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ngminhee洪 民憙 (Hong Minhee) 안녕하세요~ @bglgwyng@hackers.pub님 께서 소개해주셔서 왔습니다. 반갑습니다😄

洪 民憙 (Hong Minhee)
@hongminhee@hackers.pub · 367 following · 252 followers
Hi, I'm who's behind Fedify, Hollo, BotKit, and this website, Hackers' Pub!
Fedify, Hollo, BotKit, 그리고 보고 계신 이 사이트 Hackers' Pub을 만들고 있습니다.
Website
- hongminhee.org
GitHub
- @dahlia
Hollo
- @hongminhee@hollo.social
DEV
- @hongminhee
velog
- @hongminhee
Qiita
- @hongminhee
Zenn
- @hongminhee
Matrix
- @hongminhee:matrix.org
X
- @hongminhee
@gyulrangdev귤랑귤랑 네, 앞으로 잘 부탁드려요〜!
apsig 0.5.0 released (破壊的な変更あり)
デフォルトだと検証の結果は失敗時にNone
、成功時はkeyId
を返すようになりました (verify関数にraise_on_fail引数をTrueにして渡すと失敗時にエラーを吐くようにもできます)
あとはSignatureヘッダーの解析だけ使うこともできるようになりました (Draft版HTTP署名のみ。)
一応古いdraftVerifier
の方は廃止されてるものの互換性維持のために0.4.0時点と同じ値を返すようになってます (ただ1.0で削除するので使うべきではありません)
https://github.com/AmaseCocoa/apsig/releases/tag/0.5.0
https://pypi.org/project/apsig/0.5.0/
initial commit
initial commit
@gyulrangdev귤랑귤랑 안녕하세요, 어서오세요!
@hongminhee洪 民憙 (Hong Minhee) 단문 마크다운의 미리보기 기능도 옵션으로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
@arkjunJuntai Park 아, 그러게요… 추가해 보겠습니다!
@uriyang김승미 안녕하세요, 어서오세요!
If the team that implemented Python in Python had a tart to celebrate March 14, it'd be a PyPy pi pie.
@hongminhee洪 民憙 (Hong Minhee) 요건 사소한 부분인데, 어제 해커스펍을 몇분께 소개했는데 회원가입에서 막혀있습니다. 관리자에게 연락하라고 되어있는데 그 방법도 소개되어있지 않아요.
@bglbgl gwyng 앗, 아무래도 역시 그렇죠… 초대제를 풀까 싶기도 하네요. 😅
Hackers' Pub에 만들어야 할 게 너무 많아서 우선순위 설정이 어렵다. (ADHD가 원래 이런 거 어려워 한다고 합니다.)
- 알림 (멘션이나 DM, 댓글, 공유 같은 거 모아서 보여주는 기능)
- 환경 설정 (UI 언어 설정 등)
- RSS
- 좋아요 또는 에모지 리액션 (이 두 기능을 어떻게 조화시킬지 계속 고민하고 있음)
- 해시태그
- 알고리즘 타임라인 (팔로하지 않아도 관심 있을 만한 콘텐츠는 타임라인에 함께 나오게)
- 설문조사 (ActivityPub의
Question
) - 중국어 번역 추가 (다른 것보다 행동 강령을 어떻게 번역해야 할 지 막막…)
이거 말고도 당장 생각은 안 나는데 뭔가 많음…
음, 오전은 생각만 하다 끝났군… 일단 점심이나 먹자.
Hackers' Pub에 만들어야 할 게 너무 많아서 우선순위 설정이 어렵다. (ADHD가 원래 이런 거 어려워 한다고 합니다.)
