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각 프랑스, 일본, 대만의 서점에서 찍은 프로그래밍 서적들. 마지막 사진은 영문판… 중화권에선 컴퓨터를 전뇌라고 부르는 게 재밌다. 공각기동대같고…

洪 民憙 (Hong Minhee)
@hongminhee@hackers.pub · 604 following · 401 followers
Hi, I'm who's behind Fedify, Hollo, BotKit, and this website, Hackers' Pub!
Fedify, Hollo, BotKit, 그리고 보고 계신 이 사이트 Hackers' Pub을 만들고 있습니다.
Website
- hongminhee.org
GitHub
- @dahlia
Hollo
- @hongminhee@hollo.social
DEV
- @hongminhee
velog
- @hongminhee
Qiita
- @hongminhee
Zenn
- @hongminhee
Matrix
- @hongminhee:matrix.org
X
- @hongminhee
@diarapin금강토 공각기동대 작가가 중화권에서 컴퓨터를 전뇌(電腦)라고 부르는 게 재밌다고 생각해서 작품에 차용한 것!
각각 프랑스, 일본, 대만의 서점에서 찍은 프로그래밍 서적들. 마지막 사진은 영문판… 중화권에선 컴퓨터를 전뇌라고 부르는 게 재밌다. 공각기동대같고…
https://news.hada.io/topic?id=19948
나는 프로그래밍을 Solaris에서 시작했고, FreeBSD의 오랜 팬이자 사용자였지만, 이제 와서는 BSD를 권하지 않음. 내 개인적으로도 이젠 더이상 쓰지 않고 있고. 물론 BSD가 특정 시나리오에서는 매우 뛰어난, 그리고 일반적으로 좋은 서버 OS라는 점은 지금도 유효하지만, 더이상 개인이 사용할 우위점은 거의 없다고 생각함.
- 리눅스가 충분히 안정화되었고, 가장 안정적인 OS를 찾는다면 RHEL(+클론들)을 쓰면 됨. 대형 유저들이 많으며, 전문가 집단이 구성하고 충분히 테스트한 OS임.
- 리눅스가 de facto standard여서, 더 효율적인 솔루션들이 있더라도 작은 차이라도 큰 특수 분야가 아니라면 굳이 다른 방법을 찾는 비용을 정당화하기 어려움. 무엇보다 유지보수, 확장, 인프라 이전 등 모든 면에서 리눅스가 제일은 아닐지 몰라도 충분히 쌈.
- 보안에 있어서도 OpenBSD의 품질은 대단하지만, 대형 리눅스 배포판들 또한 취약점 패치 속도에서 매우 빠른 편이고 보안 툴들도 잘 갖추고 있음. 이제 양자간 개발자, 사용자 숫자의 차이는 인원과 설계의 질로 메꿀 수 있는 수준이 아니라고 봄.
Ghost 쪽에서 Mastodon 개발 팀에 물어봤더니 next
안 따라가는 게 맞다고 한다. 그런데, Ghost는 이미 페이지네이션을 끈 상태라고 한다! 그럼 또 뭐가 문제냐…
Hackers' Pub에 물이 들어왔는데 노를 젓지 못하고 Fedify 디버깅만 하고 있구나… 😭
洪 民憙 (Hong Minhee) replied to the below article:
Hacker's Pub에 입문한 한국어권 여러분을 위한 안내서

Jaeyeol Lee @kodingwarrior@hackers.pub
Hacker's Pub은 소프트웨어 업계 종사자들이 자유롭게 생각을 공유하고 소통할 수 있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이자 블로깅 플랫폼입니다. ActivityPub 프로토콜을 지원하여 Mastodon, Misskey 등 다른 SNS 서비스 사용자들과도 연결되어 플랫폼 경계를 초월한 소통이 가능합니다. 이 글에서는 Hacker's Pub의 의미와 ActivityPub 프로토콜에 대한 간략한 소개, 그리고 커뮤니티에 기여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제시합니다. 오픈 소스로 개발되는 Hacker's Pub 생태계에 참여하여 함께 서비스를 발전시키고, 우리만의 클라이언트를 만들어 Hashnode와 같은 블로그 템플릿을 구축하는 미래를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Hacker's Pub은 상호 존중과 신뢰를 바탕으로 모든 이들이 자유롭게 의견을 나누고 함께 만들어가는 공간입니다.
