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洪 民憙 (Hong Minhee)
@hongminhee@hackers.pub · 373 following · 252 followers
Hi, I'm who's behind Fedify, Hollo, BotKit, and this website, Hackers' Pub!
Fedify, Hollo, BotKit, 그리고 보고 계신 이 사이트 Hackers' Pub을 만들고 있습니다.
Website
- hongminhee.org
GitHub
- @dahlia
Hollo
- @hongminhee@hollo.social
DEV
- @hongminhee
velog
- @hongminhee
Qiita
- @hongminhee
Zenn
- @hongminhee
Matrix
- @hongminhee:matrix.org
X
- @hongminhee
전화기를 iPhone을 쓰기 때문에 아무래도 연동 때문에 macOS도 많이 쓰긴 하지만, 그래도 요즘에는 주 운영체제로 Fedora Linux를 쓰는데, Linux든 Windows든 macOS에 비해 터미널을 활용할 때 불편한 지점 하나는 바로 클립보드 단축키에 일관성이 떨어진다는 것.
터미널에서는 아무래도 SIGINT
를 발생시키기 위한 Ctrl-C와 구분하기 위해 Ctrl-Shift-C를 써야 하는데, 간혹 이를 실수해서 출력 일부를 클립보드에 복사하려다가 돌아가고 있는 프로세스를 중단시키기도 하고, Firefox 같은 데서 Ctrl-Shift-C를 눌러서 개발자 도구를 띄워버리기도 한다.
macOS의 경우에는 터미널에서는 전혀 쓰이지 않는 Command 키가 일종의 센티널 값 역할을 하기 때문에 터미널을 포함하여 어느 애플리케이션을 쓰고 있든 일관적으로 Command-C 키를 쓸 수 있다. 뭐, 내가 macOS를 너무 오래 써서 (2004년부터 썼음) 이쪽이 더 편하다고 느끼는 것 뿐일 수도 있지만…
@hongminhee洪 民憙 (Hong Minhee) 저도 비슷한 경험을 많이 합니다만, 제 경우에는 주로 윈도 WSL (우분투) 환경에서 어플리케이션 로그 복사를 시도하다가, 종종 (의도치않게) 프로세스를 중단시키고는 합니다. 😂
윈도에서 아무리 커스텀하려고 해도 맥의 Command 키는 대체불가한 영역이네요.
덧붙여서, 맥에서 Command–억음 악센트(
) 키 (전면에 있는 앱에서 열려 있는 다음 윈도우를 활성화) 키를 많이 쓰다 보니, 윈도에도 autohotkey 로 적용해서 (alt-
) 쓰고 있습니다. 😅
@curry박준규 Mastodon은 Markdown을 지원 안 해요. 다만, Markdown을 지원하는 플랫폼(Misskey, Hackers' Pub, Hollo 등)에서 쓴 Markdown은 Mastodon에서도 제대로 표시됩니다. (ActivityPub 수준에서는 Markdown을 교환하는 게 아니라 Markdown으로부터 변환된 HTML을 교환하기 때문에…)
@hongminhee洪 民憙 (Hong Minhee) 역시 해커스펍과 홀로가 최고입니다!
뭔가 notification 을 받아보려면 마스토돈 클라이언트 같은걸 사용하면 되나?
근데 사실, notification 이 없어도 괜찮은 것 같다. 낭만이 있음. 무슨 변경이 있는지 궁금해서 들어오는 옛날식 낭만.
오늘 하루도 각자의 삶속에서, 개인 프로젝트를 위해, 회사 프로젝트를 위해 열심히 개발하고 문서 작업하고 테스트하는 개발자 분들을 응원합니다.
(네 맞습니다.) 이 글은 저도 응원받고 싶어서 쓰는 글입니다. 😂 셀프 화이팅, 모두 화이팅!
今日もそれぞれの人生の中で、個人プロジェクトのため、会社のプロジェクトのために、一生懸命開発し、ドキュメントを書き、テストをしているエンジニアの皆さんを応援します!
(そうです)この投稿は、僕も応援してほしくて書いています。😂自分自身がんばれ! みんな、がんばってね!
