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eee.cafe/collaborate 오이카페에 넷캔 기능이 추가되었습니다! 저주피 없는 오이깎이 넷캔을 2025년도에 느껴 보세요. 넷캔 세션을 시작한 다음, 공유 버튼으로 세션 링크를 함께 그리고 싶은 분에게 공유하면 됩니다.
초무
@2chanhaeng@hackers.pub · 75 following · 60 followers
Optique를 사용해보고 싶어서 만들어봤어요: https://github.com/jcha0713/togl
외계 생명체에게 메시지를 보낼 때 유용할지도 모릅니다.
트잇타 사담계도 터지고, 뭔 별의별 되도않는 싸불이 너무 당연하다는듯이 일어나버리니까 이렇게 된 이상 연합우주로 트친들을 전부 데려와야겠다는 사명감이 생겼다(?)
이거지!!!!!!!!!!
여러분. 이 책 진짜 좋습니다.
- 브라우저를 진짜 밑바닥에서부터 만드는거라 소켓프로그래밍부터 시작함.
- 레이아웃 알고리즘, 파싱이론 등 CS 이론도 필요하다면 다룸
- 브라우저를 로우레벨에서부터 이해 가능함
... >> 중요한건 파이썬으로 실습하는 교재임 <<
이렇게 시장에 나오자마자 오바쌈바를 떨면서 좋다고 야단법석을 떨었던 책 중 하나가... 게르겔리 오로스의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가이드북이었던가....
이것도 한때 개발자들 사이에서 한참 오르락내리락 했던 책이었죠....?
Show GN: Rust + SvelteKit으로 만든 오픈소스 블로깅 서비스
------------------------------
웹 개발 연습 겸 글쓰기 경험을 위해 직접 만든 블로깅 서비스를 공개했습니다.
현재는 베타 단계이지만, Rust(Axum) 백엔드와 SvelteKit 프론트엔드로 구현했으며, 오픈소스로 누구나 코드 확인 및 기여가 가능합니다.
repository:
주요 기능
🖤 심플한 UI, 다국…
------------------------------
https://news.hada.io/topic?id=22919&utm_source=googlechat&utm_medium=bot&utm_campaign=1834
最近 한창 開發中인 Fedify 基盤 ActivityPub 서비스 2個:
- Kosmo:
@robin_makirobin 님이 만들고 계시는 次世代 ActivityPub 基盤 SNS - Cosmoslide:
@kodingwarriorJaeyeol Lee (a.k.a. kodingwarrior)
님이 만들고 계시는 ActivityPub 基盤 슬라이드 共有 서비스
完全 期待中!!
시대 배경이 2008년 ~ 2010년인 작품을 보면서 보면서 가장 보기 괴로운 점은 시대 고증과 묘사가 훌륭해서 사람들이 쓰는 노트북 속 인터넷 익스플로러 8이나 9 정도의 UI가 생생하게 그려진 점이다.
?????????????
Space Fantasy (이박사) - 카사네 테토 Cover https://youtu.be/vXVHh7C6Wbk?si=e_OBJG7aJ8Y2oO6T
신지로는 공기의 호흡을 쓸거 같아요
초보자에게 서버를 골라야 하는 큰 장벽이 없으면서 서버는 기술적 지식 없이 만들 수 있으면 좋겠다...
커뮤니티에서 정치적 발언을 하는 것을 금지하는 것의 문제는, 정치적인(또는 그렇게 들린다고 다른사람들이 주장하는) 발언으로 문제가 생겼을때(안 생길수가 없다) 발언의 옳고그름을 떠나, 발언이 정치적인지 아닌지를 따지는쪽으로 흘러가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아 물론, 대놓고 정치적 발언을 많이 해서 커뮤니티 구성원들을 피곤하게 하는건 좀 다른 문제고, 그걸 피하기 위해 정치적 발언을 금지하는 강령이 있는것일 테다. 근데 이건 그냥 각자 눈치껏 잘치기길 기대하는 수준이고, 커뮤니티의 방향성과는 무관한, 각자 지켜야할 운전 매너에 가깝다. 내 말은, 언젠가 커뮤니티내에서 큰 의견 차이가 생겼을때, '정치적 발언 안됨'이 해결책이 되길 기대할순 없단거다.
