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at is Hackers' Pub?

Hackers' Pub is a place for software engineers to share their knowledge and experience with each other. It's also an ActivityPub-enabled social network, so you can follow your favorite hackers in the fediverse and get their latest posts in your feed.

0
0

Hackers' Pub 행동 강령을 관통하는 큰 키워드가, 존중배려라고 느꼈고, 그래서 더욱 Hackers' Pub 을 응원하고 있는데, 오랜 시간이 흘러도 추구하는 가치에 흔들림이 없으면 좋겠고, 여기에 더해 긍정적이고 밝은 에너지가 가득한 공간이 되기를 소망한다.

한가지만 더 첨언하자면, 개발자의 소소한 일상 얘기들도 많이 공유되었으면 좋겠다. (우선 나부터도 해야겠지만)

0

Hackers' Pub 行動規範を拝見し、その根底にあるキーワードは「尊重」と「思いやり」だと強く感じた。だからこそ、僕はHackers' Pubを心から応援している。時間が経っても、その価値観がブレずに、前向きで明るいエネルギーがあふれる場所であってほしい。

それと、もうひとつだけ言うと、開発者のちょっとした日常の話とかも、もっと共有されるといいなって思う。(まずは自分から始めなきゃだけどね)

0
0
0
0
0

@lionhairdino 말씀하신 접두사들에 덧붙여서, 이른바 "연산자 오버로딩"처럼 두 정의가 하나의 이름에 동시에 붙어 있는 경우 竝(나란히 병)을 쓰는 것도 고려함 직하다는 생각을 해 봤습니다. "병행", "병립", "병치" 등에 쓰이는... "오버레이"의 경우는 疊(겹쳐질 첩)이 먼저 떠오르네요. "중첩"이라든지 "첩첩산중" 등에 쓰이는 그거요.

그리고 꼭 한자어에는 한자 접두사를 붙여야 한다는 법이 있는 것은 아니니, 과감하게 고유어를 쓰는 것도 생각해 볼 수 있겠습니다. "겹정의"라든지, "덮정의"라든지... 아예 "겹뜻"이라든지...

@xtjuxtapose 처음 듣는다고 상상해보면, 겹정의와 병립(중복)정의를 듣고, 오버라이딩, 오버로딩 동작을 떠올리는데 무리 없어 보입니다!

개인적으로 커널-알멩이 번역처럼 한글 낱말에서 전혀 원 뜻이 느껴지지 않는 것들은 읽는데 힘들어 하지만, 겹정의는 충분히 이바닥에 자리 잡아도 되지 않을까 싶을 정도로 원 뜻이 살아 있습니다.

겹정의! 재정의보다 더 원 뜻에 가깝다고 생각이 드네요.

0

〈微軟Windows 11將改版BSOD、強制登入帳號才能安裝〉

Windows 11下一更新可能改變藍色死亡螢幕(Blue Screen of Death,BSOD),不再使用藍色,並且刪除了允許用戶跳過登入安裝Windows 11的bypassnro.cmd指令碼。
ithome.com.tw/news/168214

0
0
0

오버라이딩 을 재정의라 번역하는데, 왜 "(덮을 복)정의"라 안했을까? (물론 나도 어색하다) 재정의는 뭔가 기존 것을 치워버리고, 다시 정의하는 것이고, 오버라이딩은 기존 것을 그대로 두고, 그 위에 레이어를 두는 느낌이라 같은 듯 다르다.

만일 복정의라 번역한다면, 오버로딩을 중(거듭 복) 정의라 하는데, 이 것과 같은 글자를 쓰는 문제가 생길 수 있겠다.

재정의, 중복 정의는 나도 번역이 마음에 들긴 한데, 늘 재정의가 살짝 걸리적 거린다.

닉스 공부하며 노트하다가 비슷한 듯 다른 오버레이, 오버라이딩의 적당한 번역어가 떠오르지 않아 잡생각으로 빠졌다.

널리 알려진 적당한 짧은 번역 단어(보통 한자 한 두 글자)가 없으면, 그냥 원문이 낫지 않을까? 표기만 Overlay가 아니라 오버레이로.

@lionhairdino 말씀하신 접두사들에 덧붙여서, 이른바 "연산자 오버로딩"처럼 두 정의가 하나의 이름에 동시에 붙어 있는 경우 竝(나란히 병)을 쓰는 것도 고려함 직하다는 생각을 해 봤습니다. "병행", "병립", "병치" 등에 쓰이는... "오버레이"의 경우는 疊(겹쳐질 첩)이 먼저 떠오르네요. "중첩"이라든지 "첩첩산중" 등에 쓰이는 그거요.

