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커즈펍에 포스트 올릴 때 internal server error 뜨는 거 aws 죽어서 그런 줄 알았는데 지금도 안 올라감… 리포스트는 되네 원래 해커즈펍 시간표시 GMT+00:00으로 된다는 내용을 쓰고 싶었음

정진명
@jjme@hackers.pub · 42 following · 30 followers
약력은 비워둘 수 없습니다.
GitHub
- @jjmenet
AWS 나가서 그런가 hackers.pub 에 새 메세지가 안 써진다.
Hackers' Pub
마스토돈 스타일의 새로운 커뮤 플랫폼, 커뮹! 을 런칭합니다. 기성 소셜 플랫폼들을 커뮤 운영 방식에 끼워 맞추던 불편함을 해소하고자 시작된 프로젝트입니다. 당초 예상했던 것보다 뜨거운 관심에, 계획보다 빠르게 출시하게 되었습니다. 많은 응원과 관심 부탁드립니다. https://commu.ng
I'll write a detailed blog post soon, but I'm thrilled to share that Fedify has received investment from the Sovereign Tech Fund, which means I'll be able to focus exclusively on the Fedify project for the next year or so.
早晩間 블로그 글로 仔細히 풀겠지만, Fedify 프로젝트가 STF로부터 投資를 받게 되어, 제가 앞으로 約 一年 동안 Fedify 프로젝트에만 專念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I've signed the Plan Vert letter, calling on Rails Core and the wider Ruby community to fork Rails and cut ties with DHH and his work.
Please sign, the future of Rails and Ruby depends on it. https://github.com/Plan-Vert/open-letter
도메인 검색하면서 .uk
도메인 가격 볼 때마다 욱으로 끝나는 이름 가진 사람들은 자기 이름 달린 도메인 싸게 사겠지 싶어서 묘하게 부러움
Some loosely organized thoughts on the current Zeitgeist. They were inspired by the response to my recent meta-project mentioned in my previous post https://mathstodon.xyz/@tao/115254145226514817, where within 24 hours I became aware of a large number of ongoing small-scale collaborative math projects with their own modest but active community (now listed at https://mathoverflow.net/questions/500720/list-of-crowdsourced-math-projects-actively-seeking-participants ); but they are from the perspective of a human rather than a mathematician.
As a crude first approximation, one can think of human society as the interaction between entities at four different scales:
1. Individual humans
2. Small organized groups of humans (e.g., close or extended family; friends; local social or religious organizations; informal sports clubs; small businesses and non-profits; ad hoc collaborations on small projects; small online communities)
3. Large organized groups of humans (e.g., large companies; governments; global institutions; professional sports clubs; large political parties or movements; large social media sites)
4. Large complex systems (e.g., the global economy; the environment; the geopolitical climate; popular culture and "viral" topics; the collective state of science and technology).
(1/5)
구글에 '해커스펍'을 검색해도 검색 결과에 hackers.pub이 보이지 않는다는 걸 알았다. '해커즈 퍼브'도 마찬가지다.
정진명 shared the below article:
아보카도 있었어
정진명의 굳이 써서 남기는 생각 @jm@guji.jjme.me
아내가 남편에게 말했다. "가서 장 좀 봐 줄래? 우유 하나 사오고 아보카도 있으면 여섯 개 사 와."
얼마 후 남편이 우유 여섯 개를 들고 돌아왔다.
아내가 말했다. "왜 우유를 여섯 개나 사 왔어?"
남편이 답했다. "아보카도 있었어."
- r/dadjokes에 올라온 버전
사람들은 이 유머를 보고 "남편이 프로그래머" 같은 식으로 이야기를 하지만, 엄밀히 말해 프로그래머는 이렇게 행동하지 않을 것이다: 아내와 같은 의도를 지녔을 때, 컴퓨터가 남편처럼 행동하지 않게 만드는 것이 프로그래머가 하는 일(중 하나)이기 때문이다.
