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중순부터 OSSCA 최종 보고서 및 팀 보고서를 작성해야하는데, 어떻게 작성할지 고민이 되는구만..... 중심을 잡는거야 뭐 자신은 있는데

Jaeyeol Lee
@kodingwarrior@hackers.pub · 561 following · 418 followers
Neovim Super villain. 풀스택 엔지니어 내지는 프로덕트 엔지니어라고 스스로를 소개하지만 사실상 잡부를 담당하는 사람. CLI 도구를 만드는 것에 관심이 많습니다.
Hackers' Pub에서는 자발적으로 바이럴을 담당하고 있는 사람. Hackers' Pub의 무궁무진한 발전 가능성을 믿습니다.
그 외에도 개발자 커뮤니티 생태계에 다양한 시도들을 합니다. 지금은 https://vim.kr / https://fedidev.kr 디스코드 운영 중
Blog
- kodingwarrior.github.io
mastodon
- @kodingwarrior@silicon.moe
Github
- @malkoG
컴파일러 책 얇은 거 하나 읽고 있는데 문맥자유문법(CFG)이 나와서 오랜만이야 친구 하면서 보는 중...언어학 덕질했던 사람으로선 이걸 보니 하나 떠오르는 게 하나 있는데, 1957년 Syntactic Structures에서 촘스키는 이 CFG를 갖고 닝겐의 자연어가 지니는 통사적 성질(의미 아님)을 마르코프 과정을 통해서 설명하기엔 한계가 있음을 지적하며 변형문법(Transformational Grammar)를 제안한 게 생각난다. 즉, 닝겐 자연어의 통사 정보를 설명할 문법을 제안한 것(다시 한 번 말하지만 의미가 아님). 물론 이후엔 훨씬 더 발전하고 추상화됐고, PCFG라 하여 CFG에 확률을 넣은 CFG 확장판도 있다[1]. 참고로 오토마타 이론에서 나오는 촘스키-슈첸버거 위계나 촘스키 정규형할 때 얘기하는 그 촘스키 맞다.
개인적으로 촘스키의 저 시절 연구들이 되게 재밌다고 생각하는데 (물론 훑어만 봤지만...) 이후엔 사실상 오토마타 이론쪽으론 손 뗀 것 같아서 좀 아쉽기도 함...여튼 컴파일러 책 보다가 갑자기 생각나서 씀. 그나저나 도대체 난 언제 쯔음 나만의 프로그래밍 언어를 만들 수 있을까?
정규언어에서 은닉 마르코프 모형으로 확장시키는 거랑 똑같다. ↩︎
해커스펍 Active Month 50 정도만 찍어도 트친끼리 자주 교류하면서 도파민 맥스찍는 느낌이지 않을까(??)
DuckDB도 털렸구나...
@saram사람 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kodingwarriorJaeyeol Lee 친구가... 얼마나 많으신 겁니까..
@akastoot악하 저처럼 친구 많으셨어야
트잇타 사담계도 터지고, 뭔 별의별 되도않는 싸불이 너무 당연하다는듯이 일어나버리니까 이렇게 된 이상 연합우주로 트친들을 전부 데려와야겠다는 사명감이 생겼다(?)
Optique를 사용해보고 싶어서 만들어봤어요: https://github.com/jcha0713/togl
외계 생명체에게 메시지를 보낼 때 유용할지도 모릅니다.
식탁보 3.0을 준비하면서, 이번에 매우 흥미로운 기능을 하나 추가하게 되었습니다. Claude Desktop에서 MCP 서버로 식탁보를 등록하면, 원하는 금융 기관이나 공공기관에 샌드박스로서 접속할 수 있게 연결시켜주는 기능입니다.