- 알림 (멘션이나 DM, 댓글, 공유 같은 거 모아서 보여주는 기능)
- 환경 설정 (UI 언어 설정 등)
- RSS
- 좋아요 또는 에모지 리액션 (이 두 기능을 어떻게 조화시킬지 계속 고민하고 있음)
- 해시태그
- 알고리즘 타임라인 (팔로하지 않아도 관심 있을 만한 콘텐츠는 타임라인에 함께 나오게)
- 설문조사 (ActivityPub의
Question
) - 중국어 번역 추가 (다른 것보다 행동 강령을 어떻게 번역해야 할 지 막막…)
이거 말고도 당장 생각은 안 나는데 뭔가 많음…
bgl gwyng replied to the below article:
Hackers' Pub에서 DOT 언어(Graphviz)로 다이어그램 그리기

洪 民憙 (Hong Minhee) @hongminhee@hackers.pub
Hackers' Pub의 숨겨진 기능 중 하나는 Graphviz의 DOT 언어를 지원한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다이어그램을 그릴 수 있습니다:
SimpleActivityPub server_a 서버 A (Mastodon) server_b 서버 B (Hackers' Pub) server_a->server_b ActivityStreams 데이터 전송 (HTTP POST) server_b->server_a 응답 및 상호작용 (HTTP POST)Graphviz를 이용하는 법은 간단합니다. Markdown의 코드 블럭 문법 안에 DOT 언어로 다이어그램을 기술하신 뒤, 코드 블럭의 언어 태그에 graphviz
를 붙이시면 됩니다. 위에서 예를 든 다이어그램은 Markdown에서 아래와 같이 쓰면 됩니다:
```graphviz
digraph SimpleActivityPub {
graph [rankdir=LR, fontname="sans-serif", bgcolor="white"];
node [fontname="sans-serif", shape=box, style="rounded,filled"];
edge [fontname="sans-serif"];
server_a [label="서버 A\n(Mastodon)", fillcolor="#AED6F1"];
server_b [label="서버 B\n(Hackers' Pub)", fillcolor="#A3E4D7"];
server_a -> server_b [label="ActivityStreams 데이터 전송\n(HTTP POST)", color="red"];
server_b -> server_a [label="응답 및 상호작용\n(HTTP POST)", color="blue"];
}
```
참고로 Graphviz는 긴 게시글 뿐만 아니라 단문에서도 똑같이 지원합니다.
와우 카테고리 이론 공부하고있는 내용들을 공유하고 싶었는데 딱 좋네요
와우 카테고리 이론 공부하고있는 내용들을 공유하고 싶었는데 딱 좋네요
@bglbgl gwyng 감사합니다! 많이 써 주세요!!
나는 모나드를 설명하기가 어려운게 그냥 대부분의 언어에서 (HKT의 부재로) Monad
를 정의를 못해서라고 생각한다.
Haskell에 대한 경험이 없는 친구들한테 모나드를 설명하면 잘 알아듣는다. 근데 끝나고 그게 그럼 클래스냐 디자인 패턴이냐 이런 질문이 이어진다.
자기가 쓰고있는 언어에서 어떻게 쓸수있는지를 묻는셈인데, 여기서 '굳이 따지면 디자인패턴 같은거다' 라고하면 실망하는게 느껴졌다.
같은 이유로, Haskell 사용자에게 카테고리 이론의 유용함을 설명하고싶다면 Category
인스턴스의 활용부터 시작하는게 맞다고 생각한다.
@bglbgl gwyng 너무 동감하는 말씀입니다!
나는 모나드를 설명하기가 어려운게 그냥 대부분의 언어에서 (HKT의 부재로) Monad
를 정의를 못해서라고 생각한다.
Haskell에 대한 경험이 없는 친구들한테 모나드를 설명하면 잘 알아듣는다. 근데 끝나고 그게 그럼 클래스냐 디자인 패턴이냐 이런 질문이 이어진다.
자기가 쓰고있는 언어에서 어떻게 쓸수있는지를 묻는셈인데, 여기서 '굳이 따지면 디자인패턴 같은거다' 라고하면 실망하는게 느껴졌다.
같은 이유로, Haskell 사용자에게 카테고리 이론의 유용함을 설명하고싶다면 Category
인스턴스의 활용부터 시작하는게 맞다고 생각한다.
.ssh/config
파일에 ProxyJump 설정을 이용하면 배스천 서버가 있을 때에도 한 방에 접속할 수 있다는 걸 처음 알았다.
@noellaboのえる 韓国語訳では
Note
を「短文」と、Article
を「揭示文」と訳し、日本語訳ではNote
を「投稿」と、Article
を「記事」と訳しています。日本語でもNote
を「短文」にした方が良いでしょうか?
@hongminhee洪 民憙 (Hong Minhee) 言葉の選択が与える影響が大きそうですね。ちょっと考えてみます。
こちらの短文が『投稿』にあたるんだね。
@noellaboのえる 韓国語訳では
Note
を「短文」と、Article
を「揭示文」と訳し、日本語訳ではNote
を「投稿」と、Article
を「記事」と訳しています。日本語でもNote
を「短文」にした方が良いでしょうか?