참고로 Hackers' Pub은 패스키 인증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
초무 shared the below article:
Stop writing CLI validation. Parse it right the first time.
洪 民憙 (Hong Minhee) @hongminhee@hackers.pub
This post introduces Optique, a new library created to address the pervasive problem of repetitive and often messy validation code in CLI tools. The author was motivated by the observation that nearly every CLI tool reinvents the wheel with similar validation patterns for dependent options, mutually exclusive options, and environment-specific requirements. Optique leverages parser combinators and TypeScript's type inference to ensure that CLI arguments are parsed directly into valid configurations, eliminating the need for manual validation. By describing the desired CLI configuration with Optique, TypeScript automatically infers the types and constraints, catching potential bugs at compile time. The author shares their experience of deleting large chunks of validation code and simplifying refactoring tasks. Optique aims to provide a more robust and maintainable approach to CLI argument parsing, potentially saving developers from writing the same validation logic repeatedly.
Read more →Every CLI tool has the same validation code hidden somewhere:
- “option A requires option B”
- “can't use X and Y together”
- “this only works in production mode”
I got tired of writing it. So I built something that makes it unnecessary.
https://hackers.pub/@hongminhee/2025/stop-writing-cli-validation-parse-it-right-the-first-time
Stop writing CLI validation. Parse it right the first time https://lobste.rs/s/deaem7 #javascript #programming
https://hackers.pub/@hongminhee/2025/stop-writing-cli-validation-parse-it-right-the-first-time
製나 作 이나 둘다 짓다, 만들다라는 뜻인데 製品은 상품, 공산품 처럼 쓰이고 作品은 예술품, 공작품 처럼 쓰이는 게 신기하군
요것이 아시안 언어의 신비...?
@2chanhaeng초무 일본에선 영화나 애니메이션 등에서도 한자만 다른 두 제작이라는 용어가 있더라구요. 실제로 작품을 만드는 制作, 그걸 홍보해서 알리고 유통하는 製作.
製나 作 이나 둘다 짓다, 만들다라는 뜻인데 製品은 상품, 공산품 처럼 쓰이고 作品은 예술품, 공작품 처럼 쓰이는 게 신기하군
요것이 아시안 언어의 신비...?
@2chanhaeng초무 제가 알기로는 製라는 글자에 대량 생산이라는 함의가 추가된 게 메이지 유신 때 제조(製造)라는 번역어를 만들면서라고 알고 있습니다. 제품도 제조품의 줄임말인 거죠.
초무 shared the below article:
Optique 0.4.0: Better help, rich docs, and Temporal support
洪 民憙 (Hong Minhee) @hongminhee@hackers.pub
Optique 0.4.0 introduces enhancements to streamline CLI development in TypeScript. This release focuses on improving help text organization through labeled merge groups and a new `group()` combinator, making complex CLIs more user-friendly by organizing options under clear sections. Comprehensive documentation support is added via the `run()` function, allowing brief descriptions, detailed explanations, and footers without altering parser definitions. The update also includes Temporal API support with the `@optique/temporal` package, enabling type-safe parsing for dates, times, and time zones. Improved type inference for `merge()` and `tuple()` combinators enhances type safety, alongside minor breaking changes. These updates aim to make CLI construction more intuitive and maintainable, offering developers greater control over user experience and code structure.
Read more →코드를 스테이지에 넣고 커밋
코드를 스테이지에 넣고 커밋
코드를 스테이지에 넣고 커밋
코드를 스테이지에 넣고 커밋
코드를 스테이지에 넣고 커밋
코드를 스테이지에 넣고 커밋
코드를 스테이지에 넣고 커밋
코드를 스테이지에 넣고 커밋
그러니까 매번 행사할때마다 프린터카페 들려서 이걸 하면 된다는거지!?
