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eyeol Lee

@kodingwarrior@hackers.pub · 500 following · 394 followers

Neovim Super villain. 풀스택 엔지니어 내지는 프로덕트 엔지니어라고 스스로를 소개하지만 사실상 잡부를 담당하는 사람. CLI 도구를 만드는 것에 관심이 많습니다.

Hackers' Pub에서는 자발적으로 바이럴을 담당하고 있는 사람. Hackers' Pub의 무궁무진한 발전 가능성을 믿습니다.

그 외에도 개발자 커뮤니티 생태계에 다양한 시도들을 합니다. 지금은 https://vim.kr / https://fedidev.kr 디스코드 운영 중

Blog
kodingwarrior.github.io
mastodon
@kodingwarrior@silicon.moe
Github
@malkoG
0
0

CLI 도구 만드는거에 진심이어서 CLI 도구 만드는게 비즈니스 모델인 회사가, 이걸로만 누적 600만 달러 이상을 투자 받았는데, CLI 코딩 에이전트 시장에 뛰어들었다??? 이건 생태계 교란종임...

5

July has been a truly incredible month for LLM releases from China - Moonshot (Kimi K2), Z ai (GLM-4.5) and 5 new releases from Qwen

I think it's undeniable that the best available open weight models now come from the Chinese AI labs simonwillison.net/2025/Jul/30/

0
2
3
1
11
5
1

아니 이게 뭐야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2
4
3
0
0
3
1

🎉 Huge shoutout to @2chanhaeng이찬행 for implementing custom collection dispatchers in through the Korean program!

This incredible contribution adds support for creating arbitrary collections beyond the built-in ones (e.g., outbox, inbox, following, followers). Now developers can expose custom collections like user bookmarks, post categories, or any grouped content through the protocol:

federation
  .setCollectionDispatcher(
    "bookmarks",
    Article,
    "/users/{identifier}/bookmarks",
    async (ctx, values, cursor) => {
      const { posts, nextCursor } = await getBookmarkedPosts(values.identifier, cursor);
      return { items: posts, nextCursor };
    }
  )
  .setCounter(async (ctx, values) =>
    getBookmarkCount(values.identifier)
  );

The implementation is technically excellent with full support, both Collection and OrderedCollection types, cursor-based pagination, authorization predicates, and zero breaking changes. @2chanhaeng이찬행 delivered not just code but a complete feature with 313 lines of comprehensive documentation, practical examples, and thorough test coverage.

This opens up countless possibilities for ActivityPub applications built with Fedify. From user-specific collections to complex categorization systems, developers now have the flexibility to create any type of custom collection while maintaining full ActivityPub compliance.

Thank you @2chanhaeng이찬행 for this outstanding contribution and to the OSSCA program for fostering such excellent open source collaboration! 🚀

5
0
0
0

지난 한달간 열심히 개발한 실시간 퀴즈 사이트입니다. django, django drf, jwt 기반 인증, websocket, ticket으로 받아오는 jwt websocket 인증, celery, 등을 모두 사용한 예시이기도 합니다. 구경와주세요~

https://github.com/theeluwin/Qlickr

6
3

Terence Tao (@tao@mathstodon.xyz)

In the field of cybersecurity, a distinction is made between the "blue team" task of building a secure system, and the "red team" task of locating vulnerabilities in such systems. The blue team is more obviously necessary to create the desired product; but the red team is just as essential, given the damage that can result from deploying insecure systems. The nature of these teams mirror each other; mathematicians would call them "dual". The output of a blue team is only as strong as its weakest link: a security system that consists of a strong component and a weak component (e.g., a house with a securely locked door, but an open window) will be insecure (and in fact worse, because the strong component may convey a false sense of security). Dually, the contributions to a red team can often be additive: a red team report that contains both a serious vulnerability and a more trivial one is more useful than a report that only contains the serious issue, as it is valuable to have the blue team address both vulnerabilities. (But excessive low-quality reports can dilute attention from critical issues.) Because of this, unreliable contributors may be more useful in the "red team" side of a project than the "blue team" side, though the blue team can still accommodate such contributors provided that the red team is competent enough to catch almost all of the errors that the contributor to the blue team might make. Also, unreliable red team contributions only add value if they _augment_ the output of more reliable members of that team, rather than _replace_ that output, and if their output can be effectively filtered or triaged by more experienced red team members. (1/3)

mathstodon.xyz · Mathstodon

0
5
0
0
3
4
0

How to Solve it (어떻게 문제를 풀것인가 저자 G. Polya) 보니까 메타인지가 향상되는 느낌임

제대로 여러번 읽고 블로그에 리뷰를 써봐야겠지만.. 파인만 알고리즘 상세 해설한 느낌

문제 풀이 4단계 보면 이런 내용이 나옴

문제 이해

  • 모르는게 뭐야? 조건 만족되는거 있어? 조건은 충분해? 모순되는거 있나? 조건 분해 해봐. 그림 그려봐. 기호를 붙여봐

계획

  • 문제 본적 있어? 비슷한 문제 본적 있어? 본적 있으면 활용할 수 있을까?
  • 모르는거 살펴보자. 부분적으로 풀어볼수 있나? 비슷하면서 쉬운 문제는? 유사한 문제는?
  • 자료 모두 썼어? 핵심적인 개념 모두 고려했어?