현재는 카탈로그에 있는 사이트를 찾아주어 들어가는 정도이지만, 좀 더 강화하여 주요 기관들의 거래 및 업무 처리 URL들을 데이터베이스화하거나 Claude의 자체 검색 기능으로 찾은 웹 사이트 주소를 바로 전달하는 것도 기술적으로 가능하게 구현해둔 상태입니다. (이 때 해당 웹 사이트에서 쓰는 플러그인 정보가 있다면 샌드박스 내에 매칭해서 자동 설치도 해줍니다.)
차근차근 준비해나가고 있으며, 이번 추석 연휴 기간 중에 마무리 짓는 것을 목표로 진행 중이니 많은 관심과 성원 부탁드립니다! 😉
You want to build a website for the world, but is simply translating your text enough? In this video, Fuqiao Xue breaks down the fundamental concepts of making the web truly global. Learn the crucial difference between Internationalization (i18n) and Localization (l10n), and discover all the things you need to consider beyond words, from character encoding and right-to-left layouts to cultural formats for dates, numbers, and names.
https://www.youtube.com/watch?v=kccAPdS2W3U
Hackers' Pub이랑 mastodon이랑 왔다갔다하면서 게시글 공유하고 수제 글 쓰고 하트 찍고 등등등 해보고 있는데 모든 행위 자체가 로그가 찍히는걸 관찰하면 정말 신기하면서도 놀라움..
이러한 행위 자체 하나하나가 굉장히 무거운 것일텐데 이걸 엔지니어링적으로 어떻게 다들 최적화시키는걸까하고 경외심이 든다..... 부트캠프에서 마케팅할때 그렇게 좋아하는 대규모 트래픽 경험? 그런거 모르겠고, 이렇게 조그마한 규모에서도 와다다다 쏟아지는 트래픽이랑 트래픽이 오가는 경로를 최적화하고 이걸 또 견고한 서비스로 이어갈 수 있게 하는게 찐 엔지니어링의 산물인 것 같음
대학원 다닐 때 CS 수업들 중에 재밌어 보이는 걸 몇 개 청강했었는데 그 중 하나가 DB 수업이었고 되게 재밌게 들었었음...이후에 SQL 덕질(=공부)하다가 하면 할수록 RDB를 다시 좀 제대로 훑어봐야겠다란 생각이 들어서 이리저리 찾다가 발견한 책. 괜찮은 책인 것처럼 보였는데 절판이어서 못 구하다가 어떻게 중고로 구했다. 서문 보니깐 SQL 쿼리들을 어떻게 쓰는가에 대해선 책이 많지만 정작 RDB가 무엇이고 이걸 어떻게 사용하는가를 쉽게 요약해서 정리한 책이 없어서 작가가 책을 썼다고 하는데, 잘 산 것 같음...이거 보고 나면 다른 유명한 SQL 튜닝 책들 봐야지.
@icecream_mable구슬아이스크림 오, 저도 이거 재밌게 읽었는데, 역시 책 취향이 겹치시네요
수많은 논의 및 고민 끝에 대기자 명단에 등록되신 5명 중 2명을 선정했고 그 외의 분들에게는 환불조치를 했습니다. 다음 회차에는 선착순 신청 비중을 조금 더 줄이고, 공평성을 위해 랜덤 선정에 당첨될 확률을 늘리는 방향으로 개선을 해보겠습니다. _ _)
봇 글을 가끔 보며 그냥 지나쳤는데요. 봇도 팔로우를 해야 뜨는 거지요? 아직까지, 유용한 신간 서적 알림 봇 팔로우를 안하고 있었네요. 문득 신간 서적 알림 봇의 프로필 사진으로 있는 Vim 심벌과 vscode 합친 그림은 어떤 의미일까 궁금하네요. 봇 브랜딩에 도움이 안되는 건 아닐까 싶은데요. 봇 만드신 분의 노동에 합당한 브랜딩이 안되고 있는 건 아닐까요 ㅎ
@lionhairdino 일부러 킹받으라는 의도였어요
요즘 오에카키 같은 2000년대 초반 인터넷 유물?같은 게 종종 머릿속에 떠오르는데 분명 내가 어릴 때여서 추억화된 것 때문인 걸 알고 있음에도 그 시절 인터넷 서브컬쳐들이 좀 그리울 때가 있다. 뭔가 그 특유의 투박한 디자인들이 자꾸 떠오름...
