修正だけだった。

  • 非公開の投稿は共有を出来なくした
  • Markdown のレンダリングで GitHub スタイルのコールアウトのバグを修正
  • AUTHORIZED_FETCHが適用されたインスタンスからノートオブジェクトのリクエストを受けた時、無条件に401が出るバグ修正(Fedifyまでまとめて修正…)
  • 脚注リンクが動かないバグ修正
  • 他の人のDMがタイムラインに表示されるバグを修正
  • ファビコン追加
0

어제랑 오늘 오전은 주로 버그 수정만 했다.

  • 비공개 게시물은 공유 못 하게 막음
  • Markdown 렌더링에서 GitHub 스타일 콜아웃 버그 고침
  • AUTHORIZED_FETCH 적용된 인스턴스로부터 노트 객체 요청 받았을 때 무조건 401 떨어지던 버그 수정 (Fedify까지 덩달아 수정…)
  • 각주 링크 작동 안 하던 버그 고침
  • 다른 사람 DM이 타임라인에 뜨던 버그 고침
  • 파비콘 추가
0

昨日と今朝は主にバグ修正だけだった。

  • 非公開の投稿は共有を出来なくした
  • Markdown のレンダリングで GitHub スタイルのコールアウトのバグを修正
  • AUTHORIZED_FETCHが適用されたインスタンスからノートオブジェクトのリクエストを受けた時、無条件に401が出るバグ修正(Fedifyまでまとめて修正…)
  • 脚注リンクが動かないバグ修正
  • 他の人のDMがタイムラインに表示されるバグを修正
  • ファビコン追加
0

어제랑 오늘 오전은 주로 버그 수정만 했다.

  • 비공개 게시물은 공유 못 하게 막음
  • Markdown 렌더링에서 GitHub 스타일 콜아웃 버그 고침
  • AUTHORIZED_FETCH 적용된 인스턴스로부터 노트 객체 요청 받았을 때 무조건 401 떨어지던 버그 수정 (Fedify까지 덩달아 수정…)
  • 각주 링크 작동 안 하던 버그 고침
  • 다른 사람 DM이 타임라인에 뜨던 버그 고침
  • 파비콘 추가
0
0

궁금해 하실 분들이 계실지 모르겠지만, Hackers' Pub은 아래의 기술로 만들어지고 있습니다.


  1. 2025년 3월 현재 Fresh 2.0은 정식 버전이 릴리스되지 않은 상태인데, 무시하고 불안정 버전을 그대로 쓰고 있습니다. Fresh 1.0 → 2.0에서 많은 게 바뀌기 때문에 굳이 Fresh 1.0을 쓰고 싶지 않았습니다. ↩︎

気になる方がいるか分かりませんが、Hackers' Pubは下記の技術で作られています。

  • バックエンドのJavaScriptランタイムとしてDeno(Node.jsは使わない)
  • データベースとしてPostgreSQL
  • ウェブフレームワークとしてFresh 2.0[1]
  • ORMとしてDrizzle ORM
  • キャッシュストレージとしてRedis
  • ActivityPub連合の為のFedify
  • ロギングライブラリとしてLogTape
  • WebフロントエンドフレームワークとしてPreact
  • スタイリングにTailwind CSS
  • 国際化にi18next

  1. 2025年3月現在Fresh 2.0は正式版がリリースされていない状態ですが、無視して不安定なバージョンを使っています。Fresh 1.0→2.0で色々変わったので、あえてFresh 1.0を使いたくなかったです。 ↩︎

1

궁금해 하실 분들이 계실지 모르겠지만, Hackers' Pub은 아래의 기술로 만들어지고 있습니다.


  1. 2025년 3월 현재 Fresh 2.0은 정식 버전이 릴리스되지 않은 상태인데, 무시하고 불안정 버전을 그대로 쓰고 있습니다. Fresh 1.0 → 2.0에서 많은 게 바뀌기 때문에 굳이 Fresh 1.0을 쓰고 싶지 않았습니다. ↩︎

0

Hackers' Pub 쓰고 계신 분들 중에서, 자신의 Hackers' Pub 계정을 연합우주(fediverse)뿐만 아니라 Bluesky에도 노출하고 그쪽 사람들과 교류하고 싶으신 분이 있다면, 상단 검색창에 @bsky.brid.gy@bsky.brid.gy을 검색하셔서 나오는 프로필을 팔로해 보세요. 그리고 1분 정도 뒤에 Bluesky에서 본인ID.hackers.pub.ap.brid.gy로 검색하면 본인의 Hackers' Pub 계정이 Bluesky에서도 보이는 걸 확인하실 수 있을 겁니다.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