계획 실행

  • 풀이 계획 실행 하고, 단계 점검해
  • 단계가 명확한가? 옳다는걸 증명할 수 있나?

반성

  • 풀이 결과가 문제의 조건과 맞는지 확인
  • 풀이 과정을 점검, 다른 방법으로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지 확인
1

How to Solve it (어떻게 문제를 풀것인가 저자 G. Polya) 보니까 메타인지가 향상되는 느낌임

제대로 여러번 읽고 블로그에 리뷰를 써봐야겠지만.. 파인만 알고리즘 상세 해설한 느낌

문제 풀이 4단계 보면 이런 내용이 나옴

문제 이해

  • 모르는게 뭐야? 조건 만족되는거 있어? 조건은 충분해? 모순되는거 있나? 조건 분해 해봐. 그림 그려봐. 기호를 붙여봐

계획

  • 문제 본적 있어? 비슷한 문제 본적 있어? 본적 있으면 활용할 수 있을까?
  • 모르는거 살펴보자. 부분적으로 풀어볼수 있나? 비슷하면서 쉬운 문제는? 유사한 문제는?
  • 자료 모두 썼어? 핵심적인 개념 모두 고려했어?

계획 실행

  • 풀이 계획 실행 하고, 단계 점검해
  • 단계가 명확한가? 옳다는걸 증명할 수 있나?

반성

  • 풀이 결과가 문제의 조건과 맞는지 확인
  • 풀이 과정을 점검, 다른 방법으로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지 확인
2

이제 제가 러스트로 갈아타면 완성이겠네요

0
2
14
2
1
3

tl;dr: too long; didn't read

ai;dr: contains AI slop; didn't read

av;dr: requested age verification; didn't read

451;dr: content unavailable for legal reasons; didn't read

js;dr: page required JavaScript; didn't read

ps;dr: problematic site; didn't read

dr;dr: I feel like a pair of curtains. Pull yourself together.

0
0
0

Jaeyeol Lee shared the below article:

커뮤니케이션 지점은 도로위 신호등 같은 거다

@disjukr@hackers.pub

커뮤니케이션 비용을 간과하는 사람들은 소통에 직접 소요되는 시간만을 고려하지만, 실제로는 그 이상의 숨겨진 비용이 발생합니다. 커뮤니케이션 지점은 마치 도로 위의 신호등과 같아서, 잦은 소통은 불필요한 지연을 초래합니다. 회신 지연, 컨텍스트 스위칭 등 다양한 요인들이 쌓여 업무 속도를 늦추는 주범이 됩니다. 이러한 커뮤니케이션 비용을 줄이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문제 해결에 필요한 수단을 제공하여 불필요한 소통 자체를 줄이는 것입니다. 문제 해결 수단을 만드는 비용이 커뮤니케이션 비용보다 크다고 생각하는 것은 오산일 수 있으며, 장기적으로 볼 때 문제 해결 능력을 키우는 것이 훨씬 효율적입니다.

Read more →
7
  • 오늘은 코딩...
  • 내일은 bot 하나 만들어볼까 생각 중입니다
3

Jaeyeol Lee shared the below article:

프론트엔드 애플리케이션 상태를 다루는 법

@disjukr@hackers.pub

이 글은 리액티브 프로그래밍에서 시간의 흐름에 따른 의존 그래프 관리를 설명하며, 특히 프론트엔드 상태 관리에 있어 옵저버블보다 시그널이 더 적합한 이유를 제시합니다. 저자는 프론트엔드 상태가 시간에 따라 결정적으로 변하지 않고, 노드의 의존 관계가 렌더 트리에 따라 변화무쌍하게 바뀌기 때문이라고 주장합니다. Rx, Redux, XState와 같은 기존 상태 관리 방식의 한계를 지적하며, 시그널(+ DI와 수명관리)을 중심으로 옵저버블, 리듀서, 스테이트머신을 함께 사용하는 것이 각 기술의 장점을 극대화할 수 있다고 설명합니다. 애니메이션, 폼 관리, NPC 인공지능과 같이 특정 상황에 적합한 기술을 시그널로 묶어 전체 애플리케이션 상태를 선언적으로 관리하는 방법을 제안하며, 이를 통해 애플리케이션의 구조를 더욱 명확하고 효율적으로 만들 수 있다고 강조합니다.

Read more →
6
1
11
2
0
0
0
  • 파이콘 발표자료 진짜진짜 마무리...
  • 파이콘 발표자료 만들고 스크립트도 진짜진짜 마무리....
  • Fedify는 상황보고 Elysia 찍먹을 하던가 아니면 NestJS 응용프로젝트 계속 만들건가 할 듯?
2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