안녕하세요, 백엔드 경력직 프로그래머 뽑고 있습니다. 로그를 모니터링하고 저장하는 시스템을 개발하는 포지션입니다. 기존 오픈소스 솔루션을 사용하긴 하지만 단순히 구축하고 운영하는 것은 아닙니다. 운영도 하지만 개발이 주된 업무 입니다. (오픈소스 솔루션 운영 포지션으로 착각하고 지원하시는 분들이 계셔서 사족을 넣었습니다) https://careers.linecorp.com/ko/jobs/2845/
이거지!!!!!!!!!!
여러분. 이 책 진짜 좋습니다.
- 브라우저를 진짜 밑바닥에서부터 만드는거라 소켓프로그래밍부터 시작함.
- 레이아웃 알고리즘, 파싱이론 등 CS 이론도 필요하다면 다룸
- 브라우저를 로우레벨에서부터 이해 가능함
... >> 중요한건 파이썬으로 실습하는 교재임 <<
이렇게 시장에 나오자마자 오바쌈바를 떨면서 좋다고 야단법석을 떨었던 책 중 하나가... 게르겔리 오로스의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가이드북이었던가....
이것도 한때 개발자들 사이에서 한참 오르락내리락 했던 책이었죠....?
이거지!!!!!!!!!!
.NET을 Windows 전용 툴체인 언저리로 생각하고 계신 분이 있다면 이 발표 영상을 꼭 보여주세요 😉
N줄 요약
- 연합우주 소프트웨어 개밥먹기하면서 개발중
- 로컬호스트에서 돌리고 있고, tailscale로 터널링 중이며 몇몇 인스턴스 계정에 팔로워로 들어가있음.
- 몇몇 인스턴스에서는 아마 위의 사유로 계속 retry 되고 있는 Activity가 있을 것인데, 해당 인스턴스 모더레이터분들 괜찮으신지?
사실 나 혼자만 한다면 크게 문제가 되지는 않을 것 같은데, 이걸 개발하는 사람들한테 다 같이 이렇게 하자고 하기엔 너무 찝찝한 면이 없지는 않단 말이지.....
요즘 #cosmoslide (https://github.com/cosmoslide/cosmoslide) 개발하면서 들고 있는 생각....
대부분의 액티비티펍 소프트웨어 인스턴스는 멀쩡하게 365일 24시간 동일한 위치에서 운영이 되고 있다고 가정이 된다. 내가 글을 올리면, 나를 팔로우 중인 모든 사람들의 inbox에 내가 글을 올렸다(Create(Note)
)는 Activity가 전달이 되는데, 각자가 운영되고 있는 서버 인스턴스가 멀쩡히 살아있다면.... 딱히 문제가 되지는 않는다.
문제는, 게시글을 작성하는 시점에 팔로워 중 누군가의 인스턴스가 죽어있을때도 있다는 점이다. 그런 경우를 대비해서 exponential backoff를 쓰든 아무튼 fallback 알고리즘이 동작하긴 하는데, 서버가 살아나면 당연히 전달이야 잘 되긴 한다. 그런데, Activity 전달이 실패하는 일이 잦으면 어떤 액티비티펍 소프트웨어를 쓰던간에 retry를 하기 위해서 계속해서 Queue에 쌓이고, 최종적으로는 Queue에 쌓인 것 때문에 적지 않은 오버헤드가 있을 것 같은데 모더레이터의 입장에선 어느 정도까지 감안할 수 있는가? 라는 생각이 문득 들었다.
