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디파이 빡시게 기여해서 2.0 뜨면 블로그 만들어서 블스 떠야지
이찬행
@2chanhaeng@hackers.pub · 70 following · 54 followers
@2chanhaeng이찬행 일반인에게 블스 추천하기도 미안해지는 사태가... 가그론 당신만 믿습니다...
@kodingwarriorJaeyeol Lee 가그론이 뭔가요??
"사람은 서울로, 말은 제주도로 보내라"는 격언이 있듯이
"일반인은 블루스카이로, 개발자는 연합우주로"를 꾸준히 밀겠읍니다
@kodingwarriorJaeyeol Lee (a.k.a. kodingwarrior)
뭔가 대놓고 저격한 게 돼버린,,,
블스 CEO가 폭력은 어떤 상황에도 안 된다며 찰리 커크 추모 트윗을 올림;
아 물론
- 팔레스타인, 가자 얘기? 안 함
- 민주당 인사의 총격 피살사건 때는? 역시 안 함
- 찰리 커크 사망 당일 콜로라도의 학교에서 발생한 총격 사건 얘기는? 당연히 안 함
블스도 뜰 때가 됐나...
블스 CEO가 폭력은 어떤 상황에도 안 된다며 찰리 커크 추모 트윗을 올림;
아 물론
- 팔레스타인, 가자 얘기? 안 함
- 민주당 인사의 총격 피살사건 때는? 역시 안 함
- 찰리 커크 사망 당일 콜로라도의 학교에서 발생한 총격 사건 얘기는? 당연히 안 함
TypeScriptの型推論でCLIバリデーションをなくせた話
https://zenn.dev/hongminhee/articles/27bce6eb777dea
@2chanhaeng이찬행 라는 얘기가 나오던 참이었거든요
@kodingwarriorJaeyeol Lee (a.k.a. kodingwarrior)
그치만 맥미니가 진짜 최고긴 해요ㅋㅋ
Go로 JSON 패키지 만들고 이름을 고조선(go-joseon)이라고 지으면 어떨까란 생각이 들었음
와, 홈 서버 장만하려고 미니PC 이것저것 알아봤다가 라즈베리파이 사양이랑 가격봤는데...... "역시 돈을 조금 더 주고 미니PC 사는게 훨씬 이득이군!" 하는 생각이 바로 들었음
@kodingwarriorJaeyeol Lee (a.k.a. kodingwarrior)
이제 여기서 이게 더 이득이네 저게 더 이득이네 하다보면 결국 그 끝에는 맥미니가...
24년 된 게임큐브용 동물의 숲, 메모리 해킹으로 대화 시스템을 LLM으로 교체하다
------------------------------
- 고전 게임 *동물의 숲(GameCube, 2001)* 의 반복적인 대사를 실시간 *클라우드 기반 LLM 대화* 로 바꾸는 프로젝트
- 게임 코드를 수정하지 않고, *메모리 해킹과 공유 메모리(mailbox) 방식* 을 통해 외부 Python 스크립트와 AI를 연결
- 게임의 텍스트는 단순 문자열이 아닌 *특수 제어 코드 언어* 로 처리…
------------------------------
https://news.hada.io/topic?id=23016&utm_source=googlechat&utm_medium=bot&utm_campaign=1834
@hongminhee洪 民憙 (Hong Minhee) 뮤트 기능 로드맵에 있나요?
포항공대 > 카이스트인 이유
포스텍은 '포스'가 있지만,
카이스트는 '텍'도 없기 때문,,,,
이찬행 shared the below article:
LogTape 1.1.0: Smarter buffering, seamless integration

洪 民憙 (Hong Minhee) @hongminhee@hackers.pub
LogTape 1.1.0 introduces smarter and more flexible logging with two major features. The first is "fingers crossed" logging, which buffers debug and low-level logs in memory and only outputs them when an error occurs, providing a complete sequence of events leading up to the problem. Category isolation prevents one component's errors from flushing unrelated logs, keeping logs focused and relevant. The second feature is direct log emission via the `Logger.emit()` method, which allows feeding logs from external systems like Kafka directly into LogTape while preserving original timestamps and metadata. This release also includes bug fixes and improvements across the ecosystem, such as fixes for potential data loss during high-volume logging and improved cross-runtime compatibility. Upgrading to 1.1.0 is backward-compatible and enhances debugging in production by providing complete context for every error without constant verbose logging.