今ねー、ようやくhackers.pubの様子を見に来たところだよ
こちらの短文が『投稿』にあたるんだね。
今ねー、ようやくhackers.pubの様子を見に来たところだよ
@noellaboのえる Hackers' Pubへようこそ!
今ねー、ようやくhackers.pubの様子を見に来たところだよ
참고로 Hackers' Pub에서는 Markdown 안에서 <kbd>
태그를 쓸 수 있습니다. 그리고 <kbd>
태그를 쓰면 이런 식으로 보이게 됩니다: Alt.
@hongminhee洪 民憙 (Hong Minhee) 마우스 드래그와 우클릭으로 복사/붙여넣기 하는 경우가 윈도에서는 일반적이고,
붙여넣기의 경우는 시프트-인서트가 대체 조합으로 사용되긴 합니다 ^^;
@ysh염산하 아, 그렇군요! Insert 키가 없는 키보드를 오래 써와서 그런가, Shift-Insert로도 되는 줄 몰랐어요. 알려주셔서 고맙습니다! 🙇🏻♂️
Has anyone made a spreadsheet of all the fediverse projects that have received @nlnet funding that can be sorted by when they received it?
지금은 Hackers' Pub 타임라인을 불러올 때 매번 복잡한 조건의 질의를 날리고 있는데, 이것도 조만간 고치긴 해야할 것 같다. 데이터가 조금만 많아져도 감당이 안 될 듯. 일반적으로 타임라인 구현하는 것처럼 인박스 기반 설계로 바꿔야지. (Hollo도 처음에는 실시간 질의를 했다가 나중에 감당 안 되어서 인박스 기반 설계로 바꾼 바 있음.)
Sad to say NGI Zero didn't accept my grant request for #GoActivityPub.
I am a bit disappointed if I'm honest. I hoped that a library that threads new ground for developers for both client and servers applications would have fit their criteria very well. I might not have made the case well enough I guess.
Hackers' Pub에서 DOT 언어(Graphviz)로 다이어그램 그리기

洪 民憙 (Hong Minhee) @hongminhee@hackers.pub
Hackers' Pub의 숨겨진 기능 중 하나는 Graphviz의 DOT 언어를 지원한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다이어그램을 그릴 수 있습니다:
SimpleActivityPub server_a 서버 A (Mastodon) server_b 서버 B (Hackers' Pub) server_a->server_b ActivityStreams 데이터 전송 (HTTP POST) server_b->server_a 응답 및 상호작용 (HTTP POST)Graphviz를 이용하는 법은 간단합니다. Markdown의 코드 블럭 문법 안에 DOT 언어로 다이어그램을 기술하신 뒤, 코드 블럭의 언어 태그에 graphviz
를 붙이시면 됩니다. 위에서 예를 든 다이어그램은 Markdown에서 아래와 같이 쓰면 됩니다:
```graphviz
digraph SimpleActivityPub {
graph [rankdir=LR, fontname="sans-serif", bgcolor="white"];
node [fontname="sans-serif", shape=box, style="rounded,filled"];
edge [fontname="sans-serif"];
server_a [label="서버 A\n(Mastodon)", fillcolor="#AED6F1"];
server_b [label="서버 B\n(Hackers' Pub)", fillcolor="#A3E4D7"];
server_a -> server_b [label="ActivityStreams 데이터 전송\n(HTTP POST)", color="red"];
server_b -> server_a [label="응답 및 상호작용\n(HTTP POST)", color="blue"];
}
```
참고로 Graphviz는 긴 게시글 뿐만 아니라 단문에서도 똑같이 지원합니다.
Apple Pay 백엔드에 티머니 서포트가 들어갔다는 것 같다. 이제 Apple과 티머니가 協商만 잘 하면 될 듯…
Listening to this really wonderful #FutureOfCoding podcast episode called "A Case for Feminism in Programming Language Design by Felienne Hermans"
https://futureofcoding.org/episodes/075 (by @TodePondLu wilson,
@jimmyhmillerJimmy Miller and
@spiralganglionIvan Reese)
@hongminhee洪 民憙 (Hong Minhee) 저도 스레드 계정 팔로잉하고 있는 분이 계신데, 그 분 이미지 (4장)도 안나오네요.
@arkjunJuntai Park 고쳤습니다. 이제 잘 보일 거예요!
