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누구???? >> Zed랑 Neovim이랑 같이 쓰는 사람 <<
지금 프로젝트를 개발하고 있는 환경에서는 Zed 쓰는게 궁합이 더 잘 맞기도 한데, Git 관련 유틸리티는 Neovim 쪽이 잘해줘서 여전히 애착이 가고 있다. Zed는 화면을 자유롭게 분할해서 한쪽 버퍼를 아예 터미널로 활용할 수 있는 것도 아니라서, Claude Code 띄우거나 등등등의 목적으로 터미널 옆에 띄워놓는건 불가피한 듯.
@hongminhee@hackers.pub · 906 following · 629 followers
Hi, I'm who's behind Fedify, Hollo, BotKit, and this website, Hackers' Pub! My main account is at @hongminhee洪 民憙 (Hong Minhee).
Fedify, Hollo, BotKit, 그리고 보고 계신 이 사이트 Hackers' Pub을 만들고 있습니다. 제 메인 계정은: @hongminhee洪 民憙 (Hong Minhee).
Fedify、Hollo、BotKit、そしてこのサイト、Hackers' Pubを作っています。私のメインアカウントは「@hongminhee洪 民憙 (Hong Minhee)」に。
내가 누구???? >> Zed랑 Neovim이랑 같이 쓰는 사람 <<
지금 프로젝트를 개발하고 있는 환경에서는 Zed 쓰는게 궁합이 더 잘 맞기도 한데, Git 관련 유틸리티는 Neovim 쪽이 잘해줘서 여전히 애착이 가고 있다. Zed는 화면을 자유롭게 분할해서 한쪽 버퍼를 아예 터미널로 활용할 수 있는 것도 아니라서, Claude Code 띄우거나 등등등의 목적으로 터미널 옆에 띄워놓는건 불가피한 듯.
백엔드는 수제로 짜고, 프론트엔드는 바이브코딩(AI한테만 맡기는 진짜 바이브코딩임)으로 작업하고 있는데, 백엔드를 이렇게 만드니까 돌아가긴 하는구나 가설검증하기에는 괜찮은 듯. 코드 퀄리티? 그건 셀프호스팅 첫트해보고 나서 생각해봐야지 ㅋㅋ!!!!
Vim에 관심있는, 혹은 Vim을 사랑하는 여러분, 안녕하세요.
한국어권 Vim 사용자 모임 vim.kr입니다. 오늘은 vim.kr에서 공식적으로 주최하는 모임 소식을 전해드리려 합니다.
혹시 *빔교정학원 모임(vimrc)*을 들어보신 적 있으신가요? vimrc 밋업은 2019년과 2022년에 3년 간격으로 개최된 바 있는데, 2025년부터는 저희 vim.kr이 그 바통을 이어받아 공식적으로 진행하게 되었습니다.
지난 7월 2일, 기존 vimrc 밋업을 주최하셨던 박현우(lqez)님께 연락을 드렸고, 이어 7월 6일 첫 회의를 통해 vim.kr에서 본 행사를 이어가기로 확정하였습니다.
이번 vimrc 밋업은 이전과는 조금 다른 방식으로 준비되고 있습니다. 특정 연사자가 발표하는 자리가 아니라, 모든 참가자가 동등한 입장에서 자신이 Vim을 어떻게 활용하는지 경험과 노하우를 공유하는 자리를 지향합니다. 즉, 발표 중심의 형식보다 네트워킹과 상호 교류에 초점을 맞춘 밋업입니다.
행사 규모는 약 36명으로 계획 중이며, 일정은 11월 둘째 주에서 셋째 주 사이로 조율하고 있습니다. 현재 대관 장소도 검토 중이니, 혹시 행사 장소 후원에 관심 있는 분이 계시다면 연락 부탁드립니다.
행사 관련 최신 소식은 vim.kr 디스코드를 통해 안내드릴 예정입니다.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oeee.cafe에 새로운 커뮤니티를 열었습니다.
Deno로 만든 서버에서 SSRF 공격을 어떻게 막을 수 있을까 고민하다가, Deno에 --allow-net
과 함께 쓸 수 있는 --deny-net
옵션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대충 아래와 같이 쓰면 SSRF 공격을 기본적인 수준에서는 막을 수 있을 듯하다.
deno run \
--allow-net \
--deny-net=127.0.0.0/8,10.0.0.0/8,172.16.0.0/12,192.168.0.0/16,169.254.0.0/16,0.0.0.0/8,224.0.0.0/4,240.0.0.0/4,255.255.255.255,localhost,[::1],[::],[::ffff:0:0]/96,[fe80::]/10,[fc00::]/7 \
script.ts
@hongminhee洪 民憙 (Hong Minhee) Seonbi는 어디 있죠!ㅎㅎ
@curry박준규 앗… 그러네요. ㅋㅋㅋ 대충 이렇게 될 것 같습니다.