사실 내가 왜 이런 글을 쓰고 있냐면, 위에서도 언급했다시피, 로컬호스트에서 실제로 서비스를 (맥북이 켜져있을때만) 서빙하고 있고 그걸 Tailscale로 연결해서 터널링을 하고 있다. 즉, 맥북을 켜놓고 있으면 Create(Note)
Activity가 정상적으로 잘 전달되고, 맥북이 꺼져있으면 Activity 전달이 안되고 있다. 실제로, 이런 맥락에서 지금 테스트 중인 두 개의 인스턴스가 있다. 이런 실험적인 시도를 하면서 이래도 되는게 맞나 싶은 생각도 들고는 있다. 맥북을 켜놓으면, retry되고 있는 것도 다 consume되긴 하겠지만.... 찝찝하긴 찝찝하다.
개발하는 입장이라고 선해를 할 수는 있어도, 비뚤어진 관점에서 해석하면 누군가는 어뷰징의 관점으로 해석할 수 있는 가능성이 적지는 않다고 생각하고 있다. 이런 경우엔 모더레이터되는 분들한테, 내가 이런 tailscale 도메인으로 서빙하고 있다고 통지라도 하는게 나으려나... 아니면, 내가 구매해놓은 도메인을 tailscale 도메인으로 CNAME 걸어놓고 "이런 도메인으로 서비스 걸어놓을 예정이니까 이 도메인만은 제발 차단하지 말아주십쇼 헤헤" 라고 해야하나... 아예 서버를 만드는거다보니까 이런 고려사항이 생기는 것 같다.
근데, 한 편으로는 이런 생각이 든다. 물리적인 서버의 위치를 옮길 가능성이 많은 환경(예를 들면, 전시 상황)이면 어떡하지? ActivityPub이 사실은 분산된 웹 환경을 위해 나온 프로토콜이긴 하지만, 분산된 웹 환경이라는게 물리적으로 각자 다른 위치에 오랫동안 배치가 되어 있는 서버 뿐만이 아니라 위치가 자주 바뀔 수 있는 서버도 연합의 대상으로 포함이 될 수 있다면? 어떤 공상과학 영화(ex. 터미네이터4)들을 보면, 저항군이 독자적인 라디오 기지국 같은거 만들고 위치도 매번 다른 곳으로 옮기고 주파수를 매번 다르게 설정하면서 소식전달하는 모습을 볼 수 있는데, 액티비티펍도 어떻게 보면 그걸 고려한 설계도 포함될 수 있지 않나... 그런 생각도 든다..
N줄 요약
- 연합우주 소프트웨어 개밥먹기하면서 개발중
- 로컬호스트에서 돌리고 있고, tailscale로 터널링 중이며 몇몇 인스턴스 계정에 팔로워로 들어가있음.
- 몇몇 인스턴스에서는 아마 위의 사유로 계속 retry 되고 있는 Activity가 있을 것인데, 해당 인스턴스 모더레이터분들 괜찮으신지?
요즘 #cosmoslide (https://github.com/cosmoslide/cosmoslide) 개발하면서 들고 있는 생각....
대부분의 액티비티펍 소프트웨어 인스턴스는 멀쩡하게 365일 24시간 동일한 위치에서 운영이 되고 있다고 가정이 된다. 내가 글을 올리면, 나를 팔로우 중인 모든 사람들의 inbox에 내가 글을 올렸다(Create(Note)
)는 Activity가 전달이 되는데, 각자가 운영되고 있는 서버 인스턴스가 멀쩡히 살아있다면.... 딱히 문제가 되지는 않는다.
