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z9mb1 테스트로 그림 두 개를 올렸는데 해당 핸들 계정에 안뜰 때는 어ㄸㅓㅎ게 하면 되나요

洪 民憙 (Hong Minhee)
@hongminhee@hackers.pub · 854 following · 606 followers
Hi, I'm who's behind Fedify, Hollo, BotKit, and this website, Hackers' Pub! My main account is at @hongminhee洪 民憙 (Hong Minhee).
Fedify, Hollo, BotKit, 그리고 보고 계신 이 사이트 Hackers' Pub을 만들고 있습니다. 제 메인 계정은: @hongminhee洪 民憙 (Hong Minhee).
Fedify、Hollo、BotKit、そしてこのサイト、Hackers' Pubを作っています。私のメインアカウントは「@hongminhee洪 民憙 (Hong Minhee)」に。
Website
- hongminhee.org
GitHub
- @dahlia
Hollo
- @hongminhee@hollo.social
DEV
- @hongminhee
velog
- @hongminhee
Qiita
- @hongminhee
Zenn
- @hongminhee
Matrix
- @hongminhee:matrix.org
X
- @hongminhee
오이카페에 ActivityPub 지원이 들어갔습니다. 이제 좋아하는 작가나 커뮤니티의 새 그림을 연합우주에서도 받아 보세요!
작가 프로필이나 커뮤니티 메인 페이지에서 ActivityPub 핸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인용된 그림은 ActivityPub 연동을 도와주신 @hongminhee洪 民憙 (Hong Minhee) 님이 오이카페 초창기에 그려 주신 고양이 그림입니다. 감사합니다!
I added ActivityPub support to Oeee Cafe, which is a safe-for-work Oekaki-style drawing board.
You can view the handles for artists or communities you like in the profile or the community main page. Subscribe and get new artwork right in your Fediverse timeline!
Special thanks to @hongminhee洪 民憙 (Hong Minhee) who helped me implement ActivityPub. Quoted is his drawing in the early days of Oeee Cafe.
오이카페에 ActivityPub 지원이 들어갔습니다. 이제 좋아하는 작가나 커뮤니티의 새 그림을 연합우주에서도 받아 보세요!
작가 프로필이나 커뮤니티 메인 페이지에서 ActivityPub 핸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인용된 그림은 ActivityPub 연동을 도와주신 @hongminhee洪 民憙 (Hong Minhee) 님이 오이카페 초창기에 그려 주신 고양이 그림입니다. 감사합니다!
언제나처럼 기능별로 작성하고 각자 확인하고 붙이니까... 짜잔... 동작하지 않습니다
Hackers' Pub은 현재 Fresh 프레임워크로 만들어져 있는데, Fresh 프레임워크의 한계를 벗어나기 위해 GraphQL + SolidStart 스택으로 넘어가는 작업(web-next)을 진행중입니다. 진행 상황을 관리하기 위해 에픽 이슈를 만들었습니다.
비즈니스 로직을 잘 구현한다는게 무슨 의미인가요?
@z9mb1wwj 예를 들어 X를 만든다고 하면, 글이 올라가는 것, 글을 재게시할 수 있는 것, 글이 타임라인에 보이는 것 등이 비즈니스 로직이고, 그 외에 HTTP 요청을 어떻게 주고 받을지, 빌드를 어떻게 할지, 데이터를 어디에 어떻게 저장할지 같은 건 비즈니스 로직이 아니예요.
코딩테스트 준비 뭐부터 하면 되나요?
- 이러면누가알려주겠지
홈 서버로 맥 미니가 좋은 이유… 를 이야기하기엔 작은 LLM을 손 쉽게 돌릴 수 있다거나 여러가지가 있는데 제일 좋은 이유는 하드웨어 가속 동영상 트랜스코딩이라고 생각한다.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인 Jellyfin은 트랜스코딩에서 엔비디아의 NVENC, 인텔의 QSV, AMD AMF, 애플의 Video Toolbox를 비롯한 여러 하드웨어 가속 기술을 지원하는데 대부분 홈 서버에선 내장 GPU를 쓰거나 고성능 GPU를 넣지 않는다는걸 생각하면 맥 미니만한 선택지가 없다.
