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file img

Hi, I'm who's behind Fedify, Hollo, BotKit, and this website, Hackers' Pub! My main account is at @hongminhee洪 民憙 (Hong Minhee) :nonbinary:.

Fedify, Hollo, BotKit, 그리고 보고 계신 이 사이트 Hackers' Pub을 만들고 있습니다. 제 메인 계정은: @hongminhee洪 民憙 (Hong Minhee) :nonbinary:.

FedifyHolloBotKit、そしてこのサイト、Hackers' Pubを作っています。私のメインアカウントは「@hongminhee洪 民憙 (Hong Minhee) :nonbinary:」に。

Website
hongminhee.org
GitHub
@dahlia
Hollo
@hongminhee@hollo.social
DEV
@hongminhee
velog
@hongminhee
Qiita
@hongminhee
Zenn
@hongminhee
Matrix
@hongminhee:matrix.org
X
@hongminhee
1

비슷한 문장도 비슷한 증상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번역 요청한 다른 문장:

I know no fewer than seven people who simply ceased to exist.

응답 일부:

🔹 자연스러운 의역

> 나는 아무 이유도 없이 사라져 버린 사람이 일곱 명이나 있다.
또는
나는 sp그냥 흔적도 없이 사라져 버린 사람을 일곱 명이나 안다.
1
2
3

Tailscale을 비롯한 Wireshark 기반의 VPN 도구를 이번에 처음 접하게 되면서 "신세계"를 맛보고 있습니다.

저는 다양한 개발 환경을 테스트하고 학습하는 것을 선호하다보니 계속해서 여러 종류의 노트북이나 PC를 구입해서 사용해왔습니다. 그러다보니 관리 문제도 있고, 어딘가로 여행을 가거나 떠나야 할 일이 생기면 어떤 디바이스를 챙겨 가야 하는지가 상당한 고민이 되곤 했습니다.

그렇지만 인터넷만 붙어있으면 어디서든 동일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는 것처럼 일관된 환경을 만들 수 있고, 모든 네트워크 송수신 트래픽이 암호화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속도까지 빠르니 더할 나위 없이 좋습니다.

제 경우는 그래서, Surface Pro 8, Surface Laptop 7, GPU 달린 Intel 랩탑, 라즈베리 파이 4, 맥북, 아이폰, 아이패드, Azure VM, WSL 2 환경까지 매우 많은 디바이스와 가상 머신을 전부 단일 네트워크 환경에 붙여서 자유롭게 사용하고 있습니다.

만약 노트북과 데스크톱, NAS 등의 디바이스를 동시에 붙여서 사용해야 하는 것이 고민이라면 Wireshark나 Tailscale을 꼭 살펴보실 것을 권해드리고 싶습니다. 👍

5
5

Tailscale을 비롯한 Wireshark 기반의 VPN 도구를 이번에 처음 접하게 되면서 "신세계"를 맛보고 있습니다.

저는 다양한 개발 환경을 테스트하고 학습하는 것을 선호하다보니 계속해서 여러 종류의 노트북이나 PC를 구입해서 사용해왔습니다. 그러다보니 관리 문제도 있고, 어딘가로 여행을 가거나 떠나야 할 일이 생기면 어떤 디바이스를 챙겨 가야 하는지가 상당한 고민이 되곤 했습니다.

그렇지만 인터넷만 붙어있으면 어디서든 동일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는 것처럼 일관된 환경을 만들 수 있고, 모든 네트워크 송수신 트래픽이 암호화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속도까지 빠르니 더할 나위 없이 좋습니다.

제 경우는 그래서, Surface Pro 8, Surface Laptop 7, GPU 달린 Intel 랩탑, 라즈베리 파이 4, 맥북, 아이폰, 아이패드, Azure VM, WSL 2 환경까지 매우 많은 디바이스와 가상 머신을 전부 단일 네트워크 환경에 붙여서 자유롭게 사용하고 있습니다.

만약 노트북과 데스크톱, NAS 등의 디바이스를 동시에 붙여서 사용해야 하는 것이 고민이라면 Wireshark나 Tailscale을 꼭 살펴보실 것을 권해드리고 싶습니다. 👍

11
20
0

그젠가 Hashnode as Headless CMS 글 보고 Ampcode로 바이브 코딩 해봤습니다. 글 목록이랑 태그 목록은 물론, 글 보여주는 부분에서는 리액션도 보여주고 번역된 버전이 있다면 볼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https://moreal.github.io/hackerspub-astro-template/

Hackers' Pub 로컬 서버에 붙어서 빌드하고 수동으로 gh-pages에 배포했고, hackers.pub 에서 데이터를 가져다 쓰려면 올려놓은 GraphQL 관련 PR들이 반영되어야 합니다.