그리고 꼭 한자어에는 한자 접두사를 붙여야 한다는 법이 있는 것은 아니니, 과감하게 고유어를 쓰는 것도 생각해 볼 수 있겠습니다. "겹정의"라든지, "덮정의"라든지... 아예 "겹뜻"이라든지...

0

Hackers' Pub 行動規範を拝見し、その根底にあるキーワードは「尊重」と「思いやり」だと強く感じた。だからこそ、僕はHackers' Pubを心から応援している。時間が経っても、その価値観がブレずに、前向きで明るいエネルギーがあふれる場所であってほしい。

それと、もうひとつだけ言うと、開発者のちょっとした日常の話とかも、もっと共有されるといいなって思う。(まずは自分から始めなきゃだけどね)

0

Hackers' Pub 행동 강령을 관통하는 큰 키워드가, 존중배려라고 느꼈고, 그래서 더욱 Hackers' Pub 을 응원하고 있는데, 오랜 시간이 흘러도 추구하는 가치에 흔들림이 없으면 좋겠고, 여기에 더해 긍정적이고 밝은 에너지가 가득한 공간이 되기를 소망한다.

한가지만 더 첨언하자면, 개발자의 소소한 일상 얘기들도 많이 공유되었으면 좋겠다. (우선 나부터도 해야겠지만)

0
0

Chrome Built-In AI (EPP)で変更

Canary 136.0.7103.0* 以降、すべての組み込み API に新しいエントリ ポイントがあります。 self.ai.* ではなく、self.* で直接 API を見つけることができるようになりました。静的 create() メソッドを使用して、これらの API をインスタンス化します。

await LanguageModel.create();
await Summarizer.create(); 
await Writer.create();
await Rewriter.create();
await LanguageDetector.create();
await Translator.create();

同様に、静的 availability() メソッドが追加されました。

await LanguageModel.availability();
await Summarizer.availability();
await Writer.availability();
await Rewriter.availability();
await LanguageDetector.availability();
await Translator.availability();
0
0
0

〈微軟Windows 11將改版BSOD、強制登入帳號才能安裝〉

Windows 11下一更新可能改變藍色死亡螢幕(Blue Screen of Death,BSOD),不再使用藍色,並且刪除了允許用戶跳過登入安裝Windows 11的bypassnro.cmd指令碼。
ithome.com.tw/news/168214

0

이상하게 디엠으로 초대장 보내는거랑, 구글폼으로 취합해서 초대장 보내는거랑 초대장 보내고 나서 가입까지 이어지는 비율이 차이가 좀 있는 것 같음. 사람들이 이메일을 잘 안보는 경우가 많아서 그런 것일까, 혹은 초대장메일이 스팸메일함으로 들어가서 확인을 못하는 경우가 많은 것일까...

디엠으로 문의받을때는 초대장 보내고나서 보냈어용! 하면 대부분 가입까지 이어졌는데, 구글폼으로 취합해서 일괄적으로 발송하는건 그러기 어려운 느낌...?

시간 길게 두고 관찰해봐야겠다.

0
0
0
0
0
0
0

lionhairdino shared the below article:

스태키지 큐레이션이 성공할 수 있었던 것은 하스켈이라는 언어와 생태계의 특징도 컸습니다.

juxtapose @xt@hackers.pub

인용: https://hackers.pub/@bgl/0195f0eb-88dd-77e3-a864-f0371e85b270

스태키지(Stackage)는 하스켈이 (의외로) 성공하여 해키지(Hackage)가 거대해지자, 그 거대함 때문에 발생하는 불편을 해소하는 한 방책으로 고안되었습니다. 그런데 당시에 해키지만큼 거대한 생태계를 갖추고 있으면서 동시에 "컴파일이 성공한다면 실행도 아마 성공할 것"이라는 훌륭한 속성을 갖는 언어는 달리 없었죠. 러스트가 있지 않으냐? 스태키지가 처음 나온 게 2012년입니다. 러스트는 아직 crates.io 도 자리잡기 전이었죠. (사실 이 시점의 러스트는 지금과는 언어 자체가 많이 다른 언어였고요.)

하스켈의 패키지 버저닝 정책에 따르면, 후방호환성 깨지는 변경은 반드시 메이저 버전을 올려야 하고, 마이너 버전만 올리는 변경은 후방호환성 유지될 때에만 가능합니다. 이런 정책 당연히 좋지만, 사람이 내용을 잘 숙지하고 지켜야 의미가 있습니다. 후방호환성을 깨면서 마이너 버전만 올리는 실수는 어떤 개발자든 할 수 있죠.