Jellyfin은 Apple Video Toolbox 가속은 당연히 macOS에서만 지원된다 이야기하지만 전에 맥 스튜디오를 쓸 때 찾아보니 ssh를 통해 macOS 호스트의 ffmpeg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어서 이걸 활용해서 해결했고 이 때 참고한 글을 안 남겨두면 나중에 까먹을 것 같아서 기록차 공유한다.
https://oliverbley.github.io/posts/2022-12-27-jellyfin-in-docker-hardware-acceleration-on-macos/
systemd와 bash를 이용해서 재부팅 시 현재 저장소가 최신이면 빌드를 생략하고 아니면 빌드를 하도록 한 다음 실행되도록 스크립트를 짰습니다. 나름 배포 파이프 라인을 구성해본건데 이게 베스트 프랙티스인지는 확신이 안서네요.
사실 작성은 claude가 거의 다 했죠. 특히 systemd 설정은요. https://claude.ai/share/124ada60-168e-4c01-ad64-74bc67de6e54
나도 오이카페(https://oeee.cafe)에 그림 올려봤다
한 번 쫙 읽어보니까 위상이 어케 머신러닝에 쓰이는지 느낌은 알 것 같다 Q. 어케 쓰이는데요? A. 위상이 구멍 세는 학문인 거 아시죠? 구멍 없으면 1이고 하나 있으면 0이고 두 개면 8로 구분한대요.
그니까 수학 석사를 따면 AI한테 구녕 세는 방법을 알려줄 수 있음
마이크로소프트는 뭘까... 코파일럿은 뭘까...
남는 노트북에 NixOS 설치하고 tailscaled 깔았다. 노트북 덮개를 덮어도 절전 모드가 되지 않게 설정하려고 삽질을 조금 했는데 결론은 다음과 같이 하면 된다.
먼저 /etc/nixos/configuation.nix
에 다음과 같은 내용을 적는다.
services.logind.extraConfig = ''
HandleLidSwitch=ignore
HandleLidSwitchExternalPower=ignore
HandleLidSwitchDocked=ignore
IdleAction=ignore
IdleActionSec=0
'';
터미널에 다음과 같이 입력한다.
sudo nixos-rebuild switch
sudo systemctl restart systemd-logind
고작 노트북 한 대인데 전기비 많이 나오진 않겠지?
내가 누구???? >> Zed랑 Neovim이랑 같이 쓰는 사람 <<
지금 프로젝트를 개발하고 있는 환경에서는 Zed 쓰는게 궁합이 더 잘 맞기도 한데, Git 관련 유틸리티는 Neovim 쪽이 잘해줘서 여전히 애착이 가고 있다. Zed는 화면을 자유롭게 분할해서 한쪽 버퍼를 아예 터미널로 활용할 수 있는 것도 아니라서, Claude Code 띄우거나 등등등의 목적으로 터미널 옆에 띄워놓는건 불가피한 듯.
백엔드는 수제로 짜고, 프론트엔드는 바이브코딩(AI한테만 맡기는 진짜 바이브코딩임)으로 작업하고 있는데, 백엔드를 이렇게 만드니까 돌아가긴 하는구나 가설검증하기에는 괜찮은 듯. 코드 퀄리티? 그건 셀프호스팅 첫트해보고 나서 생각해봐야지 ㅋㅋ!!!!
Vim에 관심있는, 혹은 Vim을 사랑하는 여러분, 안녕하세요.
한국어권 Vim 사용자 모임 vim.kr입니다. 오늘은 vim.kr에서 공식적으로 주최하는 모임 소식을 전해드리려 합니다.
혹시 *빔교정학원 모임(vimrc)*을 들어보신 적 있으신가요? vimrc 밋업은 2019년과 2022년에 3년 간격으로 개최된 바 있는데, 2025년부터는 저희 vim.kr이 그 바통을 이어받아 공식적으로 진행하게 되었습니다.
지난 7월 2일, 기존 vimrc 밋업을 주최하셨던 박현우(lqez)님께 연락을 드렸고, 이어 7월 6일 첫 회의를 통해 vim.kr에서 본 행사를 이어가기로 확정하였습니다.
이번 vimrc 밋업은 이전과는 조금 다른 방식으로 준비되고 있습니다. 특정 연사자가 발표하는 자리가 아니라, 모든 참가자가 동등한 입장에서 자신이 Vim을 어떻게 활용하는지 경험과 노하우를 공유하는 자리를 지향합니다. 즉, 발표 중심의 형식보다 네트워킹과 상호 교류에 초점을 맞춘 밋업입니다.