https://moreal.github.io/hackerspub-astro-template/posts/2025/article-c/ 의 스크린샷입니다. 마크다운 렌더링 테스트용 글이 적혀있습니다.
3
2
4
5

오늘의 Angel: 특정 환경에서 갑자기 database image is malformed 오류가 나고 에이전트 메시지가 제대로 저장되지 않는 기묘한 버그가 발생해서 식겁해서 한참 확인해 봤는데, 다행히도 데이터베이스가 깨진 건 아니었고(실제로 깨진 적이 있어서 이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었다) 특정한 상황에서 부하가 집중될 때 저런 오류가 발생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구체적으로는 에이전트 메시지가 부분적으로 들어 올 때마다 데이터베이스 변경이 일어나는데, 최근에 검색을 위해 해당 테이블의 변경 때마다 FTS5 인덱스 테이블 두 개를 갱신하도록 트리거를 걸어 놓았는데 이게 화근이었던 것 같다. (초당 수십회 UPDATE + 트리거에서 UPDATE 하나당 DELETE/INSERT 각 2회 = 초당 ~500회 갱신!) 결국 트리거를 버리고 수동 처리하는 것으로 전환했다. 진작 이렇게 할 걸...

3

예전 일이지만, Windows CI장비에서 수상하게도 git 작업이 타임아웃이 나는 문제가 있었다. 장비에 접속해서 확인해보니 false.exe가 영-원히 켜져 있는 상태로 멈춰 있었바. 아니... 그냥 exit code 설정하고 끝나는 프로그램이 왜...

대충 그동안의 경험으로 서버 장비라고 안그래도 gnu 싫어하는 백신이 더 심하게 하는가보다 싶었고, https://github.com/uutils/coreutils 에서 false를 빌드해다가 갈아치우니까 문제가 완전히 사라졌다.

진짜 뭐가 맘에 안들어서 그러는지 모르겠다...

1
5
1
1
2
9
1

아주 조악하긴 하지만 순수 C# 기반의 VNC 서버 초기 구현체를 만들어봤습니다. VNC 서버가 멀쩡히 있는데 왜 또 만들었냐하면, 대개 VNC 서버들이 GPL 라이선스나 상용 라이선스인 경우가 많아서 불만이었기 때문이었습니다.

Github Copilot + Anthropic Claude 4.5 + Visual Studio 2026으로 개발을 진행해봤습니다. 대개 VNC 서버들이 GPL 라이선스를 쓰고 있어서, 라이선스 전염같은 독소 조항이 없는 안전한 구현체도 필요하지 않겠는가 생각하여 1.5일 정도만에 뽑아내어본 결과물입니다.

추가로 이번에 작업해보면서 Code가 아닌 정식 IDE 기반으로 AI 코드 어시스턴트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사용법도 몇 가지 알게 된 것이 있습니다.

AI 코드 어시스턴트에게 stdout이나 stderr이 아닌 다른 채널 (System.Diagnostics)에 로그를 남기도록 지시하고, 그 로그만 따로 모아서 발생하는 문제에 대한 트러블슈팅을 부탁하는 식으로 VNC와 RDP의 복잡한 내부 구현을 다듬어가면서 완성할 수 있었습니다.

매우 실험적인 과정이었지만, 의외로 꽤 괜찮은 결과물이 나와서 공유해봅니다! 기회가 되면 계속 발전시켜보도록 하겠습니다.

https://forum.dotnetdev.kr/t/github-copilot-vs-2026-1-5-c-vnc/13886

1
0
2
0
1

My GitHub notifications now look like this every few days 😅

Random bots keep creating repos (not forked) and one of the commits mention me.

Original repo and commit here: github.com/matiassingers/aweso (Jan 2015) — I don't remember why I was mentioned 🤷‍♂️

No way to block/mute. I can't bother to report every single account and repo.

Screenshot of a list of repository entries with usernames and the message "Add karan/joe to list - thanks to @cheeaun" repeated for each notification entry.
2
2
4
5

Zed의 윈도 버전이 드디어 공식 출시되었다. https://zed.dev/blog/zed-for-windows-is-here

공식 버전 출시 전까지는 deevus/zed-windows-builds 저장소 것을 쓰고 있었는데, 2주 전부터 베타 신청한 사람들에게 클로즈 베타를 쓸 수 있도록 링크를 보내주더니 드디어 정식 출시가 되었다. Private alpha 때부터 가벼운 반응 빠른 텍스트 에디터로, 또 개인 프로젝트용으로 잘 사용하고 있던 터라 감개가 무량하다.

Rust로 만들어져 윈도에서도 가볍고 빠릿빠릿하며, LLM 에이전트나 WSL 지원도 물론 완벽히 잘 된다!