문제는, 게시글을 작성하는 시점에 팔로워 중 누군가의 인스턴스가 죽어있을때도 있다는 점이다. 그런 경우를 대비해서 exponential backoff를 쓰든 아무튼 fallback 알고리즘이 동작하긴 하는데, 서버가 살아나면 당연히 전달이야 잘 되긴 한다. 그런데, Activity 전달이 실패하는 일이 잦으면 어떤 액티비티펍 소프트웨어를 쓰던간에 retry를 하기 위해서 계속해서 Queue에 쌓이고, 최종적으로는 Queue에 쌓인 것 때문에 적지 않은 오버헤드가 있을 것 같은데 모더레이터의 입장에선 어느 정도까지 감안할 수 있는가? 라는 생각이 문득 들었다.
사실 내가 왜 이런 글을 쓰고 있냐면, 위에서도 언급했다시피, 로컬호스트에서 실제로 서비스를 (맥북이 켜져있을때만) 서빙하고 있고 그걸 Tailscale로 연결해서 터널링을 하고 있다. 즉, 맥북을 켜놓고 있으면 Create(Note)
Activity가 정상적으로 잘 전달되고, 맥북이 꺼져있으면 Activity 전달이 안되고 있다. 실제로, 이런 맥락에서 지금 테스트 중인 두 개의 인스턴스가 있다. 이런 실험적인 시도를 하면서 이래도 되는게 맞나 싶은 생각도 들고는 있다. 맥북을 켜놓으면, retry되고 있는 것도 다 consume되긴 하겠지만.... 찝찝하긴 찝찝하다.
개발하는 입장이라고 선해를 할 수는 있어도, 비뚤어진 관점에서 해석하면 누군가는 어뷰징의 관점으로 해석할 수 있는 가능성이 적지는 않다고 생각하고 있다. 이런 경우엔 모더레이터되는 분들한테, 내가 이런 tailscale 도메인으로 서빙하고 있다고 통지라도 하는게 나으려나... 아니면, 내가 구매해놓은 도메인을 tailscale 도메인으로 CNAME 걸어놓고 "이런 도메인으로 서비스 걸어놓을 예정이니까 이 도메인만은 제발 차단하지 말아주십쇼 헤헤" 라고 해야하나... 아예 서버를 만드는거다보니까 이런 고려사항이 생기는 것 같다.
근데, 한 편으로는 이런 생각이 든다. 물리적인 서버의 위치를 옮길 가능성이 많은 환경(예를 들면, 전시 상황)이면 어떡하지? ActivityPub이 사실은 분산된 웹 환경을 위해 나온 프로토콜이긴 하지만, 분산된 웹 환경이라는게 물리적으로 각자 다른 위치에 오랫동안 배치가 되어 있는 서버 뿐만이 아니라 위치가 자주 바뀔 수 있는 서버도 연합의 대상으로 포함이 될 수 있다면? 어떤 공상과학 영화(ex. 터미네이터4)들을 보면, 저항군이 독자적인 라디오 기지국 같은거 만들고 위치도 매번 다른 곳으로 옮기고 주파수를 매번 다르게 설정하면서 소식전달하는 모습을 볼 수 있는데, 액티비티펍도 어떻게 보면 그걸 고려한 설계도 포함될 수 있지 않나... 그런 생각도 든다..
@kodingwarriorJaeyeol Lee 어차피 올리는 순간부터 공유를 예상해야 되지 않나요 이 업계에선..
@akastoot악하 인터페이스 자체는 맞출 순 있어요. 데이터 정합성이 문제인데
마이크로블로깅 정도 기능은 한 사이클 돌고나서 슬라이드 공유 기능 넣으려고 했는데, "한 사이클 돈다"에서 허용 오차 범위를 어디까지 둘 것인가가.... 걱정이긴 하구나...... 이건 그냥 일단 오픈하고 이리저리 따잇 당해보고 생각할 문제인가...