이 유머를 이해하지 못했다는 사람을 위해서 남편의 행동 양식을 코드로 작성해서 보여주는 것을 트위터에서 보기도 했는데, 기억을 더듬어 보자면 다음과 같은 코드이다.
milk_amount = 1;
if (they_have_avocados) {
milk_amount = 6;
}
buy_milk(milk_amount);
이런 코드를 작성하는 것은 유머를 즐기는 방법 중 하나이긴 하지만, 설명으로서는 부적절하다고 생각한다: 사실 "(아내는 아보카도가 있으면 아보카도를 여섯 개 사오라는 거였는데) 남편은 아보카도가 있으면 우유를 여섯 개 사 오라는 말로 이해했다"라고 말로 설명하는 것과 무엇이 다른가? 남편이 왜 그렇게 이해했는지를 설명해 주는가? 그 지점에서 저 코드는 말로 설명하는 것과 차이가 없다.
사실, 아내의 말에서 "아보카도 있으면"과 "가기전에 냉장고 한번 보고 우유 하나도 없으면"은 어느 것을 넣어도 문장을 형식적으로 성립시키고, 의미적으로도 성립시킨다. 달라지는 것은 '여섯 개'가 무엇을 가리켰을 것이냐고 (합리적으로 생각했을 때) 이끌어낼 수 있는 부분이다. 이것은 주어진 글의 형식만으로는 결정할 수 없다. 이 유머를 이해하지 못하는 것은 다음을 이해하지 못하는 것이다. 이 유머가 시사하는 저 문장의 중의성, 아니 저 문장이 중의적으로 해석될 여지가 있다고 기어이 생각하는 사람들을 말이다. 그리고 우리 주변에서 볼 수 있는 그런 사람들은 보통 프로그래머다.
아니 아무리 그래도, 엄밀히 말해 프로그래머는 이렇게 행동하지 않을 것이다…….
Go로 JSON 패키지 만들고 이름을 고조선(go-joseon)이라고 지으면 어떨까란 생각이 들었음
오이카페에 ActivityPub 지원이 들어갔습니다. 이제 좋아하는 작가나 커뮤니티의 새 그림을 연합우주에서도 받아 보세요!
작가 프로필이나 커뮤니티 메인 페이지에서 ActivityPub 핸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인용된 그림은 ActivityPub 연동을 도와주신 @hongminhee洪 民憙 (Hong Minhee) 님이 오이카페 초창기에 그려 주신 고양이 그림입니다. 감사합니다!
CV 겸 개인 홈페이지였던 사이트를 아예 커스텀 블로그로 바꾸면서... 어제 슬쩍 홍보를 올렸는데요
Pelican으로 만들고 GitHub Pages로 배포를 했는데, 급하게 수정할게 있어서 추가 commit을 했더니 갑자기 README를 기반으로 한 디폴트 페이지로 바뀌었습니다;;;
그러니까 기존 배포 A, 리뉴얼 배포 B, hot-fix 배포 C 이렇게 세개가 있으면, C를 했는데 실패해서 (실패 원인: GitHub Action이 새벽에 일시적으로 불안정했음) 당연히 B가 나올줄 알았는데, A도 B도 아닌 README 기반의 만든적도 없는 배포 X가 나왔습니다... 왜였을까요...? Action 사용하기 이전 시절의 (Jekyll 등을 지원하던) GitHub Pages 빌드 방식이 남아있어서 뭔가 꼬였는지...
암튼 블로그 많이 놀러와주세요,,, 게임 추천으로 시작합니다 (포스트도 아니고 인덱스 페이지에서)
논문요약기 리팩토링을 좀 했습니다 https://github.com/theeluwin/summarxiv 오픈소스지만 세팅하기 귀찮으신 분들을 위해서 제가 연1만원에 매일 아침 메일로 보내드립니다 https://forms.gle/xiLPNyEqsLEH5BLH9 많관부
Hackers' Pub의 로고 디자인이 완료되었습니다! 디자인은 박은지 님(@murinono무리노노)께서 해주셨습니다.