Not afraid of hwp attacks anymore
최근 codepush 종료로 인한 대책을 이제 막 하고있어서 codepush 라이브러리 자체를 돌려보고있는데 숨고팀 블로그가 참 도움을 많이 주는듯... cdn서비스가 아니라 온프로미스로 돌릴수있다면 좋틀텐데 다른 codepush 사용 회사들은 어떤식으로 대처하시는지 좀 궁금하네요
프로그래머는 프로그래머랑 소통하고싶어 하는 프로그래머랑 일터 바깥에서 굳이 프로그래머랑 소통하고싶지는 않은 프로그래머로 나뉘어서 그런게 아닐까 싶기도 해요
프로그래밍 언어 하스켈 패키지 중에 연합우주와 관련 있는 것을 찾아봤더니 webfinger-client
가 있습니다. 2016년에 마지막 업로드가 되었고 너무 오래 돼서 빌드도 안 되는 상태입니다. LLM 도움을 받아 빌드 가능하게 패치하고 메인테이너에게 연락을 해봤습니다. 답장은 아직 없고 사실 메일을 보낸 지 24시간이 지나지도 않았지만 왠지 연락이 오지 않을 것만 같습니다. 급한 마음에(왜 급한지 모르겠지만) 하스켈 포럼에 패키지를 인수하고 싶다고 글을 남겼습니다. 좋은 소식이 오길 기대해봅니다.
https://discourse.haskell.org/t/taking-over-the-webfinger-client-package-maintenance/11628
요즘은 거의 Hackers' Pub 作業만 하는 中… Fedify도 새 버전 릴리스하긴 해야 하는데…
https://news.hada.io/topic?id=19738 를 읽고 최근 생성형AI 활용 관련한 짧은 감상.
- 매우 개인적인 의견이며 날 것의 생각입니다.
- 샘플이 적어 편향성이 있을 수 있습니다.
- 이미 철 지난 생각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 레퍼런스는 없습니다.
- 생성형 AI를 기대하는 사람들 중 상당수는 이를 적극적으로 의존하려는 경향이 있어 보임.
- 생성형 AI에 대한 기대 심리가 너무 커짐. 단순한 도구가 아니라 은탄환처럼 만능 해결책이 되기를 바라는 경우가 많음.
- 생성형 AI 기반 소프트웨어의 출시 속도가 기존 소프트웨어보다 훨씬 빠르게 느껴짐. 대학원 시절 자주 하던 농담이 떠오름. "딥러닝 관련 아이디어가 있으면 2주 내로 논문을 쓰지 않으면 누군가가 먼저 쓴다." 이제는 AI Agent 기반 도구 덕분에 AI 관련 SW에도 같은 법칙이 적용되는 듯함. 예를 들어, 지난주 MANUS 코드가 공개되었으니 2주 내로 유사한 AI Agent SW가 쏟아질 가능성이 큼.
- 이러한 빠른 변화 속에서 생성형 AI 사용과 관련한 윤리 및 에티켓에 대한 집단 논의는 아직 시작조차 되지 못한 듯함. 그래도 개발팀 내부에서는 관련 논의가 점차 이루어지는 것 같음. 개인적으로는 생성형 AI를 페어 프로그래밍 개념으로 접근하는 것이 적절하지 않을까 생각했지만, MANUS의 동작 방식을 보고 생각이 바뀌려 하고 있음.
- 생성형 AI의 활용 범위는 이미 빠르게 확장되고 있음. 기존에 사용되는 작업이 문서 작성, 요약, 검색 정도였다면 이제는 다양한 메이저 창작 분야로 확대되는 중. 적용이 빠른 이유는 결국 속도와 비용 때문이라고 생각함. 다만, 기계가 만든 참기름 바른 듯한 미끄러운 결과물에 대한 반발감은 여전히 존재하며, 이를 줄이기 위해 생성형 AI 결과물에 전문가의 수정과 품질 검수(QC)가 결합되고 있음.