Read more →@kodingwarriorJaeyeol Lee 오… 정성스러운 글 너무 감사드려요. 이런 글은 널리 널리 읽혀야…!
사소하지만 Hacker's Pub → Hackers' Pub이랍니다!
洪 民憙 (Hong Minhee) shared the below article:
Hacker's Pub에 입문한 한국어권 여러분을 위한 안내서

Jaeyeol Lee @kodingwarrior@hackers.pub
Hacker's Pub은 소프트웨어 업계 종사자들이 자유롭게 생각을 공유하고 소통할 수 있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이자 블로깅 플랫폼입니다. ActivityPub 프로토콜을 지원하여 Mastodon, Misskey 등 다른 SNS 서비스 사용자들과도 연결되어 플랫폼 경계를 초월한 소통이 가능합니다. 이 글에서는 Hacker's Pub의 의미와 ActivityPub 프로토콜에 대한 간략한 소개, 그리고 커뮤니티에 기여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제시합니다. 오픈 소스로 개발되는 Hacker's Pub 생태계에 참여하여 함께 서비스를 발전시키고, 우리만의 클라이언트를 만들어 Hashnode와 같은 블로그 템플릿을 구축하는 미래를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Hacker's Pub은 상호 존중과 신뢰를 바탕으로 모든 이들이 자유롭게 의견을 나누고 함께 만들어가는 공간입니다.
Read more →Ho eyo he hum!
@ioloDongsu Jang 어서 오세요!
아하....? 이건 단순이고 글쓰기 아이콘은 포스트네...?! 암튼 init commit 완료.
@ujuc우죽 네, Hackers' Pub에서는 짧은 단문과 긴 게시글을 구분하고 있습니다! 게시글은 블로그처럼 쓰는 거고, 단문은 X 같이 마이크로블로그로 쓰는 거예요. 아무튼 환영합니다!
안녕 Hello
@mihyon 안녕하세요!
@yeoul류효정 님, 어서 오세요!
해커스펍에 사람이 많아지면서 오늘 점심쯤 마스토돈 들어왔더니 피드에 새 글이 80개 정도 쌓여있었다. 눈물이 날 뻔했다...
洪 民憙 (Hong Minhee) shared the below article:
W3C Breakout Session on ActivityPub in the Browser
Evan Prodromou @evanprodromou@socialwebfoundation.org
I'll be leading a session on the Browser experience of ActivityPub social networking as part of W3C Breakouts Day 2025. This is a virtual event, open to all members of the Web community; connection information in the link. ActivityPub encourages interconnection between independent, heterogeneous social networking platforms. One of the most confusing parts of the ActivityPub network for many users is interacting with people and content on remote servers. How can you like, share or reply to […]
Read more →음… 이거 어쩌면 Mastodon의 버그일 수도 있겠다. Mastodon이 팔로워 컬렉션 동기화할 때 next
를 안 따라가는 것 같다는 의심. 이거 검증하려면 또 어케 해야 하나… 골치 아프네.
Ghost 쪽에서 Mastodon 개발 팀에 물어봤더니 next
안 따라가는 게 맞다고 한다. 그런데, Ghost는 이미 페이지네이션을 끈 상태라고 한다! 그럼 또 뭐가 문제냐…
음… 이거 어쩌면 Mastodon의 버그일 수도 있겠다. Mastodon이 팔로워 컬렉션 동기화할 때 next
를 안 따라가는 것 같다는 의심. 이거 검증하려면 또 어케 해야 하나… 골치 아프네.
