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file img

notJoon

@joonnot@hackers.pub · 64 following · 79 followers

Uncertified Quasi-pseudo dev

GitHub
@notJoon
Twitter
@JoonNot
2

타입 검사는 해결책이 아니라 증상이다〉(Type Checking is a Symptom, Not a Solution).

난 이 글에 동의하지 않는데, 여러 측면에서 그렇지만, 한 측면에만 집중해서 얘기해 보자면: 좋은 아키텍처는 훌륭한 프로그래머를 요구하지만 타입 시스템은 훌륭한 프로그래머를 요구하지 않기 때문이다.

누구나 훌륭한 프로그래머가 되어야만 하는가? 혹은 될 수 있는가? 좋은 아키텍처를 그릴 수 있는 훌륭한 프로그래머가 아니라면 소프트웨어 개발을 해서는 안 될까? 좋은 아키텍처에만 의존하는 것은 잠재적으로 엘리트주의를 끌어들이기 쉽다: 「어떤 시스템이 오작동하는 것은 아키텍처가 나쁘기 때문이다. 아키텍처가 나쁜 이유는 그걸 설계한 프로그래머가 수준 미달이기 때문이다」와 같이.

반면 타입 시스템은 일단 도입만 하면 누구나 그 덕을 볼 수 있다. 팀 내의 프로그래머들의 역량이 뛰어나든 뛰어나지 않든. 훨씬 평범한 보통 사람에게 유리하다. 타입 시스템이 미봉책일 수는 있지만, 그 미봉책이 더 많은 사람들을 프로젝트에 참여할 수 있게 해준다고 생각한다.

13
1
0
0
4
6
1
1
2
0
1
7
2
0

지난 몇 달간 htmx로 웹 앱을 만들면서 느낀 점은, 골디락스 존의 하위 50% 애플리케이션에만 htmx가 적합하다는 것이다. 클라이언트 상태를 조금이라도 다뤄야 하는 순간이 오면 불행이 시작된다. 하이퍼미디어 시스템의 철학에 동의하는데, 그 구현은 아일랜드 아키텍처의 접근법이 더 나을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든다. deno.com/blog/intro-to-islands

웹사이트 유형별로 자바스크립트 사용 필요성을 스펙트럼으로 표현한 차트. 수평 막대 다이어그램으로 웹사이트에서 자바스크립트(JS)의 필요 정도를 나타냄. 왼쪽 빨간색 구역은 ‘i don’t need no stinkin’ JS’로, 블로그와 코드 스니펫이 포함된 문서를 예시로 듦. 가운데 넓은 녹색 구역은 ‘Goldilocks JS’로, 마케팅 사이트, 전자상거래 사이트, 인터랙티브 SaaS를 포함. 오른쪽 파란색 구역은 ’JS me up!’으로, 소셜 미디어 사이트를 예시로 듦.
4

Here is a first proof-of-concept demonstration of an actual outcome for the erdosproblems/OEIS linkage project. There are a number of Erdos problems relating to irrationality of specific series. I asked an AI to compute several of these series to several decimal places (chatgpt.com/share/68b7160a-3d4), then entered in these decimal strings into the OEIS search bar. I found several hits, which I then uploaded to the project github.com/teorth/erdosproblem .

In particular, I linked Erdos problem 259 erdosproblems.com/259 to OEIS A371134 oeis.org/A371134. In the latter page, there was a reference to a solution to the problem by Chen and Ruzsa doi.org/10.1023/A:1004742930674 that was not known to the erdosproblems.com site. So now we can mark that problem as solved!

I think this type of semi-automated literature search could be a good use case for AI tooling, since the (potentially unreliable) output of such AI tools is only used to locate more reliable human-generated resources, rather than being directly incorporated into the final product.

0
0
0

https://keivan.io/the-day-appget-died/

윈도 패키지 매니저 AppGet의 개발자가 WinGet 개발 과정에서 접촉했던 경험을 쓴 글.

MS가 오픈소스 친화적으로 바뀌고 있다고 하지만, 여전히 내부 문화가 매우 관료적이고 사내 정치가 toxic하다고 유명한데, 독립 개발자로서 MS와 컨택하는 일이 어떤 것인지 잘 알려주는 사례라고 봄.

Special thanks 한 줄만 적어줬어도 그가 분노하지는 않았겠지만, 그 한 줄 넣기가 어려운 게 Microsoft겠지.

1
4
1
0
0
3

I just published a blog post on the use of type-level programming in TypeScript. It was originally a section of the larger post I’ve been alluding to but I broke it out and expanded it. It’s much more of an opinion piece than most things I write but I’d like to think I have a few decent insights in there. Please check it out and let me know what you think.

jnkr.tech/blog/expressive-type

1
2

오늘 면접 진행(정확히는 시간 끌려고 들어간 것이지만)하면서 GraphQL 관련한 질문을 받았지만 기본적인 것만 알다보니 답변이 영 만족스럽지 못했다. 깊게 파봐야지

3
1
5

오늘 면접 들어가야 하는 담당자가 지각을 해서 30분간 시간을 끌어야 했는데, 마침 면접 보러오신 분이 OSSCA 신청을 했었다고 해서 그걸로 자연스럽게 얘기를 이끌어나갔다. 하지만 그래도 좋은 면접 경험을 제공하지 못한 것 같아서 마음이 아프군

2
0

Today is the new semester for @CMUDBCMU Database Group's Intro to Database Systems! We're going harder into material than ever before. Projects are more challenging but you can use LLMs to help. We also have 10min talks each Wed from leading DB companies. Follow from home/prison on YouTube: 15445.courses.cs.cmu.edu/fall2

Everything is available for free to non-CMU students:
• Lectures on YouTube: youtube.com/playlist?list=PLSE
• Slides + Notes + Homeworks on course website.
• Project source code on GitHub: github.com/cmu-db/bustub
• Grading with Gradescope (see FAQ ➡️ 15445.courses.cs.cmu.edu/fall2)

Special thank you to our Affiliate companies for their support this academic year:
• ClickHouse
• DataStax
• dbt Labs
• Firebolt
• MotherDuck
• RelationalAI
• SingleStore
• SpiralDB
• PingCAP / TiDB
• Yellowbrick
• Yugabyte

How can people not enrolled in the class test their projects?
All of the source code for the projects are available on Github. There is a Gradescope submission site available to non-CMU students.CMU-DB 2025 Industry Affiliate Program Members
https://db.cs.cmu.edu/affiliates/
1
0
0
1

Hackers' Pub은 현재 Fresh 프레임워크로 만들어져 있는데, Fresh 프레임워크의 한계를 벗어나기 위해 GraphQL + SolidStart 스택으로 넘어가는 작업(web-next)을 진행중입니다. 진행 상황을 관리하기 위해 에픽 이슈를 만들었습니다.

4
2
1
4
8
4
3
5

라이프타임의 추론에 대해서 정리를 하고 walkthrough를 작성해봐야겠다

3
2
1
7
1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