- 여전히 생성형 AI 및 LLM을 사용하지 않거나 거부하는 사람들도 많음. 이들에게 자연스러운 사용 경험을 제공할 방법을 고민해야 할 듯함. 생성형 AI는 한 번 익숙해지면 벗어나기 어려운 락인 효과가 크다고 생각함.
- 항상 생성형 AI에 뇌를 의탁해서는 안 된다고 생각함. 지금 이 글도 먼저 초안을 작성한 후 ChatGPT에 교정을 부탁한 것임. 검수를 거치기는 하지만, 이러한 과정이 나의 사고 능력을 점차 약화시키는 것은 아닐지 고민해야 함. 그래서 hackers.pub에 뭐라도 계속 남기고자 함.
https://hackers.pub/ 신기하다. 메인의 최근 글을 보니 각자 자기 페디버스 계정으로 글을 올리는 거였네.
호노 꽤 괜찮네......
호노 재밌는 사실: 버튜버풍 로고가 있다 (주소에 ?kawaii=true를 넣고 들어가야됨)
제가 開發하고 있는 프로젝트 Hackers' Pub의 베타 테스터를 모십니다!
이 프로젝트는 #聯合宇宙(fediverse)板 velog 같은 것으로, 소프트웨어 開發者를 爲한 #ActivityPub 基盤의 SNS 兼 블로그 플랫폼입니다. AGPL-3.0 라이선스로 소스 코드가 公開되어 있을 뿐 아니라, GitHub에서 프로젝트를 公開的으로 進行하고 있습니다.
職業으로든 趣味로든 소프트웨어를 開發하시는 분들, 聯合宇宙를 좋아하시는 분들, 새로운 플랫폼을 써 보고 싶으신 분들은 부디 參與해 주시기 바랍니다! 關心 있으신 분들은 答글이나 DM으로 이메일 住所를 보내주시면 됩니다.
拡散希望:開発中のプロジェクトHackers' Pubの日本語ベータテスターを募集します!
これはフェディバース版のQiita/Zennを目指す、ActivityPub基盤の開発者向けSNS兼ブログプラットフォームです。AGPL-3.0ライセンスでソースコードを公開しており、GitHubでプロジェクトも公開進行中です。
現在韓国語話者中心に招待制ベータテスト中ですが、日本の開発者コミュニティにも広げたいと思っています。ソフトウェア開発に興味がある方、フェディバースが好きな方、新しいプラットフォームを試してみたい方、ぜひご参加ください!興味のある方はリプライかDMでメールアドレスをお送りください。
[‘우리.인생 코드’(https://code.uri.life)를 소개하는 글]
안녕하세요, 우리.인생 입니다.
우리.인생 의 변경 사항은 소스 코드 레포지토리에 기능 및 버전 별로 분리되어 있으나, 이것을 찾고 변경 사항을 추적하는 것은 그 구조와 방법에 익숙하지 않은 분들에겐 매우 힘들고 귀찮은 작업이었습니다.
이러한 까닭으로 우리.인생 의 변경 사항을 참고하거나 적용하고 싶은 Mastodon
서버 개발자 분들이 계시더라도 해당 변경 사항을 쉬이 적용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기도 했습니다.
이에 우리.인생 은 ‘우리.인생 코드’의 공개 개발 미리보기를 공개합니다.
‘우리.인생 코드’는 우리.인생 버전마다 사용된 브랜치와 커밋 로그, 코드 차이를 제공하며, 패치를 브랜치 또는 커밋 별로 내려받거나 GitHub에서 볼 수 있도록 하는 선택지를 제공합니다.
현재로서는 소개드린 내용이 ‘우리.인생 코드’의 전부지만, 선택한 브랜치 또는 커밋을 작업 브랜치에 머지할 수 있는 간단 스크립트를 표시하는 등 앞으로 편의 기능을 갖춰나갈 예정입니다.
‘우리.인생 코드’는 아래 URL에서 접속하실 수 있습니다.
https://code.uri.life
추가적인 의견이나 기능 제안이 있으시다면 언제든지 말씀해 주세요!
감사합니다.
연합우주에는 광고가 없어서 좋다.