出勤途中に Hackers' Pub を覗いて、帰りにもまた入ってみたらびっくりしました。すごく賑わっていますね!
Twitter で見かけた方もいて嬉しいです。もう一人一人に歓迎の挨拶をするのは難しくなってきましたが、(心の中では)勝手に親近感を感じています😅
帰り道で溜まっていた投稿をなんとか全部読み終えました!😂 皆さん、今日もお疲れさまでした。
GitHub Actions now supports free-threaded Python!
I wrote up how to add it your workflows so you can start testing free-threaded Python 3.13 and 3.14 with either actions/setup-python or actions/setup-uv.
https://hugovk.dev/blog/2025/free-threaded-python-on-github-actions/
무슨 생각? 자고 싶다는 생각.
Hello, world!
@ahastudioAshal aka JOKER 아샬 님, 어서오세요!
무슨 생각? 자고 싶다는 생각.
Hello, world!
출근길에 Hackers' Pub 확인하고, 퇴근길에 또 Hackers' Pub 에 들어왔다가 깜짝 놀랐습니다. 북적북적하네요.
트위터에서 보던 분들도 보여서 반갑네요. 이제 한분 한분 환영 인사드리기는 어려울 지경입니다만, (혼자 속으론) 친밀감 느끼는 중 😅
퇴근길에 밀린 글들 간신히 다 읽었습니다! 😂 편안한 저녁 되세요.
@arkjunJuntai Park 퇴근이 늦으시네요… 푹 쉬세요!
출근길에 Hackers' Pub 확인하고, 퇴근길에 또 Hackers' Pub 에 들어왔다가 깜짝 놀랐습니다. 북적북적하네요.
트위터에서 보던 분들도 보여서 반갑네요. 이제 한분 한분 환영 인사드리기는 어려울 지경입니다만, (혼자 속으론) 친밀감 느끼는 중 😅
퇴근길에 밀린 글들 간신히 다 읽었습니다! 😂 편안한 저녁 되세요.
Hackers' Pub에 ko-Kore
(國漢文混用) 飜譯 파일 넣는 想像…
@outsiderisOutsider 님, 환영합니다!
마크다운 쓸수 있어서 너무 좋다.
@anarcher맹수 어서오세요!
마크다운 쓸수 있어서 너무 좋다.
ping
@rainygirl 어서오세요!
블루스카이를 연합우주보다 먼저 썼고, 해커뉴스에서 관련 주장에 대해서 꽤 싸우기도 한 입장에서 민희님의 글 〈Bluesky는 X의 훌륭한 대안일 수 있지만, 연합우주의 대안은 아닙니다〉에 대한 반대 의견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 의견이 연합우주에 대한 전면적인 비판이 아니라는 것을 의견을 제시하기에 앞서 확실히 해 둔다(그랬다면 Hackers' Pub에 들어 올 일이 없었겠지).
탈중앙화는 매력적인 개념임이 틀림 없다. 인터넷의 많은 중요한 요소들이 어느 정도 탈중앙화되어 있으므로 탈중앙화가 인터넷의 장점들에 큰 몫을 했다는 생각을 쉬이 할 수 있고, 어느 정도는 그게 사실이기도 하니까. 하지만 엄밀히 말하자면 탈중앙화는 기술적인 특징이지 그 자체로 장점이 아니며, 탈중앙화가 장점으로 작용하려면 연결고리가 필요하다. 이를테면 비트코인을 위시한 암호화폐는 본디 비잔틴 실패까지 대비할 수 있는 강력한 탈중앙화를 장점으로 내세웠으나, 결국 화폐로서 제대로 사용되기 시작하자 현실 경제와의 커플링 때문에 그 "장점"이 크게 희석되고 말았다. 현 시점에서 암호화폐는 무에서 유의 신뢰를 창조하여 신용화폐의 요건을 충족하는 데까지는 성공했고 그것만으로도 역사적인 일이기는 하지만, 그게 탈중앙화랑 무슨 상관이 있느냐 하면 글쎄올시다.