2025-09-07 오늘의 #cosmoslide 작업한 내용 메모
https://github.com/cosmoslide/cosmoslide/pull/14
게시글 작성 기능까지는 안 갔지만, 연합우주 네트워크를 통해서 Create(Note), Announce(Note) 등의 액티비티가 들어왔을때 그것이 타임라인 화면에 노출되게 하는 기능을 작업했다. Actor 정보를 가져오는 과정에서 어떤 Actor는 lookup 하는 과정에서 Timeout 에러 뜨고, 어떤 Actor는 401 Unauthorized 뜨고, 어떤 Actor는 Person이 아니었어서 게시글 가져오는건 실패했는데... 이건 지속적인 개밥먹기를 꾸준히 해봐야 제대로 개선이 될 것 같음.
@kodingwarriorJaeyeol Lee (a.k.a. kodingwarrior)
이렇게 나오는구나.... 내가 만약에 A라는 계정이랑 B라는 계정을 둘 다 팔로우 하고 있는데, A라는 계정이 쓴 글에 B 계정이 답글달면 A, B 각각 둘의 팔로워의 인박스에 액티비티가 전달이 되어야 하는? 뭐 그런 구성인가? 자세한 분석을 위해서 조심스럽게나마 계정 몇개 좀 팔로를 해둘 필요는 있어보이는데...
작업하다보면 어드민 붙이고 싶은 충동이 확 든다.....
AdminJS를 붙이자니 의존성이랑 지옥의 한판싸움을 해야할 것 같고, 그렇다고 직접 만들자니 어.... 이건 좀... 시간이 너무 많이 걸리겠다... 싶기도 하고, 노코드 툴 처럼 뚝딱하고 붙일 수 있는 어드민도구 어디 없나
어? pgAdmin4 붙이는것도 해볼만 하겠는데????
작업하다보면 어드민 붙이고 싶은 충동이 확 든다.....
AdminJS를 붙이자니 의존성이랑 지옥의 한판싸움을 해야할 것 같고, 그렇다고 직접 만들자니 어.... 이건 좀... 시간이 너무 많이 걸리겠다... 싶기도 하고, 노코드 툴 처럼 뚝딱하고 붙일 수 있는 어드민도구 어디 없나
NestJS로 페디버스 앱 만들고 있긴 한데, 이걸 다른 사람한테 나눠주려니 어떻게 나눌지가 애매함.
당장은 TypeORM 마이그레이션 파일도 안 만들고, dev모드 켜놓고 계속 작업 중이긴 한데... 테일스케일 각자 세팅시키고, 다 같이 각자만의 로컬 환경 인스턴스 돌리면서 빈칸채우기 시킬 수도 없다....
만약, 이런 방법대로 한다면, 인스턴스 운영하고 있는 각 모더레이터가 특정 몇몇 인스턴스로 액티비티가 전송안되는 꼬라지 보고 "이건 또 뭔...." 할 것 같아.. 흑흑..
AIエンジニアリング入門:Pythonによる開発の基礎(uv, Ruff, dataclass, Pyright, Git hooks)
https://zenn.dev/dalab/articles/61f06f6b516f4e
The previously sensible advice to never use ChatGPT for search needs to be rethought - GPT-5 in thinking mode is shockingly good at running searches now https://simonwillison.net/2025/Sep/6/research-goblin/
Follow-up note about a Google's new "AI mode" - it's actually very good! Massively different from "AI overviews" which are terrible https://simonwillison.net/2025/Sep/7/ai-mode/
#harvard confirms the massive impact of #AI #hiring
#junior roles ↓23%
#senior roles ↑14%
(285,000 firms monitored)
Before AI: 1 senior + 3 juniors = full team
After AI: 1 senior + AI = same output
We are creating #experts without #apprentices mentors without students. The professional ladder is losing its lowest rungs.
(Source: https://papers.ssrn.com/sol3/papers.cfm?abstract_id=5425555 )
#FutureOfWork #Automation #AIimpact #Jobs #Productivity #WorkforceTransformation #taxai #taxtherich
10월 연휴에는 어떻게든 출시를 하는걸로....