포항항ꉂꉂ(ᵔᗜᵔ*)ㅋㅋㅋㅋ🛳🌊포항항항🚢🌊포핳핳핳🛳🌊🚢🌊⚓️⛴포항항ꉂꉂ(ᵔᗜᵔ*)ㅋㅋㅋㅋ🛳🌊포항항항🚢🌊포항항ꉂꉂ(ᵔᗜᵔ*)⛴🛳🌊⚓️🚢🌊⛴포항항항항⛴🌊 포항항ꉂꉂ(ᵔᗜᵔ*)ㅋㅋㅋㅋ🛳🌊포항항항🚢🌊포핳핳핳🛳🌊🚢🌊⚓️⛴포항항ꉂꉂ(ᵔᗜᵔ*)ㅋㅋㅋㅋ🛳🌊포항항항🚢🌊포항항ꉂꉂ(ᵔᗜᵔ*)⛴🛳🌊⚓️🚢🌊⛴포항항항항⛴🌊 포항항ꉂꉂ(ᵔᗜᵔ*)ㅋㅋㅋㅋ🛳🌊포항항항🚢🌊포핳핳핳🛳🌊🚢🌊⚓️⛴포항항ꉂꉂ(ᵔᗜᵔ*)ㅋㅋㅋㅋ🛳🌊포항항항🚢🌊포항항ꉂꉂ(ᵔᗜᵔ*)⛴🛳🌊⚓️🚢🌊⛴포항항항항⛴🌊 포항항ꉂꉂ(ᵔᗜᵔ*)ㅋㅋ
In #WebFinger, are there any relations that use the template property instead of the href property, excluding the http://ostatus.org/schema/1.0/subscribe relation?
개발자 컨퍼런스에 100% 참여하는 방법!
그건 바로 발표자가 되거나 오거나이저가 되는거라고 하네요
작년에 어떤 커뮤니티에 계엄 소식을 전했는데 “여기서 정치적인 발언은 하지 말아주세요.” 라는 말을 들었다.
- 재미난 생각이 떠오른다.
- 해커스펍에 올린다.
- 다른 분들의 반응을 지켜보다, 특별히 욕!이 없으면, 그럴싸하다고 판단
- X와 쓰레드에 해커스펍 글 링크를 올린다. 같은 글을 복붙해서 올리는 것이 아닌, 링크를 올리는 게 중요하다.
트위터가 터졌을 때도 해커스펍은 잘 동작했다~
초무 shared the below article:
정치적인 컨텐츠에 대한 생각
Jaeyeol Lee @kodingwarrior@hackers.pub
이 글은 사회생활에서 금기시되는 정치 이야기가 우리의 삶과 얼마나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는지를 고찰합니다. 저자는 정치적인 것이 단순히 정부나 정책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 사람이 개입하는 모든 영역에 존재한다고 주장합니다. 다양성을 존중하는 문화를 만드는 것조차 정치적 행위로 볼 수 있으며, 정치 혐오가 만연한 사회일수록 정치에 대한 관심이 더욱 필요하다고 강조합니다. 특히, 무심코 사용하는 표현이나 접하는 콘텐츠가 특정 정치적 의도를 담고 있을 수 있음을 경계하며, 정치적 프레임에 갇히지 않기 위해서라도 사회와 정치에 대한 꾸준한 관심이 중요하다고 역설합니다. 이 글은 정치적 무관심이 오히려 위험할 수 있음을 시사하며, 독자들에게 비판적 사고와 균형 잡힌 시각을 갖도록 촉구합니다.
Read more →참고로 Hackers' Pub의 행동 강령에서는 굳이 정치적인 주제를 금지하지 않고 있습니다. 정치적인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의 경계가 흐릿한 것도 있지만, 그렇게 했을 경우 기득권에 편향되기 쉽다는 점, 그리고 필요하다면 정치에 대해 이야기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많은 커뮤니티에서 정치적 대화가 필요할 때 조차 정치적 주제를 기계적으로 금지함으로 인해 자정 능력을 잃는 것을 봐 왔습니다.
Finally solved the #Degoogling debate. Anyone who finds fault with this list = Skill issue.
✨ Hackers' Public 첫 오프라인 모임! ✨
Hackers' Pub 사용자들의 자발적인 모임, Hackers' Public이 📅 9월 14일(일) 오후 3시 ~ 6시 열립니다.