Read more →좀더 흥할까 싶어서 고양이로 비슷한 드립 짤을 만들어봤는데 전혀 안 흥함ㅠ
재열님의 배꼽 빠지는 유우머를 보니 저의 희대의 드립이 생각나는
재열님의 배꼽 빠지는 유우머를 보니 저의 희대의 드립이 생각나는
Deno 2.5 is out —
⭐ Permission sets in config
⭐ Setup and teardown APIs to Deno.test
⭐ HTML entrypoint support in deno bundle
⭐ Runtime API for deno bundle
아아ㅡ 객체지향 쪽 면접을 준비하려면 트루쓰 쏘-셜에도 가입이 되어있는 극우기득권남성의 책을 바이블처럼 참조해서 봐야 한다니ㅡ
차가 의문을 가지면?
카와이
Car Why
엌ㅋㅋㅋㅋㅋ
〈타입 검사는 해결책이 아니라 증상이다〉(Type Checking is a Symptom, Not a Solution).
난 이 글에 동의하지 않는데, 여러 측면에서 그렇지만, 한 측면에만 집중해서 얘기해 보자면: 좋은 아키텍처는 훌륭한 프로그래머를 요구하지만 타입 시스템은 훌륭한 프로그래머를 요구하지 않기 때문이다.
누구나 훌륭한 프로그래머가 되어야만 하는가? 혹은 될 수 있는가? 좋은 아키텍처를 그릴 수 있는 훌륭한 프로그래머가 아니라면 소프트웨어 개발을 해서는 안 될까? 좋은 아키텍처에만 의존하는 것은 잠재적으로 엘리트주의를 끌어들이기 쉽다: 「어떤 시스템이 오작동하는 것은 아키텍처가 나쁘기 때문이다. 아키텍처가 나쁜 이유는 그걸 설계한 프로그래머가 수준 미달이기 때문이다」와 같이.
반면 타입 시스템은 일단 도입만 하면 누구나 그 덕을 볼 수 있다. 팀 내의 프로그래머들의 역량이 뛰어나든 뛰어나지 않든. 훨씬 평범한 보통 사람에게 유리하다. 타입 시스템이 미봉책일 수는 있지만, 그 미봉책이 더 많은 사람들을 프로젝트에 참여할 수 있게 해준다고 생각한다.
이찬행 shared the below article:
헬: 하스켈 방언 기반의 셸 스크립팅 언어

박준규 @curry@hackers.pub
Chris Done이 개인적인 셸 스크립팅 용도로 만든 하스켈 방언 기반의 셸 스크립팅 언어인 헬(Hell)을 소개합니다. 저자는 bash의 난해한 문법과 서브 프로세스 의존성 등의 단점을 극복하고자 헬을 개발하게 되었습니다. 헬은 모듈, 패키지 시스템, 추상화 기능 없이 매우 기본적인 기능만을 제공하며, 하스켈의 장점(탄탄한 개념, 동시성, 가비지 컬렉션, 정적 타입 등)을 활용합니다. 헬은 기존 하스켈의 직관을 재사용하고, 안정성과 단순성을 추구하여 자동화 스크립팅에 적합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헬은 냉정하게 완결된 소프트웨어를 지향하며, 스크립팅의 한계를 명확히 정의하여 불필요한 기능 확장을 방지합니다. 릴리스 페이지에서 정적 링크된 리눅스 바이너리를 다운로드할 수 있으며, 구현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소개 슬라이드를 참고할 수 있습니다.
Read more →oeee.cafe/collaborate 오이카페에 넷캔 기능이 추가되었습니다! 저주피 없는 오이깎이 넷캔을 2025년도에 느껴 보세요. 넷캔 세션을 시작한 다음, 공유 버튼으로 세션 링크를 함께 그리고 싶은 분에게 공유하면 됩니다.