클러스터화는 단점이기도 하지만 장점이기도 한게 제가 생각하기에 다른 커뮤니티 서비스랑 트위터류의 가장 큰 차이점은 적당한? 느슨한? 클러스터화라고 생각하거든요 트위터만 봐도 인플루언서-like하게 사용하는 사람도 자기들끼리 노는 사람도 있는데 되게 그런 사람들간에 사용 형태와 목적이 판이하게 다를탠데 동시에 같은 트위터에 존재하면서도 디스코드같은 아예 클러스터가 완전히 분리된 동네하고는 다르게 그 클러스터들 사이에도 느슨한 연결고리가 존재한다는게 매력이라고 생각해요
Jaeyeol Lee shared the below article:
Stop writing CLI validation. Parse it right the first time.

洪 民憙 (Hong Minhee) @hongminhee@hackers.pub
This post introduces Optique, a new library created to address the pervasive problem of repetitive and often messy validation code in CLI tools. The author was motivated by the observation that nearly every CLI tool reinvents the wheel with similar validation patterns for dependent options, mutually exclusive options, and environment-specific requirements. Optique leverages parser combinators and TypeScript's type inference to ensure that CLI arguments are parsed directly into valid configurations, eliminating the need for manual validation. By describing the desired CLI configuration with Optique, TypeScript automatically infers the types and constraints, catching potential bugs at compile time. The author shares their experience of deleting large chunks of validation code and simplifying refactoring tasks. Optique aims to provide a more robust and maintainable approach to CLI argument parsing, potentially saving developers from writing the same validation logic repeatedly.
Read more →조만간? TLDR 뉴스레터에도 나올 듯
인류가 고양이 퍼리였으면 빈 찬합을 받은 순욱도 찬합 안에 들어가서 낮잠이나 잤을텐데
@chomu.dev초무 따봉 100번 눌렀읍니다
Cosmoslide 계속해서 작업할 것 같습니다.
- Remote Follow 기능 관련해서 마무리
- 게시글 기능 그리고 그와 관련된 Federation 로직 작성
그리고... Hackers Public 2차 모집 마감
얼마 전부터 Hackers' Pub 탭의 "콘텐츠 더 보기" 버튼이 고장난 것 같은데... (지금 확인해보니, 연합우주도) 뭐가 문제지...?
@asitisdevAsitis 아마, UX 문제일 겁니다.... 깃헙 이슈로 남아있긴 해요
일주일마다 새 마이너 버전 릴리스하는 라이브러리 어떻게 생각하세요? (제가 그러고 있음…)
@hongminhee洪 民憙 (Hong Minhee) 개발 초기 단계면 어쩔 수 없지 않을까,, 마 그런 생각이 듭니다,,
우부콘 발표하고 그 다음 주에 파이콘 발표하고 그 다음 달에 해커스 퍼블릭 여시는 분이 말씀하시니 믿음이 가네요
개발자 컨퍼런스에 100% 참여하는 방법!
그건 바로 발표자가 되거나 오거나이저가 되는거라고 하네요
제가 가장 좋아하는 언어에 기여를 했어요!
시동건다 부릉부릉
@z9mb1wwj
@akastoot악하 제가 방금 다 읽은 책(100일챌린지)이 딱 그 내용이에요
오늘 오후 4시부터 9시까지 49th ICPC World Finals Baku가 진행됩니다.
실시간 스코어보드: https://worldfinals.icpc.global/scoreboard/2025/index.html
실시간 스트리밍: https://www.youtube.com/live/93DYRPNRrRA
문제지: https://worldfinals.icpc.global/problems/2025/problemset.pdf
LLM한테 키가 한 9000개 정도 되는 json 파일 국제화 작업 짬처리할때 mood
근데 중간에 돌다 말아서 200개 정도 배치로 묶어서 검수하고 있다..
LLM한테 키가 한 9000개 정도 되는 json 파일 국제화 작업 짬처리할때 mo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