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AI 시대가 열렸으면 내가 낯선 언어라도 린터, 컴파일러만 잘 되어 있으면 그걸로 피드백 줘서 PoC 하나 뚝딱할 수 있겠지? 싶어서 ReScript로 쇼기 만들어보고 있는데 아쉽게도 LLM 친구들이 ReScript를 잘 못한다
@hongminhee@hackers.pub · 353 following · 242 followers
Hi, I'm who's behind Fedify, Hollo, BotKit, and this website, Hackers' Pub!
Fedify, Hollo, BotKit, 그리고 보고 계신 이 사이트 Hackers' Pub을 만들고 있습니다.
대-AI 시대가 열렸으면 내가 낯선 언어라도 린터, 컴파일러만 잘 되어 있으면 그걸로 피드백 줘서 PoC 하나 뚝딱할 수 있겠지? 싶어서 ReScript로 쇼기 만들어보고 있는데 아쉽게도 LLM 친구들이 ReScript를 잘 못한다
Getting back to #Fedify development today! Working on optimizing the outgoing activity queue to improve response times. Currently focusing on reducing latency when sending posts to large follower counts—should make the whole publishing experience feel much snappier.
We're considering adding custom background task support to #Fedify 1.5.0.
Want to use Fedify's worker system for your own background tasks? We're exploring ways to let you register and process custom tasks alongside #ActivityPub jobs.
Check out the proposal: https://github.com/fedify-dev/fedify/issues/206.
Key considerations:
We'd love to hear your thoughts! Do you need this feature? How would you use it? Share your feedback in the issue thread.
We've been working on adding custom background task support to #Fedify as planned for version 1.5.0. After diving deeper into implementation, we've realized this is a more substantial undertaking than initially anticipated.
The feature would require significant API changes that would be too disruptive for a minor version update. Therefore, we've decided to postpone this feature to Fedify 2.0.0.
This allows us to:
We believe this decision will result in a more stable and well-designed feature that better serves your needs. However, some smaller improvements from our work that don't require API changes will still be included in Fedify 1.5.0 or subsequent minor updates.
We appreciate your understanding and continued support.
If you have specific use cases or requirements for background task support, please share them in our GitHub issue. Your input will help shape this feature for 2.0.0.
오, HackersPub 기여할만한거 방금 떠오름
Patch releases for #Fedify versions 1.0.21, 1.1.18, 1.2.18, 1.3.14, and 1.4.7 are now available. These updates address two important bugs across all supported release lines:
acct:
URIs with port numbers in the host. Thanks to base-url
parameter of followers collections.We recommend all users upgrade to these latest patch versions for improved stability and federation compatibility.
sed -i '' -e 's/old_word/new_word/g' *
이름에 들어간 커스텀 絵文字 렌더링 具顯하는 거 정말 짜쳐요.
아직 招待制이긴 하지만 Hackers' Pub도 velog의 代案입니다! 게다가 ActivityPub도 支援하기 때문에 Mastodon이나 Misskey 等 다른 聯合宇宙(fediverse)와도 아무 問題 없이 相互 疏通 可能하답니다.
洪 民憙 (Hong Minhee) shared the below article:
Lee Dogeon @moreal@hackers.pub
아래와 같은 Hackers' Pub 글을 보았습니다:
이제 프로필의 링크에 인증 여부가 보이게 됩니다. 링크를 인증하기 위해서는, 링크된 페이지 측에서도 Hackers' Pub 프로필을 rel="me" 속성과 함께 링크해야 합니다. Mastodon이나 GitHub 같은 경우 프로필에 링크를 추가하면 rel="me" 속성이 추가되게 되어 있으니, Mastodon이나 GitHub 프로필 링크를 추가하면 인증은 자동으로 될 겁니다. 개인 웹사이트가 있으신 분들은 Hackers' Pub 프로필을 rel="me" 속성과 함께 링크하면 인증이 됩니다.