프로 루머 사진 보고 진짜 못생겻다 했는데 아녔음 케이스 씌우니까 ㄹㅇ 찐으로 못생겼음
ㄹㅇ 찐으로 그냥잘걸 이었다
Optique를 사용해보고 싶어서 만들어봤어요: https://github.com/jcha0713/togl
외계 생명체에게 메시지를 보낼 때 유용할지도 모릅니다.
비동기 프로그래밍:
async
,Promise
, ...: X- AI 에이전트 갈구고 딴짓하기: O
트잇타 사담계도 터지고, 뭔 별의별 되도않는 싸불이 너무 당연하다는듯이 일어나버리니까 이렇게 된 이상 연합우주로 트친들을 전부 데려와야겠다는 사명감이 생겼다(?)
이거지!!!!!!!!!!
여러분. 이 책 진짜 좋습니다.
- 브라우저를 진짜 밑바닥에서부터 만드는거라 소켓프로그래밍부터 시작함.
- 레이아웃 알고리즘, 파싱이론 등 CS 이론도 필요하다면 다룸
- 브라우저를 로우레벨에서부터 이해 가능함
... >> 중요한건 파이썬으로 실습하는 교재임 <<
이렇게 시장에 나오자마자 오바쌈바를 떨면서 좋다고 야단법석을 떨었던 책 중 하나가... 게르겔리 오로스의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가이드북이었던가....
이것도 한때 개발자들 사이에서 한참 오르락내리락 했던 책이었죠....?
Show GN: Rust + SvelteKit으로 만든 오픈소스 블로깅 서비스
------------------------------
웹 개발 연습 겸 글쓰기 경험을 위해 직접 만든 블로깅 서비스를 공개했습니다.
현재는 베타 단계이지만, Rust(Axum) 백엔드와 SvelteKit 프론트엔드로 구현했으며, 오픈소스로 누구나 코드 확인 및 기여가 가능합니다.
repository:
주요 기능
🖤 심플한 UI, 다국…
------------------------------
https://news.hada.io/topic?id=22919&utm_source=googlechat&utm_medium=bot&utm_campaign=1834
最近 한창 開發中인 Fedify 基盤 ActivityPub 서비스 2個:
- Kosmo:
@robin_makirobin 님이 만들고 계시는 次世代 ActivityPub 基盤 SNS
- Cosmoslide:
@kodingwarriorJaeyeol Lee (a.k.a. kodingwarrior)
님이 만들고 계시는 ActivityPub 基盤 슬라이드 共有 서비스
完全 期待中!!
시대 배경이 2008년 ~ 2010년인 작품을 보면서 보면서 가장 보기 괴로운 점은 시대 고증과 묘사가 훌륭해서 사람들이 쓰는 노트북 속 인터넷 익스플로러 8이나 9 정도의 UI가 생생하게 그려진 점이다.
오늘따라 기분이 우웅... 해서 죠리퐁 샀어
?????????????
Space Fantasy (이박사) - 카사네 테토 Cover https://youtu.be/vXVHh7C6Wbk?si=e_OBJG7aJ8Y2oO6T
신지로는 공기의 호흡을 쓸거 같아요
초보자에게 서버를 골라야 하는 큰 장벽이 없으면서 서버는 기술적 지식 없이 만들 수 있으면 좋겠다...
커뮤니티에서 정치적 발언을 하는 것을 금지하는 것의 문제는, 정치적인(또는 그렇게 들린다고 다른사람들이 주장하는) 발언으로 문제가 생겼을때(안 생길수가 없다) 발언의 옳고그름을 떠나, 발언이 정치적인지 아닌지를 따지는쪽으로 흘러가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아 물론, 대놓고 정치적 발언을 많이 해서 커뮤니티 구성원들을 피곤하게 하는건 좀 다른 문제고, 그걸 피하기 위해 정치적 발언을 금지하는 강령이 있는것일 테다. 근데 이건 그냥 각자 눈치껏 잘치기길 기대하는 수준이고, 커뮤니티의 방향성과는 무관한, 각자 지켜야할 운전 매너에 가깝다. 내 말은, 언젠가 커뮤니티내에서 큰 의견 차이가 생겼을때, '정치적 발언 안됨'이 해결책이 되길 기대할순 없단거다.