(맥/리눅스) 리소스 모니터링 커맨드 얘기. 오랜 기간 htop 을 써왔는데, 최근에 btop 이 더 이뻐(?) 보여서 바꾸려는 중입니다. (그렇지만 나도 모르게) htop 커맨드를 입력하고 있는 것은 안비밀, 습관은 무섭습니다.
스크린샷은 btop, top, btm (bottom), htop 순입니다.
LLM은 파일 길이가 길어지면 정신을 못차린다. 적정 길이로 쪼개야하는구만...
TypeScriptコンパイラのGo実装、TypeScriptから移植するだけで10倍も速くなるの意外
@may오월 어서오세요. 환영합니다.
@hongminhee洪 民憙 (Hong Minhee) 님 글에 덧붙여서 상단 검색에서 연합우주 계정을 넣으면, 해당 계정 직접 검색이 가능합니다. 예) 이찬진님 스레드 -> 상단 검색에서 chanjin65@threads.net
당장 두 개 인스턴스(해커스펍, 우리인생)를 쓰다 보니 팔로우를 어느 쪽에서 해야할지 고민이 된다. 한 쪽으로 몰아야 하나?
웹핑거(WebFinger)는 사용자 정보뿐만 아니라 저작권이나 언어 정보도 다루는군요! https://www.rfc-editor.org/rfc/rfc7033.html
TwitterとThreadsの個人プロフィールに hackers.pub/@arkjunJuntai Park へのリンクを追加しました。ひそかにhackers.pubを宣伝中です(?)😂(フォロワーが少なくてあまり効果はありませんが…😊)
트위터와 스레드의 개인 프로필에 hackers.pub/@arkjunJuntai Park 링크를 추가했습니다.
hackers.pub 조용히 홍보중(?) 😂 (팔로워가 적어서 별 도움은 안되지만..😊)
RubyWorld Conference 2024 各講演の動画・発表資料を公開
2024年12月5日(木)・6日(金)に開催されたRubyWorld Conference 2024における、講演の動画・発表資料を公開しました。
https://2024.rubyworld-conf.org/ja/news/2025/03/videos-and-materials/
大部分의 #ActivityPub 具顯들이 Note
나 Article
의 內容 (content
) 안에서 누군가 다른 액터를 멘션할 境遇 tag
屬性으로 該當하는 Mention
客體들을 包含시킵니다. 그러면 Person
, Group
等 액터 客體들도 略歷 (summary
) 안에서 누군가 다른 액터를 멘션할 境遇 tag
屬性으로 該當하는 Mention
客體들을 包含해야 할까요? 或是 이미 그렇게 動作하는 具顯이 있을까요? (Mastodon은 確認해 본 結果 包含시키지 않는 것 같습니다만.) 어떻게 보시나요?
殆どのActivityPub実装では、Note
やArticle
の内容(content
)内で他のアクター(actor)に言及(メンション)する場合、tag
属性に該当するMention
オブジェクトを含めています。では、Person
やGroup
などのアクターオブジェクトも、自己紹介(summary
)内で他のアクターに言及する場合、tag
属性に該当するMention
オブジェクトを含めるべきでしょうか?既にその様に動作している実装はあるでしょうか?(Mastodonは確認した結果、含めていない様です。)どの様にお考えですか?
Mention
objects in the tag
attribute when someone mentions another actor within the content
of a Note
or Article
. Should actor objects like Person
or Group
also include Mention
objects in their tag
attribute when mentioning other actors within their bio (summary
)? Are there any implementations that already work this way? (I've checked Mastodon and it seems they don't include these mentions.) What are your thoughts on this?#fediverse #fedidev
大部分의 #ActivityPub 具顯들이 Note
나 Article
의 內容 (content
) 안에서 누군가 다른 액터를 멘션할 境遇 tag
屬性으로 該當하는 Mention
客體들을 包含시킵니다. 그러면 Person
, Group
等 액터 客體들도 略歷 (summary
) 안에서 누군가 다른 액터를 멘션할 境遇 tag
屬性으로 該當하는 Mention
客體들을 包含해야 할까요? 或是 이미 그렇게 動作하는 具顯이 있을까요? (Mastodon은 確認해 본 結果 包含시키지 않는 것 같습니다만.) 어떻게 보시나요?