블루스카이가 연합우주보다 덜 탈중앙화되어 있음은 분명하다. 민희님의 글에서 지적되었듯, 블루스카이가 이런 선택을 한 가장 큰 이유는 온전한 소셜 네트워크 기능을 위해 전역 뷰가 필수적으로 필요하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반대로 말하면 연합우주는 더 탈중앙화를 하기 위하여 전역 뷰를 포기했는데, 이 때문에 연합우주에서의 "소셜 네트워크"는 트위터/X와는 구조가 크게 다르다. 노드 규모가 문턱값에 다다르지 못하면 다른 노드에 있는 사용자를 찾아서 팔로해야만 온전한 소셜 네트워크 구성이 가능한데, 연합우주 안에서는 이런 외부 사용자를 찾는 구체적인 방법을 제공하지 않는다. 물론 인터넷과 똑같이 검색 엔진이 존재할 수야 있겠지만, 크롤링으로 인한 부하와 프라이버시에 대한 의견 차이 때문에 현실적으로 작동하는 연합우주 내 검색 엔진은 없다고 알고 있다. 따라서 연합우주에서 소셜 네트워크의 구성은 연합우주 바깥의, 보통은 중앙화되어 있는, 다른 소셜 네트워크(이를테면 현실 인간 관계)를 빌어야만 하는데, 이러면 탈중앙화가 큰 가치가 있을까?
한편으로는 전역 뷰가 소셜 네트워크의 단점이라고 주장할 수 있는 여지도 있다. 트위터/X를 오래 써 본 사람이라면 다 알겠지만 한 무리의 사람들이 다른 의견을 가진 무리와 충돌하는 주된 통로는 검색이나 해시태그를 통한 노출, 즉 전역 뷰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현실의 규모 있는 연합우주 노드들을 살펴 보면 각 노드가 곧 한 무리에 대응하는 식으로 충돌을 미리 회피하는 형태로 구성되지, 딱히 이런 충돌을 막기 위한 접근을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니다. 노드 운영자를 위해 차단하는 걸 추천하는 서버 목록 같은 게 돌아다니는 건 연합우주 바깥의 일이지 않는가. 결국 전역 뷰의 역할을 대체하는 소셜 네트워크 바깥의 또 다른 소셜 네트워크가 존재할 것이기에, 우리가 소셜 네트워크를 어떤 이유로든 유용하다고 여긴다면 전역 뷰가 없는 게 장점이 될 수는 없다.
모든 이들이 이런 사고 과정을 가지고 블루스카이나 연합우주를 선택했다고 생각하진 않지만, 적어도 현 시점에서 사용자들은 블루스카이(이 글을 쓰는 시점에서 약 3360만명)를 연합우주(FediDB와 Fediverse.party로부터 추정할 때 최대 1530만명)보다 선호하는 것은 틀림이 없다. 게다가 블루스카이의 규모는 최근 1년 사이에 10배 불어난 것이고, 조금 장애가 있었지만 현재는 잘 동작하는 것으로 보인다. 위의 논의와 결합해 보면, 블루스카이는 정석적인 스케일링에 성공하고 있는 반면 연합우주는 스케일링 문제를 회피하기 위해 온전한 소셜 네트워크의 구성을 포기했다고 볼 수도 있는 대목이다. 블루스카이가 못미더운 부분은 분명히 존재하지만, 연합우주가 더 좋은 소셜 네트워크 경험을 제공한다고 가정하고 블루스카이의 단점을 제시할 수는 없다. 마치 암호화폐를 논할 때 장점만 말할 수 없는 것과 마찬가지로 말이다.
