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file img

악하

@akastoot@hackers.pub · 112 following · 85 followers

설계 능력 없고 코딩 AI보다 못하고 뭔가 이상한 걸 만들고 있고 (, http://referral.akaiaoon.dev) 매일 커피나 마시는 이제 직장이 없는 SE

Github
@IAOON
Referral Project
referral.akaiaoon.dev

https://referral.akaiaoon.dev/

github referral 사이드 플젝을 드디어 외부공개했읍니다... 적당히 추천하시고, 본인이 받은 추천사는 https://referral.akaiaoon.dev/api/recommendations/:github_id 로 URL 링크를 거시면 대충 svg가 말려옵니다. 깃허브 프로필에도 마크다운으로 링크 가능합니다.

예: 말코링

아직 임시라 수정 요청 혹은 피드백은 환영합니다.

5
7
1
3
1
6
1

PgEdge가 오픈 소스로 전환됨
------------------------------
- 분산 PostgreSQL 전문 기업
pgEdge 가 핵심 컴포넌트를 기존의 소스 공개 방식에서 *오픈 소스 라이선스* 로 전환
- 기존에는 Spock, Snowflake, Lolor 같은 주요 엔진과 확장 기능이
pgEdge Community License 로 제공되어 사용에 제약이 있었음
- 이번에 모든 핵심 저장소를
PostgreSQL License 로 재…
------------------------------
https://news.hada.io/topic?id=23050&utm_source=googlechat&utm_medium=bot&utm_campaign=1834

0
9
1
6
0
0
0
0

Finally, embrace provisional trust. The wizard model means working with “good enough” more often, not because we're lowering standards, but because perfect verification is becoming impossible. The question isn't “Is this completely correct?” but “Is this useful enough for this purpose?”

https://www.oneusefulthing.org/p/on-working-with-wizards

마지막으로, 잠정적 신뢰를 받아들이세요. 마법사 모델은 ‘충분히 좋은’ 상태로 더 자주 작업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기준을 낮추기 때문이 아니라 완벽한 검증이 불가능해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핵심 질문은 “이것이 완전히 정확한가?”가 아니라 “이것이 이 목적에 충분히 유용한가?”입니다.

— 위 인용을 DeepL로 번역

전적으로 동의하고 애자일 관점에서도 좋은 방향이라고 생각하지만, 완벽주의적인 성향이 있는 사람으로서 무시하기 어려운 심리적 저항이 꽤 자주 발생하곤 한다. 에이전트를 위한 지침을 자세히 적는 것으로 최대한 타협할 수 있을 것 같은데 아직 맘에 쏙 드는 방법을 발견하지는 못함.

1
0
14
0
1

24년 된 게임큐브용 동물의 숲, 메모리 해킹으로 대화 시스템을 LLM으로 교체하다
------------------------------
- 고전 게임 *동물의 숲(GameCube, 2001)* 의 반복적인 대사를 실시간 *클라우드 기반 LLM 대화* 로 바꾸는 프로젝트
- 게임 코드를 수정하지 않고, *메모리 해킹과 공유 메모리(mailbox) 방식* 을 통해 외부 Python 스크립트와 AI를 연결
- 게임의 텍스트는 단순 문자열이 아닌 *특수 제어 코드 언어* 로 처리…
------------------------------
https://news.hada.io/topic?id=23016&utm_source=googlechat&utm_medium=bot&utm_campaign=1834

1

Postgres 커뮤니티에 이제 OrioleDB 특허가 자유롭게 공개됨
------------------------------
-
Supabase 가 OrioleDB 특허를 최종 인수 완료함
- *미국 특허 10,325,030* (Durable multiversion B+-tree)에 대한 비독점적 라이선스를 OrioleDB 모든 사용자에게 제공함
-
OrioleDB 는 Postgres의 기존 스토리지 엔진을 대체하는 *고성능 확장* 으로, 클라우드 환경에서의 성능과 확장성을 대폭 향상시킴
- 이…
------------------------------
https://news.hada.io/topic?id=23021&utm_source=googlechat&utm_medium=bot&utm_campaign=1834

0
0
4
0
2

오라일리 ActivityPub 책이 1회독 했을때는 '음, 이런게 있구나' 하고 넘겼던 것 같은데, 한달 뒤에 cosmoslide 한 사이클 돌게 하고 난 뒤에 읽으면 '아, 이게 이거구나' 할만한 포인트가 많을 것 같다.

1

지금 리눅스 진영에서 컨테이너/네임스페이스의 입지가 어떻게 될까요? 사실 요즘 서비스 배포할때는 죄다 컨테이너 쓰잖아요? 근데 또 컨테이너로 할수 있는 것중 상당수는 그냥 기존 권한 관리로도 가능하단 말이죠? 근데 컨테이너를 쓸땐 기존 권한 관리를 그냥 없는셈 치고 접근하게 되는데 이게 정말로 다들 동의하는 방식인지가 궁금합니다.