그런데 하스켈의 경우, 인간이 실수해도 기계가 잡아 줄 여지가 처음부터 매우 큰 언어이고, 예를 들어 어떤 함수가 핵미사일을 발사할 수 있는지 아닌지를 함수 실행 없이도 식별할 수 있는 언어라고들 하죠. 하스켈의 마지막 표준이 2010년에 나왔으니 2010년을 기준으로 하면, 당시 하스켈이 제공하는 "컴파일 시간 보장"의 범위는 그야말로 독보적이었습니다. (하스켈보다 더 강한 보장을 제공하는 언어들은 있었지만, 그만한 라이브러리 에코시스템이 없었고요.)

그래서 스태키지라는 모형이 의미가 있었습니다. A라는 패키지의 새 마이너 버전이 해키지에 올라오면, 스태키지에서 자동으로 가져갑니다. 스태키지는 같은 큐레이션에 포함된 다른 패키지들 중 A에 의존하는 패키지들을 추리고, 얘네한테 A의 새 버전을 먹여도 빌드가 잘 되는지 검사합니다. 이들 중 하나라도 깨지면? A 패키지는 해키지에서는 버전이 올랐으나, 스태키지에서는 버전이 오르지 않게 됩니다. 그리고 A 패키지의 제공자에게 자동으로 깃허브 멘션 알림이 갑니다!

("패키지 저자"와 "패키지를 스태키지에 제공하는 제공자"가 같은 사람이 아니어도 된다는 점도, 노동력의 효과적 분담에 한몫했습니다.)

이 모든 과정이 자동화되어 있는데, 이것만으로도 99.99%의 호환성 문제가 사라지고, 그러면서도 웬만한 라이브러리들은 충분히 최신 버전으로 쓸 수 있습니다. LTS와 나이틀리가 구분되어 있는 것도, LTS가 GHC 버전에 대응하여 여러 버전이 유지되는 것도, 실제 개발에서 아주 편리하고요.

스태키지가 개쩌는 부분은 "버저닝 정책에 완벽하게 부합하는데도 현실적으로 후방호환성 파괴를 일으키는" 변경점들도 잡아낸다는 것입니다. 아주 단순한 예시로 "많이 쓰이는 이름"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어떤 라이브러리가 아주 널리 쓰이는데, 제공하는 네임 바인딩은 몇 개 안 되고, 그래서 대부분의 사용자가 그걸 그냥 전역 네임스페이스에 다 반입해서 쓴다고 칩시다. 어느 날 이 라이브러리가 process 라든지 f 같은 새 네임을 추가 제공하기 시작하면? 정책 규범에 따르면, 이것도 마이너 버전만 올려도 되는 변경점이 맞습니다. 하지만 현실에서는 많은 패키지들을 박살내겠죠. 언어를 막론하고 있을 수 있는 일인데, 이런 것들까지 스태키지에서 아주 높은 확률로 다 잡힙니다.

그리고... 이런 게 잘 된다는 것은 언어 그 자체의 특성도 있지만, 생태계 전체의 문화적인 특성도 있는데요. 하스켈도 라이브러리 제작자가 충분히 악독하다면, 컴파일러에게 안 잡히면서 인류문명멸망시키는 코드 변경을 얼마든지 슬쩍 끼워넣을 수 있습니다. 악의가 아니더라도 부주의로 후방호환성을 깰 수 있고요. 그런데 하스켈은 대부분의 라이브러리 설계자들이 "되도록 많은 것을 컴파일 시간에 잡고 싶다"라는 명확한 욕망으로 설계를 하는 경향이 뚜렷합니다. 그래서 호환성 문제는 웬만하면 스태키지 선에서 잡히고, 스태키지 큐레이션은 지난 10년 동안 실무상 아주 유용한 도구로 기능해 온 것이죠.

어지간하면 큐레이션만 잘 고르고 잘 갱신하면 되고, 종속성 목록에는 mypkg >= 2.1.1 && < 2.1.2 이런 거 하나도 관리 안 하고 그냥 mypkg 라고만 써도 된다는 것이, 솔직히 개짱편합니다. 다행히 지난 10년 동안 "문제의 소지는 컴파일 시간에 검출하는 게 좋다"라는 생각이 더 널리 받아들여져서, 다른 언어들도 이런 접근을 더 시도할 여지가 생긴 것 같군요.

Read more →
2
0
0

That's spectacular: The partially eclipsed Sun rising over the St Lawrence River in Quebec, captured on March 29. Video by Jason Kurth.

(I sped up the footage 4x for the impatient...like myself.)

apod.nasa.gov/apod/ap250401.ht

0
0
0

"그런 백엔드 기술로 괜찮은가?"