음, Threads에서 올라온 글에 첨부된 이미지는 Hackers' Pub에서 안 보이는 것 같다. 왜 그러지…
Threads는 첨부된 Image
객체에 mediaType
속성을 안 채워주는구나.
음, Threads에서 올라온 글에 첨부된 이미지는 Hackers' Pub에서 안 보이는 것 같다. 왜 그러지…
@arkjunJuntai Park 이렇게 탭을 하나 더 추가해 보았습니다. 어떤가요?
@hongminhee洪 民憙 (Hong Minhee) Hackers'Pub 의 사용자 단문페이지에서 답글로 단 단문말고 사용자가 직접 올린 단문만 볼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arkjunJuntai Park 아직 없는데 탭을 하나 더 추가해 보겠습니다!
送れるようにするのはmfm.jsをいじらないといけなくって面倒なのでパースだけ……
tableタグパースできるようにするか…?
@esurio1673Esurio 先ずMFMにテーブル機能を追加する必要が有りそうですね。🤔
tableタグパースできるようにするか…?
미스키에선 이렇게 보여요
아마 主要 ActivityPub 具顯들 中에서 表를 支援하는 건 Hackers' Pub이 처음일지도…!?
https://hackers.pub/@hongminhee/01959474-3056-76e6-a6df-d4676c1fd19e
多分、主要なActivityPubの実装の中でテーブルをサポートするのはHackers' Pubが初めてかも…!?
https://hackers.pub/@hongminhee/01959474-8a9b-7964-bed4-1d946b6a83e8
아마 主要 ActivityPub 具顯들 中에서 表를 支援하는 건 Hackers' Pub이 처음일지도…!?
https://hackers.pub/@hongminhee/01959474-3056-76e6-a6df-d4676c1fd19e
@hongminhee洪 民憙 (Hong Minhee) 좋습니다. 단문이라 하니 더 명확하네요. 👍 다른 질문이지만, 혹시 언어변경은 어디서 가능할까요?
@arkjunJuntai Park 아직은 따로 설정 기능이 없어서 브라우저 설정을 바꾸셔야 합니다… 😅 이것도 조만간 고칠 예정이예요.
Hackers' Pub의 UI에서 쓰이는 용어를 조금 수정했습니다. “노트”라고 쓰던 것은 “단문”으로, 긴 글을 뜻하던 “게시물”은 “게시글”로, 둘을 아울러서 “콘텐츠”라고 부르게 했습니다.
영어 | 일본어 | 한국어 |
---|---|---|
Notes | 投稿 | 단문 |
Articles | 記事 | 게시글 |
Posts | コンテンツ | 콘텐츠 |
Hackers' PubのUIで使われる用語を少し修正しました。「投稿」という言葉を短い投稿を指す時も、短い投稿と記事を合わせて呼ぶ時も使っていましたが、今は「投稿」は短い投稿だけを意味し、短い投稿と記事を合わせて呼ぶ時は「コンテンツ」という言葉を使います。
英語 | 日本語 | 韓国語 |
---|---|---|
Notes | 投稿 | 단문 |
Articles | 記事 | 게시글 |
Posts | コンテンツ | 콘텐츠 |
Hackers' Pub의 UI에서 쓰이는 용어를 조금 수정했습니다. “노트”라고 쓰던 것은 “단문”으로, 긴 글을 뜻하던 “게시물”은 “게시글”로, 둘을 아울러서 “콘텐츠”라고 부르게 했습니다.
영어 | 일본어 | 한국어 |
---|---|---|
Notes | 投稿 | 단문 |
Articles | 記事 | 게시글 |
Posts | コンテンツ | 콘텐츠 |
Oh I can see the both posts now. There is just a lag. but markdowns are not working in vivaldi.social because there's on function to render it. OK. I understand. This platform seems good when I want to post something about engineering or longer stuff with markdown.
@tatmius If you want to write a longer article in Hackers' Pub, try the top-right button with a pencil icon!
@tatmius You can look up the permalink of your post from your another fedi account!
めっちゃ上手い事行ったわ。syntax highlightも使えるやーん
@hongminhee洪 民憙 (Hong Minhee) 감사합니다. 🙏 마크다운 포맷이라, 미리보기 기능도 있으면 좋겠습니다. 도움 없이 바라는 게 많은 테스터라서 미안합니다. 😆
@arkjunJuntai Park 아닙니다, 지금처럼 써주시는 것만으로도 큰 도움이 됩니다! 고맙습니다!
@piuslee양고기 양고기 님, 어서오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