Mention
objects in the tag
attribute when someone mentions another actor within the content
of a Note
or Article
. Should actor objects like Person
or Group
also include Mention
objects in their tag
attribute when mentioning other actors within their bio (summary
)? Are there any implementations that already work this way? (I've checked Mastodon and it seems they don't include these mentions.) What are your thoughts on this?#fediverse #fedidev
출근했더니 일을 하지 못하게 된 건에 대하여
안드로이드 업데이트 알림이 왔길래, 출근하자 마자 바로 업데이트를 시작하고 (회사) 컴퓨터를 켰는데, 로그인을 하지 못했다. 그렇다. 회사 컴퓨터는 로그인시 OTP 입력을 해야 한다.
(다행히, 개인 맥북의 1Password 를 실행해서 로그인 했습니다.)
出勤したら仕事ができなくなった件
携帯にAndroidのアップデート通知が来ていたので、出勤してすぐにアップデートを始め、その後(会社の)パソコンを起動したところ、ログインできなくなってしまった。そう、会社のパソコンはログイン時にOTPの入力が必要なのだ。
(幸いにも、個人のMacBookで1Passwordを起動して無事にログインできました。)
젠장 난 nix랑 org가 너무 좋다
저기요? 선생님?
I think it’s fun to see all the support and rant reactions about Microsoft rewriting #TypeScript tooling in #Go instead of C# or Rust.
Notice that I said "fun", not "interesting". It’s fun because this is just the latest version of "vim vs. emacs" or "tabs vs. spaces". Everyone has opinions, everyone has their favorite programming language, but at the end of the day, 0% (or a very close number) of the people ranting about it are actually working on the project. It’s always easy to criticize someone else’s work when you have nothing at stake.
curl -v
my friend
hackers.pub 에서 올린 게시물은 다른 곳(소셜미디어)에 어떻게 올라가나 궁금했는데, 요렇게 이쁘게 올라가네요 👍 (이미지는 uri.life 에서 본 스크린샷입니다)
박준규 replied to the below article:
우분투에서 snap 으로 docker 를 설치했다가 후회한 얘기

Juntai Park @arkjun@hackers.pub
우분투를 쓸때는 apt 로만 패키지 관리를 해왔는데 작년 처음 snap 을 써봤다.
작년 사내 테스트용 (물리) 서버에 우분투 24.04.1 LTS 설치하고 snap 으로 docker 설치해서 여러 모니터링 올리고 어제까지도 잘 쓰고 있었는데, 갑자기 오늘 docker ps 명령이 오류가 나서 봤더니,
$ docker ps
Cannot connect to the Docker daemon at unix:///var/run/docker.sock. Is the docker daemon running?
docker -D ps # 디버깅
time="2025-03-12T11:22:58+09:00" level=debug msg="otel error" error="1 errors occurred detecting resource:\n\t* conflicting Schema URL: https://opentelemetry.io/schemas/1.21.0 and https://opentelemetry.io/schemas/1.26.0"
실행도 안되고, 모든 컨테이너는 날라간 상태이고 도커 또한 동작하지 않는다. 디버깅 메시지 보면 스키마 버전 충돌이라고 나온다.
자세한 원인분석을 위해 ChatGPT 의 도움을 받았더니
Docker 데몬이 OTel(OpenTelemetry)과 충돌하여, 스키마 버전(1.21.0 vs. 1.26.0)이 일치하지 않아 발생하는 문제입니다. 주로 Snap의 자동 업데이트 중, Docker의 내부 OTel 설정이 깨졌을 때 나타나는 문제입니다.
snap 자동 업뎃중에 OTel 충돌로 스키마 버전 불일치 문제라고 한다.