이제 arm64 윈도용 빌드도 내 줬으면 🥺

와우 코딩테스트 mock interview 했는데 개털림 ㅋㅋㅋ 심지어 풀었던 건데 못 풀고 난리도 아니었음...1) 누군가 내가 코드하는 걸 보고 있다 2) 그 코드하는 걸 내가 설명해야한다 3) 시간 제한이 있다 4) 여러가지 티키타카하면서 주고 받아야한다 이 4가지가 한꺼번에 팍 오니깐 와우 가장 기본적인 것들도 어버버버 하고 패닉와서 나 왤케 멍청하지 하면서 그냥 별 생각없이 풀 때랑은 차원이 다르다는 걸 깨달았습니다..

3

Zed의 윈도 버전이 드디어 공식 출시되었다. https://zed.dev/blog/zed-for-windows-is-here

공식 버전 출시 전까지는 deevus/zed-windows-builds 저장소 것을 쓰고 있었는데, 2주 전부터 베타 신청한 사람들에게 클로즈 베타를 쓸 수 있도록 링크를 보내주더니 드디어 정식 출시가 되었다. Private alpha 때부터 가벼운 반응 빠른 텍스트 에디터로, 또 개인 프로젝트용으로 잘 사용하고 있던 터라 감개가 무량하다.

Rust로 만들어져 윈도에서도 가볍고 빠릿빠릿하며, LLM 에이전트나 WSL 지원도 물론 완벽히 잘 된다!

이제 arm64 윈도용 빌드도 내 줬으면 🥺

3
6

函數型(함수형) 프로그래밍 컨퍼런스인 liftIO 2025參加(참가) 申請(신청)했다. Optique로 發表(발표)하려고 演士(연사)申請(신청)했는데 될지 모르겠네…

3
7
1

요새 코딩을 잘 못하구 간간히 리트코드나 풀고 있는데,

  • 리트코드를 웹에서 풀다가 불편해서
  • 리트코드를 로컬에서 편하게 풀고 싶어서 emacs 플러그인을 짜는데
  • emacs 플러그인을 편하게 짜고 싶어서 emacs 테스트 플러그인을 짜는 중...

https://github.com/nyeong/org-test/

3
4
2
1

So, these days, I'm always trying to find and follow the conf.d tradition. The rationale of this tradition looks like:

  • /etc/somepackage/somepackage.conf is where the default configuration is.
  • /etc/somepackage/conf.d/ is where the overrides are; this is where you put your user conf.

Normally somepackage.conf is managed by the package manager. When the package gets upgraded (shipping a new version of somepackage.conf), and there are local changes, the package manager will ask you: To overwrite with the maintainer's version or to keep yours.

This question is often difficult to answer, especially if you can't, for the life of you, remember what the heck that package is about. Even "show diff" sometimes fails to help. You have to resort to searching.

Keeping your confs under conf.d helps you avoid this altogether. It also helps you separate them, selectively include/exclude some of them to a system, and prioritize them (the 00-my.conf and 99-my.conf pattern).

But that makes me wonder: If all of my user conf will stay inside conf.d, why bother? Why have /etc/somepackage/somepackage.conf at all? Why is it under /etc anyway? Legacy. /etc/resolv.conf is the first example to come to mind. Different apps fight over the control of this file, so sometimes you encounter advice like sudo chattr +i to prevent any change. Absurd, but it works!

So today I briefly wondered if there's any ongoing effort or a new clever solution to address this. Well, there's NixOS which nullifies quite a bit of my point. I've always liked its idea since like 15 years ago. But is there anything else, anything new, for my existing (less exciting) systems?

…I asked ChatGPT 5-Thinking about this, and its answer was mostly expected. The only thing that amused me was the discovery of etckeeper. OK that looks interesting.

2

Hashnode 게시글을 불러오는 API를 기반으로 자기만의 정적 사이트 생성기 템플릿 굽는 분들이 계시길래, Hackers Pub도 이런게 되어야 하지 않나 싶었다. 실제로 graphql API를 까봤는데, 이론상으로 불가능하지는 않아서 도즈언 했는데 생각보다 잘 나온다..... Astro에다가 Hashnode API 연결한 예시를 베이스로 해서, hackerspub 버전으로 바꿔달라고 claude code한테 프롬프트 넣어줬더니 진짜 그냥 해줌.

HackersPub에서 제공하는 graphql API를 기반으로 정적 사이트를 구운 모습이다
8
1

Quick update on our release schedule! While we initially planned for Fedify 2.0 to follow version 1.9, we've decided to release Fedify 1.10 next instead. A few features originally slated for 1.9 need more time to mature, and we want to ensure Fedify 2.0 gets the careful attention it deserves for its breaking changes. This means you'll get incremental improvements sooner with 1.10—including our new RFC 6570 URI Template implementation for better expansion and pattern matching—while we continue preparing the more substantial architectural changes for 2.0 in parallel. Rest assured, this doesn't change our long-term roadmap; it just gives us more flexibility to deliver features when they're ready rather than holding them back for a major release.

1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