내가 만든 프로젝트끼리의 의존 관계 그래프를 그려봤다. 자급자족하는 개발…
@hongminhee洪 民憙 (Hong Minhee) Seonbi는 어디 있죠!ㅎㅎ
Cutter에 배열 시스템을 도입했다. 사실 Map에 더 가깝지만...
@hongminhee洪 民憙 (Hong Minhee) 저도 그렇게 하고 keepingyouawake까지 깔아서 해봤는데 이상하게 자고 일어나서 맥 미니 살펴보면 슬립 모드가 되어 있더라구요... 뭔 문제인지 모르겠어요 이럴땐 그냥 밀어버리는게 답일 거 같긴 한데..
@akastoot악하 헛… 그렇군요… 왜 그럴까요… 🤔
자꾸 집의 맥 미니가 슬립 모드로 들어가는 이상현상... 그냥 밀어버릴까
@akastoot악하 저는 전원 설정에서 잠들지 않게 설정했더니 계속 켜져 있던데…
친구가 추천해줘서 데싸+위상 블로그 읽고 있는데 범주론 나옴 범주론아시는구나겁.나.모.나.딕.합.니.다.
https://velog.io/@shlee0125/TDA의-기초-03.-2-Persistent-homology
Hong Minhee Universe
어제 오늘 내가 쓰려고 apache/iggy 헬름차트의 자잘한 이슈들을 고쳤다! https://github.com/apache/iggy/pull/2126 https://github.com/apache/iggy/pull/2128
개인적으로 아치 리눅스는 커널 버그 몇 번 맞고서 안 쓰는데, 인기 있는 거 보면 재미있음. 설치, 운용이 재미있긴 한데. ㅎㅎㅎ;
만약 페디버스가 지금보다 훨씬 활성화되어서, 사람들이 커스터마이징된 개성있는 인스턴스를 갖게 되면, 그게 UX의 측면에서 정말로 좋을까요? 가령, 트위터를 하는데 사용자마다 UI가 다르다고 상상해보세요.
사실 저는 크게 부정적이진 않는데(좋은 쪽으로 개성있을수도 있으니까), 그런 상황이 머릿속에서 아주 잘 시뮬레이션 되지 않네요. 어떨거 같나요?
@bglbgl gwyng 좋냐 아니냐 이전에 현실적으로 그 정도로 분화될 것 같지 않기는 해요… ㅋㅋㅋ
만약 페디버스가 지금보다 훨씬 활성화되어서, 사람들이 커스터마이징된 개성있는 인스턴스를 갖게 되면, 그게 UX의 측면에서 정말로 좋을까요? 가령, 트위터를 하는데 사용자마다 UI가 다르다고 상상해보세요.
사실 저는 크게 부정적이진 않는데(좋은 쪽으로 개성있을수도 있으니까), 그런 상황이 머릿속에서 아주 잘 시뮬레이션 되지 않네요. 어떨거 같나요?
옳게 된 오픈소스 생태계
요즘은 pothos-drizzle 쓸만한가...? 라는 내용을 해커스펍에 썼더니 갑자기 500으로 맞았다 이건 쓰지 말란 뜻일까...?
요즘은 pothos-drizzle 쓸만한가...? 라는 내용을 해커스펍에 썼더니 갑자기 500으로 맞았다 이건 쓰지 말란 뜻일까...?
@robin 500 오류 난 서버는 GraphQL 없이 Fresh로 만들었습니다… 😂
킵올빌런님... 잊지 않겠습니다..
LLM이 말아주는 코드는 이것저것 고민하면서 수제로 코딩하는 노가다를 줄여주는 역할을 하지만, 인터페이스 짜는 것 정도는 사람이 해줘야 하는듯. 인터페이스만 잘 만들어놓고 그거 가지고 알아서 조립하라하니까 그럴싸하게 조립은 잘해줌
@kodingwarriorJaeyeol Lee 저도 그렇게 하는 것 같아요.
LLM이 말아주는 코드는 이것저것 고민하면서 수제로 코딩하는 노가다를 줄여주는 역할을 하지만, 인터페이스 짜는 것 정도는 사람이 해줘야 하는듯. 인터페이스만 잘 만들어놓고 그거 가지고 알아서 조립하라하니까 그럴싸하게 조립은 잘해줌
@hongminhee洪 民憙 (Hong Minhee) 발표 하시고 마지막에 트위터 킵올빌런 계정 바로 비활성화(삭제)까지 하셨어요
킵올빌런 은퇴식 퍼포먼스 대박이다
킵올빌런 은퇴식 퍼포먼스 대박이다
요즘에는 그런 요구는 잘 없는 것 같았는데, 예전에는 의외로 디자이너가 저런 요구를 하는 경우가 더러 있었습니다. 아이디가 표시되는 화면의 너비에 한계를 정해두기 위해서요.