연합우주라는 콘셉트에 맞게 고양이의 입 주변을 별 모양으로, 목 아래에도 고리(orbital ring) 모양으로 디자인했습니다. 고양이를 고른 이유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머 커뮤니티에서 다른 동물보다 유독 고양이가 사랑 받기 때문이기도 하고, 고양이가 호기심이 강하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로고 디자인은 CC-BY-SA 4.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
안녕하세요, 업으로 프로그래밍을 하고 있는 컴퓨터 학부생 김무훈입니다.
현재 3년차 웹 프론트엔드 개발자로서, 다가오는 7월부터 함께할 정규직 포지션을 적극적으로 찾고 있습니다.
최근 학과 사무실에서 졸업 요건을 확인한 결과, 전공 필수 한 과목과 전공 선택 2학점(총 5학점)이 남아있음을 확인했습니다.
본래는 다음 2학기까지 수료 후 내년 2월에 졸업할 예정이었으나, 교수진과 상의한 결과 취업 및 재직이 확정된다면 수업 이수 방식을 보다 유연하게 결정할 수 있다는 긍정적인 답변을 받아 적극적으로 조기 취업을 추진하게 되었습니다.
이는 전공 필수 과목의 경우에만 해당이 되는 문제이고, 전공 선택 2학점의 경우 앞으로의 여름 학기 현장 실습 또는 다음 학기에 개설되는 하나의 원격 강의로 대체하여 문제가 없는 상태입니다.
지금까지의 업무 경험과 프로젝트는 아래의 포트폴리오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경력기술서 겸 포트폴리오 페이지: https://www.frontend.moe/portfolio/
좋은 인연을 찾을 수 있도록, 많은 관심과 연락 부탁드립니다!
새로 읽으시는 분은 https://www.frontend.moe/resume/ 이쪽 이력서를 확인 부탁드립니다.
본문 내 아웃링크로 걸어둔 경력기술서 겸 포트폴리오 정보량이 너무 많다는 의견을 자주 받아서, 약식화한 RESUME 페이지를 새로 만들었습니다.
제주어 ISO 639 코드가 ko-jje에서 jje로 독립했구나.
다시 말해, 한국어 방언으로 간주됐다가 별개 언어로 독립했다, 이 말입니다.
https://iso639-3.sil.org/code/jje
이웃집에 자녀가 둘이 있다는 건 알고 있었는데, 오늘 아침 아내가 그 집 아들을 만나 인사했다고 한다. 그 얘기를 듣고 그럼 다른 아이는 딸일 확률이 높겠네 라고 말했더니 아내는 별 말 없이 고개를 끄덕였다. 이 때 내 아내가 이과 전공자일 확률은?
안녕하세요, 페미위키 개발팀입니다. 개발팀 활성화를 위해 이리저리 둘러보다 해커스펍에 대해 알게 되었습니다. 여건이 되면 페미위키 개발에 대해서 얘기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들어보려 합니다!
더불어 페미위키 개발팀에서 오픈소스 컨트리뷰터 & 개발팀을 모집합니다! 페미니스트시라면 정체성 불문, 거주국 불문하고 모시고 있습니다. 함께 페미니즘 정보집합체 만들어가요!
Hackers' Pub에 공유할 수 있는 초대 링크 기능을 추가했습니다. 설정 → 초대 페이지에서 초대 링크 생성이 가능하며, 초대 링크는 정원이나 유효 기간, 메시지를 정할 수 있게 되어 있습니다. 아무래도 DM으로 직접 초대 요청을 달라고 하면 쑥스러움이 많은 분들은 요청을 안 하시는 경우가 많은 것 같아서 만들게 되었습니다. 참고로, 초대 링크를 통해 가입한 사용자는 초대 링크를 생성한 사람과 자동으로 맞팔하게 됩니다.
최근에는 Replicube를 지나치게 많이 하고 있다. 얼마나 많이 했냐 하면 플레이어 커뮤니티에서 주최한 첫 온라인 이벤트에서 빌드 배틀에 나가서 2등 했다...
