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file img

Hi, I'm who's behind Fedify, Hollo, BotKit, and this website, Hackers' Pub! My main account is at @hongminhee洪 民憙 (Hong Minhee) :nonbinary:.

Fedify, Hollo, BotKit, 그리고 보고 계신 이 사이트 Hackers' Pub을 만들고 있습니다. 제 메인 계정은: @hongminhee洪 民憙 (Hong Minhee) :nonbinary:.

FedifyHolloBotKit、そしてこのサイト、Hackers' Pubを作っています。私のメインアカウントは「@hongminhee洪 民憙 (Hong Minhee) :nonbinary:」に。

Website
hongminhee.org
GitHub
@dahlia
Hollo
@hongminhee@hollo.social
DEV
@hongminhee
velog
@hongminhee
Qiita
@hongminhee
Zenn
@hongminhee
Matrix
@hongminhee:matrix.org
X
@hongminhee
5
1
4
0
1
1
3
7
1
1

@hongminhee洪 民憙 (Hong Minhee) 님의 추천으로 클로드 코드를 쓰고나서 결국 커서 구독을 해지했다. 깃헙 코파일럿의 에이전트보다도 커서의 에이전트가 플래닝을 못한다는건 알고 있었는데, 클로드 코드는 그것보다 몇단계는 더 잘한다는 느낌이다. 그렇다보니 점점 탭 컴플리션을 안쓰게 되어서, 코드로 충분하다는 생각.

2

디코 킬 때 마다 뭔가 자꾸 업데이트 되는 거는 업데이트를 체킹하는 걸까 아니면 진짜로 잠수함 패치 포함 업데이트를 자주 해서 그런 걸까 그것도 아니면 내가 그냥 맥을 가끔 가다가 재부팅 해서 그런 걸까?

1

이제 자바 메인을 이렇게 써도 된다니 놀랍군요

void main() {  
    var name = IO.readln("What is your name? ");  
    IO.println("Hello, " + name);  
}  
5
4
1
0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는 죽었다
------------------------------
- 이제 Java의 첫 번째 프로그램은 더 이상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로 시작하지 않고, 단순화된 *void main()* 문법으로 작성 가능해짐
- 새로운 문법에서는 *IO.readln* 과 *IO.println* 같은 간단한 호출만으로 입출력을 처리할 수 있어 코드가 훨씬 직관적으로 바뀜
- 기존의 *new Sc…
------------------------------
https://news.hada.io/topic?id=23138&utm_source=googlechat&utm_medium=bot&utm_campaign=1834

4
2
4
1
2

洪 民憙 (Hong Minhee) shared the below article:

Mobile Attribution in The Privacy-First Era

01010011 @01010011@hackers.pub

이 글은 개인 정보 보호가 강화되는 시대에 모바일 어트리뷰션 획득 방식이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 설명합니다. 과거에는 IDFA, GAID와 같은 광고 식별자를 통해 정확한 측정이 가능했지만, 이제는 Apple의 SKAdNetwork(SKAN)와 Google의 Privacy Sandbox와 같은 개인 정보 보호 프레임워크를 통해 확률론적으로 어트리뷰션을 획득해야 합니다. SKAN은 Apple이 데이터 측정의 심판 역할을 하며 제한된 정보(Conversion Value)만 제공하는 반면, Privacy Sandbox는 광고 생태계 참여자들이 자체적인 프라이버시 보호 솔루션을 구축할 수 있도록 빌딩 블록을 제공합니다. 특히 Privacy Sandbox는 사용자 디바이스 안에서 Ad Network 정보와 매칭되는 어트리뷰션을 생성하고, Attribution Reporting API(ARA)를 통해 익명화된 리포트를 수집합니다. Ad Tech 기업들은 암호화된 리포트를 받아 클라우드 보안 환경(TEE)에 Aggregation Service를 구축하고 운영하여 데이터를 처리해야 합니다. 이 글을 통해 독자는 개인 정보 보호 시대에 모바일 어트리뷰션을 어떻게 획득하고 활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습니다.

Read more →
2
8
1
1
1
5
3
3
1
1
3
2
3
6
1
3
2
9

갑자기 불현듯 하이텔이나 나우누리 같은 옛날 PC통신이 떠올라서 난 한 번도 그 시절을 겪어본 적이 없었는데 어떤 느낌일까 싶어서 해보고 싶어가지고 검색 해봤는데 생각보다 쉽게 사설 BBS를 접속하는 프로그램을 찾아내서 탐방했음. 미국은 사설 BBS가 아직 명맥을 이어가는 것 같은데 국내 거는 사실상 멸종한 것 같다...여튼 하니깐 어릴 때 친구네집 펜티엄 컴퓨터 갖고 스치듯 했던 MS-DOS 갬성이 엄청 느껴져서 하는 내내 헤벌레 미소 지으면서 했다 ㅋㅋㅋ 나갈 때 작별인사 페이지도 따로 있어서 살짝 감동 먹음 🥹

참고로 사용한 프로그램은 MuffinTerm이고 애플 계열 기기에서 돌아간다 (아이패드 포함). 접속한 BBS는 8bit-boyz라는 미국 레트로 컴퓨팅 커뮤니티다.

8bit-boyz BBS 접속 사진
7

대학원 다닐 때 썼던 학술용 개인홈피 몇 주 전에 싹 다 뒤엎고 맘에 드는 블로그 테마 하나 포크해서 다시 만들고 있는데 포크한 리포가 Astro 프레임워크랑 타입스크립트로 쓰인 거다. 근데 난 자바/타입스크립트 둘 다 제대로 써보기는 커녕 강의도 들어본 적이 없어서 포스트도 하나 테스트로 쓸 겸 로컬 호스트로 띄워놓고 파일들 이것 저것 하나하나 건들면서 깨부하는 중...어차피 맛이 가도 나한테만 맛이 가니깐(??) 맘 편하게 하고 있다. 어릴 때 게임 파일 소스 코드나 .config 파일 갖고 이것저것 뜯어보는 느낌이 들어서 재밌음 ㅋㅋ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