RE: https://hackers.pub/@hongminhee/2025/bluesky-a-good-alternative-to-x-not-to-the-fediverse
아마 글은 SNS의 기능으로선 훌륭한 대안이지만, 탈중앙화적 지향점이나 기술 특성을 연합우주와 비교하면 대안이 되지 않는다는 의미라고 생각합니다. 아직 블루스카이를 비롯한 AT Protocol 쪽은 사실상 Bluesky 서버에 굉장히 의존적이라고 생각되구요. (PDS 서버를 띄울 수 있게 된 것도 그렇게 오래 되지 않았으니...)
저도 일반 사용자들이 연합우주를 고려할 때 (필수는 아니지만 결국...) 탈중앙화나 분산에 대한 개념을 이해해야한다는 점이 꽤 큰 진입 장벽이 되고 있다 느껴서, 저는 연합우주와 X 그리고 Bluesky가 어느 쪽도 다른 쪽의 "완전한 대안"이 될 수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마크다운까지는 지원
@alternative Markdown 확장도 다양하게 지원합니다. ㅎㅎㅎ 다이어그램 같은 것도 지원하고요.
Hackers' Pub에서 DOT 언어(Graphviz)로 다이어그램 그리기
Hackers' Pub에 숨겨진 유용한 기능, 바로 Graphviz DOT 언어 지원에 대해 알아봅니다. 이 기능을 사용하면 복잡한 다이어그램을 간단하게 Markdown 코드 블록 안에 DOT 언어로 기술하여 표현할 수 있습니다. 특히 `graphviz` 언어 태그를 사용하여 ActivityStreams 데이터 전송 과정을 시각적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서버 간의 상호작용을 명확하게 보여주는 다이어그램을 통해, 독자는 Mastodon과 Hackers' Pub 서버 간의 데이터 흐름을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이 기능은 긴 게시글뿐만 아니라 짧은 글에서도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으며, 기술적인 내용을 시각적으로 표현하고자 하는 사용자에게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hackers.pub · Hackers' Pub
Link author: 洪 民憙 (Hong Minhee)@hongminhee@hackers.pub
@xtjuxtapose 어서오세요!
@skyobserverJongsu Kim 어서오세요!
그러고 보니 탈퇴 기능도 만들어야 하는데…
@hongminhee洪 民憙 (Hong Minhee) 아하 아쉽군요... fediverse 프로토콜 지원하는 앱 중에 얻어걸리듯이 지원되는 게 하나는 있을 줄 알았습니다 ㅋㅋㅋ
@bin_bash_shell이수호 그게 여러 사정이 있는데요, ActivityPub에도 S2S 인터랙션과 C2S 인터랙션이 존재하지만 실제로는 전자만 쓰이고 후자의 역할을 Mastodon API가 사실상의 표준이 되어서 맡고 있습니다… 그래서 Mastodon 클라이언트 앱은 있지만 연합우주 클라이언트 앱은 없는 게 현실이예요. 그러다 보니 Pleroma, Akkoma, Hollo 등이 모두들 Mastodon 호환 API를 구현하고 있고요.
Mastodon 호환 API를 구현하면 기존 Mastodon 클라이언트 앱을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지만, Mastodon에 없는 기능은 추가하기 어렵다는 단점도 있습니다. 예를 들면 Mastodon은 인용 기능이 없잖아요? 그래서 인용 기능과 Mastodon 호환 API를 둘 다 구현해도 인용은 Mastodon 클라이언트 앱으로 못 하는 상황이 되는 거죠.
Hackers' Pub은 일단 Mastodon 호환 API를 구현할 생각은 없긴 해요. 차라리 자체 모바일 앱을 개발하는 게 낫지 않을까 싶고, 그 전에 일단 모바일 웹을 더 잘 닦아두는 걸 먼저 하려고요.
Hackers' Pub에서는 Markdown 내용 안에 HTML을 어느 정도 (XSS을 허용하지 않을 정도) 허용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abbr>
, <kbd>
, <ruby>
같은 태그를 써서 좀 더 풍성한 서식화가 가능합니다.
crontab은 원하는대로 동작하지 않을 때가 많고 왜 안 되는지 이유를 알기도 어려웠는데 ChatGPT에게 물어 보니 source ~/.profile
넣고 해보라길래 그렇게 했더니 잘 된다.