스냅 방식 대신 apt 기반 설치가 더욱 안정적이라고 권장해주길래, (새로운 방식이라 일부러 snap 으로 선택했었는데) 다음부터는 그냥 apt 방식으로 설치하기로 했다. (docker 한정)
물론 이번에도 apt 방식으로 변경해서 설치.
sudo snap remove docker
sudo apt update
sudo apt install -y docker.io
sudo systemctl start docker
sudo systemctl enable docker
sudo systemctl status docker
테스트 서버 관리에 시간을 빼앗긴 후에야, 테스트 서버도 백업해 둬야겠다 싶다. 모니터링 설정이랑 빌드 설정이랑 도커 설정 다 백업해 놔야겠다.
@arkjunJuntai Park 이번 기회에 Nix를 써보시는 건 어떨까요?
개발을 하다보면 종종 편하고 빠른 길에 대한 유혹을 받는다. 뿌셔버려도 되는 장난감이야, 맘대로 하면 되겠지만, 내가 하거나 누군가 이어받아 유지보수해야 할 회사의 일이면 가능한 그 미래를 고려한 선택을 우선해서 코드를 짠다.
시간내에 빠르게 만들어서 돌아가게끔 만드는 것도 물론 중요하지만 미래의 나 (혹은 다른 누군가) 를 생각하면 조금이라도 더 나은 미래를 위해서 노력한다.
대충 일정상 그러지 못해서, 지금 고통 받는 중이라 하는 얘기.
Hackers' Pub currently supports three languages: English, Japanese, and Korean. Do you speak any other language? Please contribute!
https://hackers.pub
해커스펍 구경중인데 꽤 활발하다
I think I love list comprehensions in Haskell. #haskell
처음 가입했습니다!
@hongminhee洪 民憙 (Hong Minhee) 님, 초대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트위터 눈팅족이고, 스레드에는 주로 게임과 일상만 올리는데,
hackers.pub 에는 뭔가 개발 관련된 소소한 얘기들을 공유하거나, 공유받고 싶네요.
잘 부탁드립니다. 😅
“여우야, 재미있는 농담 해줘”
“Hackers’ Pub에 해커 세 명이 들어가는데..”
Today we're thrilled to announce our effort to port the TypeScript compiler and language service to native code, gaining a 10x speed boost in build times and editor responsiveness!
https://devblogs.microsoft.com/typescript/typescript-native-port/
와! 북적북적 hackers pub!
타입스크립트, Go 언어로 포팅 시작(!!)
v6.x 버전까지는 기존 JS구현을 유지하고,
v7.x에 네이티브 구현을 릴리즈할 계획.
> we’ve begun work on a native port of the TypeScript compiler and tools.
https://devblogs.microsoft.com/typescript/typescript-native-port/
오늘의 일기
- 웜업/쿨다운 포함해서 50분 인터벌 달리기를 했다. 그리고 집 돌아오는 길에 종아리에 쥐나서 길거리에 주저앉을 뻔했다. 슬슬 런데이 아저씨가 미워지는 구간에 진입 중.
- GitHub Pages 에서 Netlify 로 무사히 이관했다. 다음 목표는 카테고리 별로 볼 수 있게 내비게이션 바 만들고 RSS 피드 깨진 거 원인 파악해서 고치기.
- 네이버 블로그 백업용으로 GitHub Pages 를 만들면서 당시에 썼던 독서/영화 기록에 네이버 책/영화 서비스 링크를 전부 달아뒀었는데, 이번에 Netlify 로 옮기면서 전부 지웠다. 당시엔 하이퍼링크를 걸어두는 쪽이 더 범용성 있을 거라고 생각했는데 네이버 영화 서비스가 문 닫을 줄 누가 알았겠어요. 블로그로 정확히 뭘 하고 싶은지 목표가 뚜렷해야 이런 실수를 안 할 텐데, 장기적인 목표는 좀 더 천천히 생각해 봐야 할 거 같다.
- 내 포스트를 공유한 사람 목록을 보고 싶은데 아직은 방법이 없는듯.
- 블루스카이와 타임라인을 연결하고 싶은데 계정을 만든지 7일이 지나야 가능한 거 같다.
해커스펍 가입 기념으로 하스켈 코드 하나 적습니다!
main = putStrLn "Hello, Hackers' Pu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