행사 규모는 약 36명으로 계획 중이며, 일정은 11월 둘째 주에서 셋째 주 사이로 조율하고 있습니다. 현재 대관 장소도 검토 중이니, 혹시 행사 장소 후원에 관심 있는 분이 계시다면 연락 부탁드립니다.
행사 관련 최신 소식은 vim.kr 디스코드를 통해 안내드릴 예정입니다.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oeee.cafe에 새로운 커뮤니티를 열었습니다.
Deno로 만든 서버에서 SSRF 공격을 어떻게 막을 수 있을까 고민하다가, Deno에 --allow-net
과 함께 쓸 수 있는 --deny-net
옵션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대충 아래와 같이 쓰면 SSRF 공격을 기본적인 수준에서는 막을 수 있을 듯하다.
deno run \
--allow-net \
--deny-net=127.0.0.0/8,10.0.0.0/8,172.16.0.0/12,192.168.0.0/16,169.254.0.0/16,0.0.0.0/8,224.0.0.0/4,240.0.0.0/4,255.255.255.255,localhost,[::1],[::],[::ffff:0:0]/96,[fe80::]/10,[fc00::]/7 \
script.ts
@hongminhee洪 民憙 (Hong Minhee) Seonbi는 어디 있죠!ㅎㅎ
@curry박준규 앗… 그러네요. ㅋㅋㅋ 대충 이렇게 될 것 같습니다.
내가 만든 프로젝트끼리의 의존 관계 그래프를 그려봤다. 자급자족하는 개발…
@hongminhee洪 民憙 (Hong Minhee) Seonbi는 어디 있죠!ㅎㅎ
Cutter에 배열 시스템을 도입했다. 사실 Map에 더 가깝지만...
@hongminhee洪 民憙 (Hong Minhee) 저도 그렇게 하고 keepingyouawake까지 깔아서 해봤는데 이상하게 자고 일어나서 맥 미니 살펴보면 슬립 모드가 되어 있더라구요... 뭔 문제인지 모르겠어요 이럴땐 그냥 밀어버리는게 답일 거 같긴 한데..
@akastoot악하 헛… 그렇군요… 왜 그럴까요… 🤔
자꾸 집의 맥 미니가 슬립 모드로 들어가는 이상현상... 그냥 밀어버릴까
@akastoot악하 저는 전원 설정에서 잠들지 않게 설정했더니 계속 켜져 있던데…
친구가 추천해줘서 데싸+위상 블로그 읽고 있는데 범주론 나옴 범주론아시는구나겁.나.모.나.딕.합.니.다.
https://velog.io/@shlee0125/TDA의-기초-03.-2-Persistent-homology
Hong Minhee Universe
어제 오늘 내가 쓰려고 apache/iggy 헬름차트의 자잘한 이슈들을 고쳤다! https://github.com/apache/iggy/pull/2126 https://github.com/apache/iggy/pull/2128
개인적으로 아치 리눅스는 커널 버그 몇 번 맞고서 안 쓰는데, 인기 있는 거 보면 재미있음. 설치, 운용이 재미있긴 한데. ㅎㅎㅎ;
만약 페디버스가 지금보다 훨씬 활성화되어서, 사람들이 커스터마이징된 개성있는 인스턴스를 갖게 되면, 그게 UX의 측면에서 정말로 좋을까요? 가령, 트위터를 하는데 사용자마다 UI가 다르다고 상상해보세요.
사실 저는 크게 부정적이진 않는데(좋은 쪽으로 개성있을수도 있으니까), 그런 상황이 머릿속에서 아주 잘 시뮬레이션 되지 않네요. 어떨거 같나요?
@bglbgl gwyng 좋냐 아니냐 이전에 현실적으로 그 정도로 분화될 것 같지 않기는 해요… ㅋㅋㅋ
만약 페디버스가 지금보다 훨씬 활성화되어서, 사람들이 커스터마이징된 개성있는 인스턴스를 갖게 되면, 그게 UX의 측면에서 정말로 좋을까요? 가령, 트위터를 하는데 사용자마다 UI가 다르다고 상상해보세요.
사실 저는 크게 부정적이진 않는데(좋은 쪽으로 개성있을수도 있으니까), 그런 상황이 머릿속에서 아주 잘 시뮬레이션 되지 않네요. 어떨거 같나요?