참고로 인증은 프로필 설정을 저장할 때 이뤄집니다. 이미 Mastodon이나 GitHub 프로필을 링크해 두신 분들은 인증 표시가 안 뜰 수도 있는데, 그럼 프로필 설정에 들어가셔서 저장 버튼을 한 번 눌러주시면 인증 버튼이 붙을 겁니다.
from https://hackers.pub/@hongminhee/0195ad00-50db-7bb1-b0a0-edaf9ce73515
그래서 Hackers' Pub 설정으로 들어가서 GitHub 링크를 추가하고 저장버튼을 눌러봤지만 체크 표시가 나타나지 않았습니다. rel="me"
가 뭔지 잘 몰라서 https://github.com/moreal?rel=me
같이 추가해봤는데 이것도 아니라서 (아닐 것 같았지만) 찾아본 내용을 가볍게 메모로 남깁니다.
rel="me"
를 검색하니 MDN 문서가 반겨주었습니다. HTML <link rel="stylesheet" ...
할 때 rel
속성이었습니다. <link rel="me"
혹은 <a rel="me"
같은 느낌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 같았습니다.
https://developer.mozilla.org/en-US/docs/Web/HTML/Attributes/rel/me
GitHub 프로필 설정에서 https://hackers.pub/@moreal
소셜 링크를 추가하면 아래처럼 링크 a
요소에 rel="me"
속성을 추가하여 줍니다.
<a rel="nofollow me" class="Link--primary wb-break-all" href="https://hackers.pub/@moreal">https://hackers.pub/@moreal</a>
이 값을 활용하여 인증 마크를 표시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Hackers' Pub 링크 인증 소스코드)
GitHub 등에서 https://hackers.pub/@<id>
를 연관 링크로 추가하고 Hackers' Pub 프로필 설정에서 다시 저장 버튼을 누르면 체크 표시가 나타납니다!
함께 rel
속성에 달려있는 nofollow
같은 값은 검색엔진에게 주는 힌트처럼 보입니다. 해당 링크와 연관이 있음을 보장하지 않음, 같은 의미 같습니다. 일단 지금 하려던것과 무관하니 더 찾아보지는 않았습니다.
https://developer.mozilla.org/en-US/docs/Web/HTML/Attributes/rel#nofollow
그리고 Hackers' Pub이 오픈소스라서 실제로 어떻게 인증마크를 표시하는지 확인할 수도 있었습니다!
마스토돈이 다른 계정의 팔로잉/팔로워를 잘 보여주는 것도 아니고, 그렇다고 팔로우할만한 계정을 잘 추천해주는 것도 아니라서 꽤 발품을 팔아아 했다. 그래서 '읽기는 트위터에서, 쓰기는 마스토돈에서' 해왔는데, 요즘엔 hackers.pub 덕분에 피드에 읽을거리가 많이 늘어났다.
activitypub.ghost.orgもそうだけど、Ghostの`preferredUsername`は`index`で固定なのかね
というかpublic betaになってもActivity Streamsオブジェクトの`id`に`preferredUsername`を含めるスタイルなのか……
洪 民憙 (Hong Minhee) shared the below article:
Building ActivityPub @index@activitypub.ghost.org
Today we're opening a public beta for our social web integration in Ghost. For the first time, any site on Ghost(Pro) can now try out ActivityPub.
For those of you who have been subscribed to this newsletter for the past year or so, thanks for your patience! It hasn't been easy to get this far, but we're excited to hear what you think as you become one of our very first explorers to launch into the Fediverse.
To help you get started, we've put together a detailed guide explaining how this new feature works, and what you can expect from using it in its current state.
Take a quick read through everything here, as an introduction:
Once you're ready to take ActivityPub for a test drive yourself, open Ghost Admin and head over to Settings → Labs and enable the beta.
We're looking forward to chatting with you!
For personal reasons, I no longer feel safe working on Linux GPU drivers or the Linux graphics ecosystem. I've paused work on Apple GPU drivers indefinitely.
I can't share any more information at this time, so please don't ask for more details. Thank you.
JS로 짜여진, join이 되는 reactive한 로컬 DB가 필요한데요. RxDB, SignalDB는 join이 안 돼서 탈락입니다. join을 안하면 되지 않냐 할수 있는데 어떤 특이한 로직 때문에 꼭 필요합니다. 지금은 직접 sqlite 호출하는 누더기 코드로 돌아가고 있는데요.
그 코드를 리팩토링해서 제대로 된걸 만들까 말까 고민중인데, 사실 잘만들어진게 있으면 그걸 쓰고 싶습니다. 제 요구사항을 만족하는 라이브러리가 있을까요?