"나는 예전에는 글을 많이 쓰곤 했다. 아이디어가 떠오르면 적어두고, 시간을 들여 신중히 다듬어서 하나의 작품으로 만든 다음, 완성되면 세상에 공유했다. (...) 하지만 이제는 아이디어가 떠올랐을 때 엉성한 단어 몇 개만 프롬프트에 밀어 넣으면 즉시 완성된 생각이 얻어진다. AI가 아이디어를 너무나 쉽게 구체화할 수 있기 때문에, 아무리 발전된 아이디어라도 내 생각을 공유하고 싶은 마음이 덜 든다." 요즘 내가 글을 안(못) 쓰는 이유와 일맥상통. https://dcurt.is/thinking
혼자서 일하면 끔찍한 관리자 밑에서 일하는 경험과 끔찍한 프로그래머를 관리하는 경험을 동시에 할수 있다. 개꿀~
정진명 shared the below article:
함수형 언어의 평가와 선택

Ailrun (UTC-5/-4) @ailrun@hackers.pub
이 글은 함수형 언어의 핵심 개념을 람다 대수를 통해 소개하며, 함수형 언어의 평가 방식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제공합니다. 람다 대수의 기본 요소인 변수, 함수, 함수 호출을 설명하고, 값에 의한 호출(CBV)과 이름에 의한 호출(CBN)의 차이점을 명확히 분석합니다. 특히, 폴 블레인 레비의 "값 밀기에 의한 호출(CBPV)"을 소개하며, 이 방식이 CBV와 CBN을 모두 포괄할 수 있는 강력한 도구임을 강조합니다. CBPV가 함수와 함수 호출을 스택 기반으로 어떻게 다르게 해석하는지, 그리고 이를 통해 람다 대수를 기계 수준으로 컴파일할 때 얻을 수 있는 이점을 설명합니다. 항수 분석과 같은 최적화 기법을 CBPV를 통해 어떻게 더 명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지 보여주며, GHC 컴파일러의 중간 언어로서 CBPV의 중요성을 부각합니다. 이 글은 함수형 언어의 깊은 이론적 배경과 실제 컴파일러 구현 사이의 연결고리를 탐구하고자 하는 독자에게 유용한 통찰력을 제공합니다.
Read more →아니 이게 뭐야 ㅋㅋㅋㅋ JS 함수가 거기서 왜 나와 ㅋㅋㅋㅋ
정진명 shared the below article:
킹켄 혼도리점(キング軒 本通店)의 즙 없는 탄탄멘
정진명의 굳이 써서 남기는 생각 @jm@guji.jjme.me
가게정보
상호: キング軒 本通店
주소: 広島県広島市中区本通8-7 しげとみビル 1F
방문한 날짜: 2025년 3월 20일
먹은 메뉴: 즙 없는 탄탄멘(汁なし担担麺)

검은 면기에 가는 면이 담겨 있고 후추, 다진 고기, 채썬 대파가 올라가 있다.
생각
즙 없는 탄탄멘이라는 것이 유행하다고 해서, 숙소 근처에 있는 가게에 가서 먹게 되었습니다.
가게에 들어가면 가게 전체에 나는 마라향(산초? 잘은 모르겠습니다.)에 압도됩니다. 조금 기다려서 서빙된 용기에서 면과 아주 적은 양의 국물을 잘 비벼 먹으면, 향에서 기대하게 되는 매운 맛은 강하지 않고, 강한 감칠맛이 올라옵니다. 매우리라는 기대를 배신당하는 점이 재미있고, 감칠맛이 좋습니다.
이 글을 쓰는 동안 맛과 향을 떠올리니 더 먹고 싶네요.
Ghost's social web integration is built on the fantastic work of @hongminhee洪 民憙 (Hong Minhee) and the Fedify.dev framework.
We've been backing work on the project for 6 months or so, and now we're thrilled to be formal sponsor of the project on Open Collective!
If you're building with Fedify and ActivityPub, please consider joining us to keep helping to make great open source work sustainable ❤️ Every little helps
가끔 구글 트렌드로 "하스켈" 추이를 봅니다.
지역을 눈여겨 본 적이 없었는데, 지금 보니 "대전"이 1위, "광주"가 2위, 의외로 서울이 3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