NestJS로 포폴쌓으려고 했는데, NestJS 특유의 이상한 동작때문에 억까당함
민희님 덕분에 한 사이클 돌게는 했다......... 내가 만들어놓은 구현도 이상했던거임...
FEConf 갈걸ㅠㅠㅠㅠ
# Ask Hackers Pub : 이번 주말에 뭐 하시나요?
이번 주말에 뭘 하려고 계획 중인지 편하게 얘기해 보아요.
읽을 책, 가볼 곳, 해볼 것.. 어떤 것이든 좋습니다.
도움 요청이나 피드백 요청도 좋습니다.
물론! 아무것도 하지 않고 쉬는 것도 훌륭합니다.
* 지난 주말에 계획하셨던 일의 회고도 한 번 남겨보면 좋을 것 같아요.
@botHackersPub Ask Bot conal 리팩토링하고 문서만들기!!!
NestJS로 포폴쌓으려고 했는데, NestJS 특유의 이상한 동작때문에 억까당함
내가 만든 프로젝트끼리의 의존 관계 그래프를 그려봤다. 자급자족하는 개발…
새로 세팅된 TF가 두 달동안 UT 252개 & coverage 90%. agent 사용은 자유로우나 full agent code를 하진 않음. 그래도 코어 아키텍처가 안깨질것이란 믿음이 있고 전반적인 플젝 이해도와 제어권이 관리 가능한 선이 유지되고 있다는 팀 컨센서스가 있어서인지 iteration 회고 때 만족도가 높다.
그리고 제어 가능한 선에서 사람들이 딱히 시키지 않아도 특정 파트에 대해 full agent coding 을 할 용기(?) 를 내며 알아서 실험들 시도. 팀에서의 core practice 를 unit test 와 review (10-4시 집중근무 시간 뒤 1시간이 매일 팀 리뷰 시간) 를 정착시킨게 긍정적인 결과가 이끌어진듯.
오늘 할 것
Show GN: Optique: TypeScript를 위한 타입 안전한 CLI 파서
------------------------------
안녕하세요! TypeScript로 CLI 도구를 자주 만들다 보니 기존 라이브러리들의 한계가 아쉬워서 새로운 CLI 파서를 만들게 되었습니다. 혹시 관심 있으신 분들께 소개해보고 싶어 글을 올립니다.
CLI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면서 늘 불편했던 점이 하나 있었습니다. 기존 CLI 파서 라이브러리들은 대부분 설정 객체나…
------------------------------
https://news.hada.io/topic?id=22670&utm_source=googlechat&utm_medium=bot&utm_campaign=1834
오랜만에 들어와보니 뭔가 영어가 굉장히 많아졌다. 커뮤니티도 예전보다 훨씬 활성화된 것 같다
역시 수제코딩을 해야 감각이 늘고 리터러시가 생긴다..... 뇌에 힘주고 해야하는건 수제코딩..
@kodingwarriorJaeyeol Lee 사람이 쓰는 프로그램 사람 손으로 만들자 - 수제코딩장려운동
ひとまずActivityPubClientはapkitに入れておく (後で分離できるようにclient => apkitの依存性は含まないようにする)
오늘 튜사 오시는분 계신가요?
@bglbgl gwyng 앗… 저랑
@kodingwarriorJaeyeol Lee 님은 요새 주중에는 튜사에 거의 상주하는데 주말에는 못 가고 있어요. 😭
Lobsters는 인터뷰도 하는구나
Lobsters Interview with Matklad https://lobste.rs/s/ntruuu #person
Re-activate the blog building. What do we think o3o ?
foo buzz bar
@tochu_cha杜仲茶 Hackers' Pubへようこそ!
foo buzz bar
해커스펍에선 안되던 기능 바로 가져와버리기~
Hackers' Pub의 환경 설정에 “단문 공개 범위” 및 “공유 공개 범위” 설정 항목이 추가되었습니다. 기여해주신 @nebuletoHaze 님께 감사드립니다!
投稿(Note
)と記事(Article
)の両方でMarkdownをサポートしているだけでなく、シンタックスハイライトとTeX数式にも対応しているという点で、[1]Hackers' Pubはフェディバースで最もソフトウェアプログラマーに適したプラットフォームであると自負しております。
そんな皆さんのために、Hackers' Pubの招待状を共有します。(笑)
ちなみに、Hackers' Pubはかなり多様なMarkdown拡張構文をサポートしています。 ↩︎
단문(Note
)과 긴 게시글(Article
) 모두에서 Markdown을 지원할 뿐만 아니라 구문강조와 TeX 수식을 지원한다는 점에서 Hackers' Pub은 연합우주에서 가장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머가 쓰기에 적합한 플랫폼이라고 자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