洪 民憙 (Hong Minhee) shared the below article:
Juntai Park @arkjun@hackers.pub
長い間、メインの開発環境としてMacを使っていましたが、Windowsを再びメインで使い始めて1年が経ちました。
いくつかのデメリットはあるものの、Windows 11+WSL(Ubuntu)環境での開発も悪くありません。もちろん、CMDキーがないことや、Ctrlキーを使ったコピー&ペーストが不便な点は否めません。
しかし、MacにはないWindowsのメリットが気に入っており、逆にWindowsにはないMacのメリットも魅力的です。
またいつかMacを再びメインにして、Windowsをサブにする日も来るでしょう。メイン環境は状況によって柔軟に変えていけるものと考えています[1]。
前置きが長くなりましたが、僕がMacでよく使うショートカットキー、CMD + `(バッククオート) は、同じアプリ内のウィンドウを切り替える機能を持っています。例えばChromeブラウザを2つ開いている場合、このショートカットを押すとChromeのウィンドウ間を切り替えられます。 Macで一番よく使っていたショートカットで、Windowsでも似たような機能をするショートカットを一生懸命検索しましたが見つかりませんでした。
そこで、AutoHotkey[2] を使って簡単なスクリプトを作成して使用しています。
完璧に動作するわけではなく、個人的には「そこそこ満足できる」レベルの動作ですが、
このAutoHotkeyのスクリプトコードを共有します。
; Alt + `キーを押したときに実行されるコード
; MacOSのCMD + `(バッククオート)キーと同じ機能(同一アプリ内のウィンドウ切り替え)をWindowsで実現
!`::
{
focusedWindow := WinExist("A")
if !focusedWindow
return
focusedPID := WinGetPID(focusedWindow)
focusedPName := WinGetProcessName(focusedWindow)
focusedClass := WinGetClass(focusedWindow)
focusedTitle := WinGetTitle(focusedWindow)
; Get all windows of the same class and process
windows := []
for window in WinGetList()
{
if (WinGetPID(window) = focusedPID && WinGetTitle(window) != focusedTitle)
{
windows.Push(window)
}
}
if (windows.Length > 1)
{
WinActivate(windows[2])
} else if (windows.Length = 1) {
WinActivate(windows[1])
}
}
実行方法は上記のコードを任意のahk拡張子のファイルとして保存し、AutoHotkeyで実行するだけです。また、AutoHotkeyを使えばこのスクリプトを実行ファイル(exe)としてコンパイルすることもできます。
追記)以前、GitHub Gistにも共有しています。
お読みいただきありがとうございました。
実は、最近1年間は主にWindowsを使用していましたが、その間に時々Macをメインで使うこともありました。 ↩︎
AutoHotkey(オートホットキー): 独自のプログラミング言語(マクロ言語)を用いてコンピュータを制御することができる。「AutoHotkey」という名称から想像できるように、当初はキーボードのホットキー(ショートカットキー)をカスタマイズすることを目的として開発されたが、ユーザーの要望を取り入れる形で開発が進むにつれスクリプト言語と分類されるほどに膨大な機能が実装され、コミュニティも大きなものとなっている。出典: ウィキペディア (https://ja.wikipedia.org/wiki/AutoHotkey) ↩︎
洪 民憙 (Hong Minhee) shared the below article:
daisuke @dai@hackers.pub
分散されながらも(いわゆるFediverseのフィードを)一元化するビューが欲しかった(矛盾してるかな?)。
とにかくタイムラインのタブはこのように4つ。指定した言語以外のポストは薄く表示される(私は en-US
, zh-CN
, ja-JP
, ko-KR
にしてます)。
私が欲しかった切り替え可能な4タブ構成のビューアーです。
GhostのFediverse Betaアカウントはリクエスト制なのかな?
@index@activitypub.ghost.org
洪 民憙 (Hong Minhee) shared the below article:
daisuke @dai@hackers.pub
アメリカ東部時刻の19:39-22:39までの3時間しかオープンしないSNS。あと日本時間30分ちょいでクローズ。この制限で改めて気づくことがいくつもあるよ。
https://www.seven39.com/profile/dai
이番에 @lqezHyunwoo Park 님의 《우리의 코드를 찾아서》에 出演하여 #페디버스, #ActivityPub, #Fedify, #Hollo 等에 關해 이야기를 나눴습니다. Fedify와 Hollo의 開發 祕話 같은 게 궁금하시다면 한 番 보셔도 재밌을지도 모르겠습니다. ㅎㅎㅎ
今回、@lqezHyunwoo Park さんの『我々のコードを求めて』というYouTubeに出演させていただき、#フェディバース、#ActivityPub、#Fedify、#Hollo 等についてお話させていただきました。日本語字幕が用意されていますので、FedifyやHolloの開発秘話などが気になる方はぜひご覧ください!