@curry박준규 아니면 스크립트가 항상 절대 경로를 사용하게 하고 현재 작업 디렉터리(CWD)나 환경 변수 등에 의존하지 않게 만들면 되더라고요. 물론, 스크립트를 그렇게 짜는 게 좀 고통스럽긴 하지만요…
초대장 뿌리는 기능도 구현해야 하는데… 지금은 그냥 데이터베이스 직접 들어가서
UPDATE account SET left_invitations = least(left_invitations + 1, 3);
날리고 있다. 😓
@flow 님 어서오세요!
블루스카이를 연합우주보다 먼저 썼고, 해커뉴스에서 관련 주장에 대해서 꽤 싸우기도 한 입장에서 민희님의 글 〈Bluesky는 X의 훌륭한 대안일 수 있지만, 연합우주의 대안은 아닙니다〉에 대한 반대 의견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 의견이 연합우주에 대한 전면적인 비판이 아니라는 것을 의견을 제시하기에 앞서 확실히 해 둔다(그랬다면 Hackers' Pub에 들어 올 일이 없었겠지).
탈중앙화는 매력적인 개념임이 틀림 없다. 인터넷의 많은 중요한 요소들이 어느 정도 탈중앙화되어 있으므로 탈중앙화가 인터넷의 장점들에 큰 몫을 했다는 생각을 쉬이 할 수 있고, 어느 정도는 그게 사실이기도 하니까. 하지만 엄밀히 말하자면 탈중앙화는 기술적인 특징이지 그 자체로 장점이 아니며, 탈중앙화가 장점으로 작용하려면 연결고리가 필요하다. 이를테면 비트코인을 위시한 암호화폐는 본디 비잔틴 실패까지 대비할 수 있는 강력한 탈중앙화를 장점으로 내세웠으나, 결국 화폐로서 제대로 사용되기 시작하자 현실 경제와의 커플링 때문에 그 "장점"이 크게 희석되고 말았다. 현 시점에서 암호화폐는 무에서 유의 신뢰를 창조하여 신용화폐의 요건을 충족하는 데까지는 성공했고 그것만으로도 역사적인 일이기는 하지만, 그게 탈중앙화랑 무슨 상관이 있느냐 하면 글쎄올시다.
블루스카이가 연합우주보다 덜 탈중앙화되어 있음은 분명하다. 민희님의 글에서 지적되었듯, 블루스카이가 이런 선택을 한 가장 큰 이유는 온전한 소셜 네트워크 기능을 위해 전역 뷰가 필수적으로 필요하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반대로 말하면 연합우주는 더 탈중앙화를 하기 위하여 전역 뷰를 포기했는데, 이 때문에 연합우주에서의 "소셜 네트워크"는 트위터/X와는 구조가 크게 다르다. 노드 규모가 문턱값에 다다르지 못하면 다른 노드에 있는 사용자를 찾아서 팔로해야만 온전한 소셜 네트워크 구성이 가능한데, 연합우주 안에서는 이런 외부 사용자를 찾는 구체적인 방법을 제공하지 않는다. 물론 인터넷과 똑같이 검색 엔진이 존재할 수야 있겠지만, 크롤링으로 인한 부하와 프라이버시에 대한 의견 차이 때문에 현실적으로 작동하는 연합우주 내 검색 엔진은 없다고 알고 있다. 따라서 연합우주에서 소셜 네트워크의 구성은 연합우주 바깥의, 보통은 중앙화되어 있는, 다른 소셜 네트워크(이를테면 현실 인간 관계)를 빌어야만 하는데, 이러면 탈중앙화가 큰 가치가 있을까?