3
0

트잇타 사담계도 터지고, 뭔 별의별 되도않는 싸불이 너무 당연하다는듯이 일어나버리니까 이렇게 된 이상 연합우주로 트친들을 전부 데려와야겠다는 사명감이 생겼다(?)

0

ai 공룡들 중에서는 anthropic이 제일 마음에 든다. 안전하고 윤리적이고 설명 가능한 ai를 추구한다는 게 내 생각이랑 비슷해서 그런 듯

0
6
2

식탁보 3.0을 준비하면서, 이번에 매우 흥미로운 기능을 하나 추가하게 되었습니다. Claude Desktop에서 MCP 서버로 식탁보를 등록하면, 원하는 금융 기관이나 공공기관에 샌드박스로서 접속할 수 있게 연결시켜주는 기능입니다.

현재는 카탈로그에 있는 사이트를 찾아주어 들어가는 정도이지만, 좀 더 강화하여 주요 기관들의 거래 및 업무 처리 URL들을 데이터베이스화하거나 Claude의 자체 검색 기능으로 찾은 웹 사이트 주소를 바로 전달하는 것도 기술적으로 가능하게 구현해둔 상태입니다. (이 때 해당 웹 사이트에서 쓰는 플러그인 정보가 있다면 샌드박스 내에 매칭해서 자동 설치도 해줍니다.)

차근차근 준비해나가고 있으며, 이번 추석 연휴 기간 중에 마무리 짓는 것을 목표로 진행 중이니 많은 관심과 성원 부탁드립니다! 😉

https://www.youtube.com/watch?v=DAspuJFK9UI

5
0
0
5

요즘 오에카키 같은 2000년대 초반 인터넷 유물?같은 게 종종 머릿속에 떠오르는데 분명 내가 어릴 때여서 추억화된 것 때문인 걸 알고 있음에도 그 시절 인터넷 서브컬쳐들이 좀 그리울 때가 있다. 뭔가 그 특유의 투박한 디자인들이 자꾸 떠오름...

Hackers' Pub이랑 mastodon이랑 왔다갔다하면서 게시글 공유하고 수제 글 쓰고 하트 찍고 등등등 해보고 있는데 모든 행위 자체가 로그가 찍히는걸 관찰하면 정말 신기하면서도 놀라움..

이러한 행위 자체 하나하나가 굉장히 무거운 것일텐데 이걸 엔지니어링적으로 어떻게 다들 최적화시키는걸까하고 경외심이 든다..... 부트캠프에서 마케팅할때 그렇게 좋아하는 대규모 트래픽 경험? 그런거 모르겠고, 이렇게 조그마한 규모에서도 와다다다 쏟아지는 트래픽이랑 트래픽이 오가는 경로를 최적화하고 이걸 또 견고한 서비스로 이어갈 수 있게 하는게 찐 엔지니어링의 산물인 것 같음

0

교보 문고 사이트 들어가서 IT 신간 서적을 가끔 훑어보곤 하는데, 어느 때부터 커뮤니케이션 북스란 출판사 책들이 너무 많이 쏟아집니다. 앞표지도 계속 같은 걸로 쓰는게 약간은 성의 없어 보이기도 하고, 한동안 나오는 주제들 보면, 과연 성의 것 쓴 책들인가 선입견이 생기네요. 유행따라 쏟아지는 책들을 별로 안좋아하기도 하고요. 커뮤니케이션 북스 관계자분이 여기 계시다면, 그냥 첫인상 피드백입니다. 이왕이면 책도 멋있으면 좋지 않나요?

신간 IT 서적 알림봇이 주르륵 올렸길래 구시렁 해봤습니다.

1
0

사무실 한켠에서 들리는 소리.

A: (무게잡은 톤) 내가 경력있어서 한 마디 하겠는데

(뭐지? 생트집 현장인가?)

A: 의자 그리해대면 허리박살난다.

(누군지 몰라도 경력자 말 들어!)

0

最近(최근) 한창 開發中(개발중)인 Fedify 基盤(기반) ActivityPub 서비스 2():

完全(완전) 期待中(기대중)!!

6

CDN을 앞에 세우세요

대부분의 S3 호환 스토리지는 다운로드당 과금을 합니다. (횟수, 용량)
누가 이모지를 쫙 퍼간다던가, 테러를 목적으로 다운로드를 반복한다던가 하면 요금 폭탄이 나옵니다

앞에 CDN (Content Delivery Network)를 두세요
CDN이 대신 파일을 다운로드해놓고 그 파일을 대신 주므로 요금 폭탄이 발생할 염려를 크게 줄여줍니다
AWS CloudFront, Cloudflare 등이 있습니다

Cloudflare R2 는 CDN 업체에서 운영하는 S3 호환 스토리지라 다운로드당 요금을 매기지 않습니다. 잘 모른다면 R2를 쓰는 것도 방법입니다

0

오랜만에 그렌라간 극장판을 보는데 tva에서 보기힘들었던 장면들하고 전개도 좀 더 매끄럽게 바꿔서 오롯이 기합차이에만 집중할 수 있어서 좋다 가슴이 웅장해진다...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