为软件开发者提供的基于 ActivityPub 的社交网络 Hackers' Pub 现已新增中文支持。但请注意,Hackers' Pub 目前仍处于封闭测试阶段,需要我的邀请才能使用。如果您是中文用户,并且有兴趣尝试 Hackers' Pub,请通过私信向我发送您的电子邮件地址。我会将您的电子邮件地址添加到允许列表,并通知您。
https://hackers.pub/@hongminhee/0195aa14-4653-7553-b605-97c19021c6eb
Emacs + org 하나씩 자동화해서 쓰는 맛이 있네
요즘 새로운 거 배우면 SPC n r n <주제 이름> ENT n
해서 노트 만들고, 글이나 책 읽을 거 있으면 Zotero에 넣어두었다가 M-x cite ENT <글 제목> ENT
해서 읽으면서 기록하면 훨씬 알차게 읽는 듯
오 뭐 안 했는데 자동으로 이런게 되네요
영어권 웹을 보다보면 autism이 한국어에서의 '자폐'보다 부정적인 늬앙스가 훨씬 덜하단 느낌을 받는다. STEM 너드들이 본인이 autistic하다고 하는 경우를 종종 보는데, 자조적인 느낌이 좀 있지만 완전 딥다크한거 같진않고, 이분법적이기보단 스펙트럼으로 보는거 같다.
Temporalが正式リリースになってもしばらくはDateが生き残るんじゃないかと思ってる
Announcing the LLVM backend for MoonBit, hitting 8x faster performance than Java in FFT benchmarks and enabling out-of-the-box debugging!🐰✨ #MoonBit #LLVM
https://www.moonbitlang.com/blog/llvm-backend
”Code is not the most valuable artifact. Your understanding of the codebase is.” https://www.seangoedecke.com/vibe-coding/
이番에 @lqezHyunwoo Park 님의 《우리의 코드를 찾아서》에 出演하여 #페디버스, #ActivityPub, #Fedify, #Hollo 等에 關해 이야기를 나눴습니다. Fedify와 Hollo의 開發 祕話 같은 게 궁금하시다면 한 番 보셔도 재밌을지도 모르겠습니다. ㅎㅎㅎ
https://snix.dev/ 저는 Rust를 못해서 기여를 못하지만 유망한 프로젝트라고 생각합니다. Rust 고수분들이 관심가져주시면 좋겠네요.
웨이터, Vitest. 온 더 락으로.
@arkjunJuntai Park AutoHotKey 스크립트는 자체 언어인가 보네요? 처음 보는 문법!
@hongminhee洪 民憙 (Hong Minhee) 단축키나 매크로를 주 용도로 하다 보니, 아무래도 그쪽에 최적화되어 있네요. 😅
맥에서 가장 비슷한 앱은 HammerSpoon 정도이지 싶습니다.
洪 民憙 (Hong Minhee) shared the below article:
Juntai Park @arkjun@hackers.pub
맥을 오랫동안 메인 개발머신으로 사용하다가 윈도를 다시 메인으로 사용한 지 1년째.
여러가지 단점에도 불구하고, 윈도11 + WSL (우분투) 환경에서의 개발이 나쁘지만은 않습니다. 물론 CMD 키도 없고, Ctrl 키를 이용한 복사 붙여넣기는 불편합니다만.
그럼에도 맥에 없는 윈도의 장점들이 맘에 들고, 윈도에 없는 맥의 장점들 또한 맘에 듭니다.
물론, 언젠가 또 맥을 다시 메인으로, 윈도를 서브로 쓰는 날도 오겠지요. 메인은 때로 상황에 따라 교체할 수 있음을 유연하게 생각해 두는 편입니다.[1]
사설이 길었는데, 제가 맥에서 자주 쓰는 단축키인 CMD + `(억음 악센트/백틱) 키 는, 사용 중인 앱의 전환을 시켜주는데, 가령 크롬 브라우저 창을 두 개 열었다면 단축키 사용시에 크롬 브라우저 창 간 전환을 시켜 줍니다.
맥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단축키여서, 윈도에서 비슷한 역할을 하는 단축키를 열심히 구글링하여 찾아 보았으나 찾을 수 없었습니다.