참고로 Hackers' Pub은 패스키 인증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
이찬행 shared the below article:
Stop writing CLI validation. Parse it right the first time.

洪 民憙 (Hong Minhee) @hongminhee@hackers.pub
This post introduces Optique, a new library created to address the pervasive problem of repetitive and often messy validation code in CLI tools. The author was motivated by the observation that nearly every CLI tool reinvents the wheel with similar validation patterns for dependent options, mutually exclusive options, and environment-specific requirements. Optique leverages parser combinators and TypeScript's type inference to ensure that CLI arguments are parsed directly into valid configurations, eliminating the need for manual validation. By describing the desired CLI configuration with Optique, TypeScript automatically infers the types and constraints, catching potential bugs at compile time. The author shares their experience of deleting large chunks of validation code and simplifying refactoring tasks. Optique aims to provide a more robust and maintainable approach to CLI argument parsing, potentially saving developers from writing the same validation logic repeatedly.
Read more →Every CLI tool has the same validation code hidden somewhere:
- “option A requires option B”
- “can't use X and Y together”
- “this only works in production mode”
I got tired of writing it. So I built something that makes it unnecessary.
https://hackers.pub/@hongminhee/2025/stop-writing-cli-validation-parse-it-right-the-first-time
Stop writing CLI validation. Parse it right the first time https://lobste.rs/s/deaem7 #javascript #programming
https://hackers.pub/@hongminhee/2025/stop-writing-cli-validation-parse-it-right-the-first-time
코파일럿이 종종 멍청해져서 왜 그런가 보면 코파일럿이 클로드 말고 GPT로 지멋대로 바꿔놔서 그럼 ㅡㅡ
製나 作 이나 둘다 짓다, 만들다라는 뜻인데 製品은 상품, 공산품 처럼 쓰이고 作品은 예술품, 공작품 처럼 쓰이는 게 신기하군
요것이 아시안 언어의 신비...?
@2chanhaeng이찬행 일본에선 영화나 애니메이션 등에서도 한자만 다른 두 제작이라는 용어가 있더라구요. 실제로 작품을 만드는 制作, 그걸 홍보해서 알리고 유통하는 製作.
製나 作 이나 둘다 짓다, 만들다라는 뜻인데 製品은 상품, 공산품 처럼 쓰이고 作品은 예술품, 공작품 처럼 쓰이는 게 신기하군
요것이 아시안 언어의 신비...?
@2chanhaeng이찬행 제가 알기로는 製라는 글자에 대량 생산이라는 함의가 추가된 게 메이지 유신 때 제조(製造)라는 번역어를 만들면서라고 알고 있습니다. 제품도 제조품의 줄임말인 거죠.
製나 作 이나 둘다 짓다, 만들다라는 뜻인데 製品은 상품, 공산품 처럼 쓰이고 作品은 예술품, 공작품 처럼 쓰이는 게 신기하군
요것이 아시안 언어의 신비...?
다같이 손 잡고 하나둘셋 하면 노드 지우고 디노로 갈아타는 거다 알았지?
자 하나
둘
셋!
귀여운 마스코트까지 있는 TS 런타임 Deno 냅두고 왜 이따위로 모든 경우의 수 하드코딩 되어 있는 JS 런타임 쓰는 건데
이찬행 shared the below article:
Optique 0.4.0: Better help, rich docs, and Temporal support

洪 民憙 (Hong Minhee) @hongminhee@hackers.pub
Optique 0.4.0 introduces enhancements to streamline CLI development in TypeScript. This release focuses on improving help text organization through labeled merge groups and a new `group()` combinator, making complex CLIs more user-friendly by organizing options under clear sections. Comprehensive documentation support is added via the `run()` function, allowing brief descriptions, detailed explanations, and footers without altering parser definitions. The update also includes Temporal API support with the `@optique/temporal` package, enabling type-safe parsing for dates, times, and time zones. Improved type inference for `merge()` and `tuple()` combinators enhances type safety, alongside minor breaking changes. These updates aim to make CLI construction more intuitive and maintainable, offering developers greater control over user experience and code structure.
Read more →집에 갈거냐고요? 제가 갤럭시의 무시무시함을 보여드리겟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