옳게 된 오픈소스 생태계
요즘은 pothos-drizzle 쓸만한가...? 라는 내용을 해커스펍에 썼더니 갑자기 500으로 맞았다 이건 쓰지 말란 뜻일까...?
요즘은 pothos-drizzle 쓸만한가...? 라는 내용을 해커스펍에 썼더니 갑자기 500으로 맞았다 이건 쓰지 말란 뜻일까...?
@robin 500 오류 난 서버는 GraphQL 없이 Fresh로 만들었습니다… 😂
킵올빌런님... 잊지 않겠습니다..
LLM이 말아주는 코드는 이것저것 고민하면서 수제로 코딩하는 노가다를 줄여주는 역할을 하지만, 인터페이스 짜는 것 정도는 사람이 해줘야 하는듯. 인터페이스만 잘 만들어놓고 그거 가지고 알아서 조립하라하니까 그럴싸하게 조립은 잘해줌
@kodingwarriorJaeyeol Lee 저도 그렇게 하는 것 같아요.
LLM이 말아주는 코드는 이것저것 고민하면서 수제로 코딩하는 노가다를 줄여주는 역할을 하지만, 인터페이스 짜는 것 정도는 사람이 해줘야 하는듯. 인터페이스만 잘 만들어놓고 그거 가지고 알아서 조립하라하니까 그럴싸하게 조립은 잘해줌
@hongminhee洪 民憙 (Hong Minhee) 발표 하시고 마지막에 트위터 킵올빌런 계정 바로 비활성화(삭제)까지 하셨어요
킵올빌런 은퇴식 퍼포먼스 대박이다
킵올빌런 은퇴식 퍼포먼스 대박이다
요즘에는 그런 요구는 잘 없는 것 같았는데, 예전에는 의외로 디자이너가 저런 요구를 하는 경우가 더러 있었습니다. 아이디가 표시되는 화면의 너비에 한계를 정해두기 위해서요.
NestJS로 포폴쌓으려고 했는데, NestJS 특유의 이상한 동작때문에 억까당함
민희님 덕분에 한 사이클 돌게는 했다......... 내가 만들어놓은 구현도 이상했던거임...
FEConf 갈걸ㅠㅠㅠㅠ
# Ask Hackers Pub : 이번 주말에 뭐 하시나요?
이번 주말에 뭘 하려고 계획 중인지 편하게 얘기해 보아요.
읽을 책, 가볼 곳, 해볼 것.. 어떤 것이든 좋습니다.
도움 요청이나 피드백 요청도 좋습니다.
물론! 아무것도 하지 않고 쉬는 것도 훌륭합니다.
* 지난 주말에 계획하셨던 일의 회고도 한 번 남겨보면 좋을 것 같아요.
@botHackersPub Ask Bot conal 리팩토링하고 문서만들기!!!
NestJS로 포폴쌓으려고 했는데, NestJS 특유의 이상한 동작때문에 억까당함
내가 만든 프로젝트끼리의 의존 관계 그래프를 그려봤다. 자급자족하는 개발…
- Fedify에 이슈 만들기 (이른바 “뉴딜 정책”…)
- LLM을 이용하여 GitHub Issues에 레이블과 마일스톤 설정을 자동으로 해주는 Issues Auto-Labeler 프로젝트 마무리
새로 세팅된 TF가 두 달동안 UT 252개 & coverage 90%. agent 사용은 자유로우나 full agent code를 하진 않음. 그래도 코어 아키텍처가 안깨질것이란 믿음이 있고 전반적인 플젝 이해도와 제어권이 관리 가능한 선이 유지되고 있다는 팀 컨센서스가 있어서인지 iteration 회고 때 만족도가 높다.
그리고 제어 가능한 선에서 사람들이 딱히 시키지 않아도 특정 파트에 대해 full agent coding 을 할 용기(?) 를 내며 알아서 실험들 시도. 팀에서의 core practice 를 unit test 와 review (10-4시 집중근무 시간 뒤 1시간이 매일 팀 리뷰 시간) 를 정착시킨게 긍정적인 결과가 이끌어진듯.
오늘 할 것
- vimrc 모임 열리긴 한다고 공지하기
- vimrc 장소 후원 모집하기
- nestjs 프로젝트 진짜진짜 federation 잘 동작하는지 사이클 확인해보기
- Hackers Public @ Seoul 모집 포스터 만들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