그래서 AutoHotkey[2] 를 이용해 간단한 스크립트를 만들어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사실 완벽하게 동작하지는 않고, 개인적으로 쓰기에 적당히 만족하는 수준에서만 동작하는 코드라, 공유하기에 부끄럽기도 하고 코드도 초 간단합니다만,
해당 AutoHotKey 스크립트 코드를 공유합니다.
; Alt + 백틱 키를 눌렀을 때 실행되는 코드
; MacOS 의 CMD + ` (Backtick) 키로 동일 프로그램내 창전환을 윈도에서 구현.
!`::
{
focusedWindow := WinExist("A")
if !focusedWindow
return
focusedPID := WinGetPID(focusedWindow)
focusedPName := WinGetProcessName(focusedWindow)
focusedClass := WinGetClass(focusedWindow)
focusedTitle := WinGetTitle(focusedWindow)
; Get all windows of the same class and process
windows := []
for window in WinGetList()
{
if (WinGetPID(window) = focusedPID && WinGetTitle(window) != focusedTitle)
{
windows.Push(window)
}
}
if (windows.Length > 1)
{
WinActivate(windows[2])
} else if (windows.Length = 1) {
WinActivate(windows[1])
}
}
실행 방법은 위의 코드를 임의의 ahk 확장자를 가진 파일로 작성하여 AutoHotKey 로 실행시키면 끝입니다. AutoHotkey 를 통해 해당 스크립트를 실행파일 (exe) 로 컴파일 할 수도 있습니다.
덧) 과거에 이미 GitHub Gist 쪽에 공유해 놓기는 했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사실 최근 윈도를 메인으로 쓰는 1년 동안, 중간에 간간히 맥을 메인으로 쓰기도 했습니다. ↩︎
오토핫키(AutoHotkey)는 윈도우에서 키보드 단축키 설정, 간단한 매크로 제작, 자동화 등을 목적으로 하는 무료 오픈 소스 기반의 스크립트 언어이다. 간단한 프로그램 제작에 특화된 직관적인 문법을 갖추고 있으며 마우스와 키보드 제어, 화면에서 이미지 검색, 윈도우 창 조작, 간단한 GUI 제작 등 언어의 목적에 맞는 기능이 내장되어 있다. 출처 : 나무위키 (https://namu.wiki/w/AutoHotkey) ↩︎
바둑에 '묘수 3번두면 바둑은 진다'라는 말이 있는데, 프로그래밍에 비슷한 말이 있을까요
🚀 Deno v2.2.4 is released:
- Built-in OpenTelemetry support for span context propagators (tracecontext, baggage)
- Built-in OTel tracing for node:http.request
- LSP now starts the TypeScript server lazily
other improvements in the release notes:
https://github.com/denoland/deno/releases/tag/v2.2.4
Nix를 보며 알수있는건, 사람들이 메타프로그래밍을 하기 좋은 언어로 메타프로그래밍을 하는게 아니라, 런타임이 좋은 언어로 메타프로그래밍을 한다는 것이다.
Nix의 런타임이 좋다는건 일반적인 의미에서(성능이 빠르다거나) 좋다기보다는 '재현가능한 캐싱되는 빌드'라는 런타임이 아주 많은 동작을 커버하는데 Nix가 그걸 구현했다는 얘기다. 그러니까 사람들은 큰 프로그램을 쌓아올릴 대들보가 될만한 런타임이 있으면 거기서 부터 메타프로그래밍을 시작해버린다. Nix가 언어는 구리고(애초에 엄청 잘만들려고 한거같지도 않음) 메타프로그래밍을 잘하기위한 어떠한 장치도 없음에도 가장 아래에 위치할수있어서 그 역할이 맡겨져버린다.
그래서 유용한 런타임과 오브젝트 언어(또는 DSL)을 표현할 문법에 대한 좋은 아이디어가 있으면, 좀더 나은 메타프로그래밍을 하기위한 언어를 만들수 있을거라고 생각한다.
Wake up babe, @GIMP 3.0 was just tagged 👀
• https://gitlab.gnome.org/GNOME/gimp/-/tree/GIMP_3_0_0?ref_type=tags
• https://gitlab.gnome.org/GNOME/gimp/-/commit/9785099e5a0dcdc3011dd26c6c2e9b332d36c035
You can get GIMP 3.0 on Flathub: https://flathub.org/apps/org.gimp.GIMP
@hongminhee洪 民憙 (Hong Minhee) 해커스펍 이름은 어떻게 지으셨나요? 저 나름대로 떠오른 이미지를 ChatGPT에게 만들어 달라고 부탁해보았습니다.