한편으로는 전역 뷰가 소셜 네트워크의 단점이라고 주장할 수 있는 여지도 있다. 트위터/X를 오래 써 본 사람이라면 다 알겠지만 한 무리의 사람들이 다른 의견을 가진 무리와 충돌하는 주된 통로는 검색이나 해시태그를 통한 노출, 즉 전역 뷰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현실의 규모 있는 연합우주 노드들을 살펴 보면 각 노드가 곧 한 무리에 대응하는 식으로 충돌을 미리 회피하는 형태로 구성되지, 딱히 이런 충돌을 막기 위한 접근을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니다. 노드 운영자를 위해 차단하는 걸 추천하는 서버 목록 같은 게 돌아다니는 건 연합우주 바깥의 일이지 않는가. 결국 전역 뷰의 역할을 대체하는 소셜 네트워크 바깥의 또 다른 소셜 네트워크가 존재할 것이기에, 우리가 소셜 네트워크를 어떤 이유로든 유용하다고 여긴다면 전역 뷰가 없는 게 장점이 될 수는 없다.
모든 이들이 이런 사고 과정을 가지고 블루스카이나 연합우주를 선택했다고 생각하진 않지만, 적어도 현 시점에서 사용자들은 블루스카이(이 글을 쓰는 시점에서 약 3360만명)를 연합우주(FediDB와 Fediverse.party로부터 추정할 때 최대 1530만명)보다 선호하는 것은 틀림이 없다. 게다가 블루스카이의 규모는 최근 1년 사이에 10배 불어난 것이고, 조금 장애가 있었지만 현재는 잘 동작하는 것으로 보인다. 위의 논의와 결합해 보면, 블루스카이는 정석적인 스케일링에 성공하고 있는 반면 연합우주는 스케일링 문제를 회피하기 위해 온전한 소셜 네트워크의 구성을 포기했다고 볼 수도 있는 대목이다. 블루스카이가 못미더운 부분은 분명히 존재하지만, 연합우주가 더 좋은 소셜 네트워크 경험을 제공한다고 가정하고 블루스카이의 단점을 제시할 수는 없다. 마치 암호화폐를 논할 때 장점만 말할 수 없는 것과 마찬가지로 말이다.
RE: https://hackers.pub/@hongminhee/2025/bluesky-a-good-alternative-to-x-not-to-the-fediverse
Hello, world!
@simnalamburtJihyeon Kim 어서오세요!
Hello, world!
Nix 기반의 인프라 관리에 관심있으신 Go 고수분 계시다면 nix-snapshotter에 관심 가져보시는걸 추천드립니다. 지금 메인테이닝이 살짝 안되고있는데 기여자가 많아지면 좋겠네요.
Hackers' Pub 사용자 분들은 모바일에서 작성할 때 무슨 앱을 많이 쓰시나요?
@bin_bash_shell이수호 아직 지원하는 앱이 없습니다… 웹으로 쓰셔야 하는데, 웹도 모바일에서 많이 깨지고 있어요. 🙄
물 들어올때 노젓기 준비 ON
@hongminhee洪 民憙 (Hong Minhee) 해커스펍에 아직 마스토돈 API를 구현하지 않은 것이 의도하신 건가요, 아니면 로드맵에는 존재하는데 아직 구현을 안 하신 건가요?
@curry박준규 사실 로드맵에도 없긴 합니다. Mastodon API로는 표현할 수 없는 기능들이 이미 꽤 되어서요. 이를테면 인용도 Mastodon에서는 지원 안 해서 Mastodon API로 표현이 안 됩니다.
이게 해커들의 퍼블릭 하우스입니까? 맥주 한잔 하고 싶은 좋은 곳이군요. 🍺 (술 안마심)
@tedpool테드풀 사실 저도 술은 안 마신답니다… ㅋㅋㅋ 어서 오세요!