  • 대상 : 다양한 기술과 도메인에서의 실무 문제 해결 사례를 통해 실질적인 인사이트를 얻고자 하는 개발자
  • 일시 : 2025.04.20(일) 13:00 ~ 17:00 KST
  • 장소 : 테크살롱 (서울 강남구 테헤란로 411, 성담빌딩 13층)
  • 기타 : 주차 지원이 어려우니 대중 교통 이용을 권장드립니다.

https://www.inflearn.com/course/offline/게으른게발자컨퍼런스-2025

0

Chrome Built-In AI (EPP)で変更

Canary 136.0.7103.0* 以降、すべての組み込み API に新しいエントリ ポイントがあります。 self.ai.* ではなく、self.* で直接 API を見つけることができるようになりました。静的 create() メソッドを使用して、これらの API をインスタンス化します。

await LanguageModel.create();
await Summarizer.create(); 
await Writer.create();
await Rewriter.create();
await LanguageDetector.create();
await Translator.create();

同様に、静的 availability() メソッドが追加されました。

await LanguageModel.availability();
await Summarizer.availability();
await Writer.availability();
await Rewriter.availability();
await LanguageDetector.availability();
await Translator.availability();
0
0
0
0

사실 Hackers' Pub은 저희 집 홈 서버인 Mac mini M4 깡통 모델에서 돌아가고 있을 뿐만 아니라, 배포도 compose.yaml 파일의 image: 필드를 매번 손으로 고친 뒤 docker compose up -d를 치는 전근대적인 방식으로 이뤄지고 있습니다… 뭔가 자동화를 하고 싶긴 한데 귀찮은 마음이 커서 아직까지 이대로 살고 있네요.

0
0
0
0
0

Hackers' Pub 行動規範を拝見し、その根底にあるキーワードは「尊重」と「思いやり」だと強く感じた。だからこそ、僕はHackers' Pubを心から応援している。時間が経っても、その価値観がブレずに、前向きで明るいエネルギーがあふれる場所であってほしい。

それと、もうひとつだけ言うと、開発者のちょっとした日常の話とかも、もっと共有されるといいなって思う。(まずは自分から始めなきゃだけどね)

0

Chrome Built-In AI (EPP)で変更

Canary 136.0.7103.0* 以降、すべての組み込み API に新しいエントリ ポイントがあります。 self.ai.* ではなく、self.* で直接 API を見つけることができるようになりました。静的 create() メソッドを使用して、これらの API をインスタンス化します。

await LanguageModel.create();
await Summarizer.create(); 
await Writer.create();
await Rewriter.create();
await LanguageDetector.create();
await Translator.create();

同様に、静的 availability() メソッドが追加されました。

await LanguageModel.availability();
await Summarizer.availability();
await Writer.availability();
await Rewriter.availability();
await LanguageDetector.availability();
await Translator.availability();
0
0

최근에 충격받은 일 하나. 저는 음악을 유튭에 있는 플레이리스트로 많이 듣는 편인데요... 일본 시티팝 플레이리스트를 틀어놨는데 오 괜찮네~ 싶어서 잘 듣고 있는데 가사가 뭔가 이상한 것 같아서 댓글창을 보니 AI로 만들어낸 음악들이었음....실존하는 노래가 아니라... 어딘가에서 학습한 목소리를 흉내내어 말이 안되는 가사를 말하게 하는 노래를 AI로 만들어내서 그걸 플레이리스트로 제공하고 있는것임

0
0

"그런 백엔드 기술로 괜찮은가?"

  • 대상 : 다양한 기술과 도메인에서의 실무 문제 해결 사례를 통해 실질적인 인사이트를 얻고자 하는 개발자
  • 일시 : 2025.04.20(일) 13:00 ~ 17:00 KST
  • 장소 : 테크살롱 (서울 강남구 테헤란로 411, 성담빌딩 13층)
  • 기타 : 주차 지원이 어려우니 대중 교통 이용을 권장드립니다.

https://www.inflearn.com/course/offline/게으른게발자컨퍼런스-2025

0

Hackers' Pub 행동 강령을 관통하는 큰 키워드가, 존중배려라고 느꼈고, 그래서 더욱 Hackers' Pub 을 응원하고 있는데, 오랜 시간이 흘러도 추구하는 가치에 흔들림이 없으면 좋겠고, 여기에 더해 긍정적이고 밝은 에너지가 가득한 공간이 되기를 소망한다.

한가지만 더 첨언하자면, 개발자의 소소한 일상 얘기들도 많이 공유되었으면 좋겠다. (우선 나부터도 해야겠지만)

0

Hackers' Pub 행동 강령을 관통하는 큰 키워드가, 존중배려라고 느꼈고, 그래서 더욱 Hackers' Pub 을 응원하고 있는데, 오랜 시간이 흘러도 추구하는 가치에 흔들림이 없으면 좋겠고, 여기에 더해 긍정적이고 밝은 에너지가 가득한 공간이 되기를 소망한다.

한가지만 더 첨언하자면, 개발자의 소소한 일상 얘기들도 많이 공유되었으면 좋겠다. (우선 나부터도 해야겠지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