@hongminhee洪 民憙 (Hong Minhee)
@curry박준규 이렇게 또 해커스펍의 특장점이 노출⋯
Govs ❤️ Open Source. Docs is the result of a joint effort lead by the French 🇫🇷🥖(DINUM) and German 🇩🇪🥨 governments (ZenDiS).
와 멋진데
this is not a joke. behold the power of mastofuse, a file system mastodon client: https://gist.github.com/halcy/b4f455ef05c4c36906107e9367b8dd63
Features:
* Look at your timelines, any attributes of posts and whatnot! creation dates are set correctly, even, probably, sometimes!
* Post by putting text into /posts/new! whatever you put there is posted on file close!
* Reblog a post by copying it to /posts/reblogged (probably breaks a lot)
* Look at media attachments! they're automatically downloaded if you try to open the file!
posting from the file system lol
this is not a joke. behold the power of mastofuse, a file system mastodon client: https://gist.github.com/halcy/b4f455ef05c4c36906107e9367b8dd63
posting from the file system lol
난 지금도 왠만한 문서 작업도 emacs로 하지만, 남에게 이걸 권할 거냐, 하면... 흠.
근데 한번쯤은 써 보는 경험은 좋다고 생각함. 자동화와 프로그래밍의 기본 개념을 잡기에 좋은 에디터니까.
@b0rkJulia Evans so many vim users say they wouldn’t recommend it! I also wouldn’t recommend it to *start* but I might later on. so I’m curious why you wouldn’t recommend it to people now
@nicoleNicole T. 🏳️⚧️🏳️🌈☕🐈 hmm I think it's because I feel like there's this kind of "real hackers use vim" culture and I just find it kind of gross. Like if someone is happy with VSCode and nano that's fine?
it’s fascinating how vim is the program people love to use and hate to recommend
vim is one of those programs I love but would never suggest that anyone use it
but every so often I wonder -- who might want to switch to using vim in 2025? my sense is that vim (and especially neovim) actually are still acquiring lots of new users but I don't have a good sense for what "kind" of person is choosing to start using them today
(as usual not looking for reasons people started using vim 20 or 30 years ago)
해커스펍의 콘텐츠를 해커스펍이 아닌 다른 서버 계정으로 그곳에서 부스트 하면 더 많은 연합우주 사용자에게 해커스펍 콘텐츠를 알릴 수 있지 않을까?
사실 알고보니 이것도, 저것도 모나드였다... 하는 예시는 많은데 Category
의 예시는 뭐가 있을까? 그럼 설명이 훨씬 편해질텐데 말이다.
좀 인위적이지만 쉬운 예시를 하나 만들어보자면, 어떤 함수의 실행에 비용을 부여하는 것이다.
data Costful a b = Costful (a -> IO b) Int
f :: Costful Int String
g :: Costful String Bool
요런 정의를 생각해볼때
f . g
는 f
와 g
의 동작은 합성하고, 비용은 +
한 것이 될것이다.
instance Category where
Costful f c1 . Costful g c2 = Costful (f . g) (c1 + c2)
요렇게 말이다.
이때 f . g
의 비용은 함수를 실행하기 전에도 알수있다.
반면 그냥 f
, g
를 모나딕한 함수로 정의하고 f >=> g
이런식으로 합성했을땐, 함수를 실제로 실행하기 전에는 비용을 알수 없다. >=>
또는 >>=
의 정의를 생각해보면 쉽게 알수 있다.
Category
인스턴스는 정적인 정보를 추가로 가지고 있는 함수, 또는 함수보다 표현력이 약한데 비스무리한거(그래서 정적인 정보가 더많은) 것을 다룰때 유용하다.
We have been public about not using Go as the bootstrap language. We started with a compiler in C for a number of reasons, mostly for ease of bootstrapping but also to avoid making a compiler-optimized language instead of a general purpose one. Once the language was designed, we ported the code to Go for ease of maintenance and development.
Well here is a variant of that pattern: the TypeScript compiler is also being ported to Go: https://www.youtube.com/watch?v=pNlq-EVld70
The video is worth watching for the reasons why. Turns out a general purpose language is indeed a good compiler language.
Aider, You're so me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