이게 해커들의 퍼블릭 하우스입니까? 맥주 한잔 하고 싶은 좋은 곳이군요. 🍺 (술 안마심)
洪 民憙 (Hong Minhee) replied to the below article:
Hackers' Pub CoC
daisuke @dai@hackers.pub
この文章は、ホンさんのコミュニティにおける行動規範に対する共感と、その発展への協力意欲を表明しています。特に、コミュニティにおいて「すべての事象に入門者が存在する」という認識の重要性を強調し、参加者がこの点を理解することで、アウトプットの促進と新規参入者の受け入れが円滑になると述べています。入門者が恐縮せずに参加できる環境こそが、現代の開発者コミュニティに欠けている点であり、Hackers' Pubの初期方針が理にかなっていると評価しています。この認識を共有し、アウトプットを通じて未来の自分に還元されるという信念が、コミュニティの活性化に繋がると信じていることが伝わってきます。
Read more →@daidaisuke お読みいただきありがとうございます!いつもお世話になっております。
洪 民憙 (Hong Minhee) shared the below article:
Hackers' Pub CoC
daisuke @dai@hackers.pub
この文章は、ホンさんのコミュニティにおける行動規範に対する共感と、その発展への協力意欲を表明しています。特に、コミュニティにおいて「すべての事象に入門者が存在する」という認識の重要性を強調し、参加者がこの点を理解することで、アウトプットの促進と新規参入者の受け入れが円滑になると述べています。入門者が恐縮せずに参加できる環境こそが、現代の開発者コミュニティに欠けている点であり、Hackers' Pubの初期方針が理にかなっていると評価しています。この認識を共有し、アウトプットを通じて未来の自分に還元されるという信念が、コミュニティの活性化に繋がると信じていることが伝わってきます。
Read more →@ak 어서 오세요!
Bluesky와 페디버스(fediverse)의 비교
------------------------------
## 핵심 아키텍처 차이: 메시지 전달 vs 공유 힙
- *페디버스* : 이메일과 유사한 “메시지 전달” 방식 사용
- 특정 수신자에게 직접 메시지 전달
- 필요한 서버에만 메시지가 전송되어 효율적
- 개인이 저렴한 하드웨어로도 노드 운영 가능
- Bluesky : “공유 힙” 방식 사용
- 모든…
------------------------------
https://news.hada.io/topic?id=19952&utm_source=googlechat&utm_medium=bot&utm_campaign=1834
洪 民憙 (Hong Minhee) replied to the below article:
Bluesky는 X의 훌륭한 대안일 수 있지만, 연합우주의 대안은 아닙니다

洪 民憙 (Hong Minhee) @hongminhee@hackers.pub
최근 X(구 Twitter)를 떠나는 사용자들이 늘면서 Bluesky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Bluesky는 깔끔한 인터페이스와 과거 Twitter와 유사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며, '신뢰할 수 있는 이탈'이라는 매력적인 개념을 내세워 X의 유력한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 글에서는 Bluesky와 그 기반 프로토콜인 AT Protocol이 연합우주(fediverse)의 대안이 될 수 없는 이유를 설명합니다. Bluesky는 메시지 전달 방식 대신 공유 힙 방식을 사용하며, 이는 중앙 릴레이에 의존하게 만들어 탈중앙화의 이상과는 거리가 멀어집니다. 또한, 전역 뷰에 대한 집착은 차단 목록의 전체 공개와 같은 개인 정보 보호 문제를 야기하며, AT Protocol은 아직 특정 사기업에 의해 주도되고 있어 개방형 표준으로서의 한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Bluesky는 이동 가능한 아이덴티티를 제공하지만, 여전히 중앙화된 요소에 의존하고 있으며, DM은 완전히 중앙화되어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Bluesky는 X의 훌륭한 대안이 될 수 있지만, 연합우주가 제공하는 탈중앙화된 가치와 경험을 대체하기는 어려울 것입니다. 이 글을 통해 Bluesky와 연합우주의 차이점을 명확히 이해하고, 자신에게 맞는 플랫폼을 선택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Read more →GeekNews에도 〈Bluesky와 페디버스(fediverse)의 비교〉라는 제목으로 올렸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