이번 모임에서는 많은 분들이 흥미로워할 두 가지 발표가 준비되어 있습니다:
- 🎨 Code As a Canvas: 코드에서 예술작품이 되기까지
- ✍️ 폰트는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 Neo둥근모 개발 후일담
또한 자유롭게 교류할 수 있는 네트워킹 시간도 마련되어 있으니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
현재는 2차 모집 단계이며, 👉 신청은 포스터의 QR코드 또는 http://public.hackers.pub 에서 가능합니다. (두 경로 모두 동일한 이벤트 페이지로 연결됩니다)
2차 모집 기간은 9월 7일까지이며, 완판이 되었더라도 참가자 신청 대기하신 분 중에서 두분 정도 선정할 예정입니다!
1시간 만에 완판! 걱정마세요 아직 대기 신청이 남아있습니다!
파이썬 Async, 왜 아직 주류가 아닐까?
------------------------------
## *파이썬 Async, 왜 아직 주류가 아닐까?*
파이썬의 asyncio는 I/O(입출력) 작업이 많은 환경에서 대기 시간을 줄여 프로그램의 효율을 극적으로 높일 수 있는 강력한 도구입니다. 하지만 여러 장점에도 불구하고 모든 파이썬 개발자가 적극적으로 사용하지는 않는데, 여기에는 몇 가지 근본적인 이유가 있습…
------------------------------
https://news.hada.io/topic?id=22864&utm_source=googlechat&utm_medium=bot&utm_campaign=1834
나는 방금 네이버페이를 누르려다 실수로 스포티파이 앱을 켰다...
근데 그럴만하지 않냐고
우부콘 코리아 2025에서 **"연합우주(Fediverse)란 무엇인가"**를 주제로 소개하는 세션을 가졌었는데, 그 때 쓰던 발표자료 한번 만들어놓으니까 "연합우주는 이런겁니다" 하고 던져주기 좋은 듯.....
발표자료는 여깄다네요... https://slides.kodingwarrior.dev/fediverse-onboarding-ubucon2025.pdf
Parse, don’t validate는 언제 읽어도 좋은 글이다 https://lexi-lambda.github.io/blog/2019/11/05/parse-don-t-validate/
The #Fedify monorepo has grown to 16 packages!
We've been working hard to make Fedify more modular and easier to integrate with your favorite tools and platforms. From the core framework to database drivers, from CLI tools to web framework integrations—we've got you covered.
Our packages now include:
- Core framework and CLI tools
- Web framework integrations: Express, Hono, H3, Elysia, NestJS, Next.js, SvelteKit
- Database drivers: PostgreSQL, Redis, SQLite, AMQP/RabbitMQ
- Platform integrations: Cloudflare Workers, Deno KV
- Testing utilities
Each package is available on JSR and/or npm, making it easy to pick exactly what you need for your ActivityPub implementation.
What integration would you like to see next? Let us know!
https://well-typed.com/blog/2025/08/standard-chartered-supports-haskell-ecosystem/
제일은행을 먹은 SC(Standard Chartered)가 하스켈 생태계에 돈을 보태겠다네요. SC가 하스켈을 프로덕트에 조금씩 쓰고 있다는 얘기는 들은 적 있는데... 뭐 얼마나 후원하는지는 자세히는 안나와 있습니다만, 대기업 돈이 들어오면, 긍부정적 변화가 생기긴 하는데.. 툴체인이 정돈된다든지 해서 입문자한테 도움이 되는 변화가 생기면 좋겠습니다. 하스켈을 JS로 트랜스파일링 하는 컴파일러도 있는데, 막상 쓰려고 보면, 난이도가 너무 높아요.
튜링의 사과 의자가 너무 좋다. 내 키에 맞게 목받침 높이 조절할 수 있는 의자 난생 처음 본다. 목받침이 뒤통수를 누르는 게 아니라 목을 받쳐주다니(...)
Are there any active chat rooms on #Discord or #Matrix where #TypeScript developers gather?
@hongminhee洪 民憙 (Hong Minhee)
Minhee, please come back home. You can't just abandon your child like this. We will forgive everything. The baby needs you. Little Haskell is crying and starving.
의외로 잘 안 알려진 도구인데, mise가 정말 좋습니다. 다들 mise 쓰고 행복한 개발 하세요.
Are there any active chat rooms on #Discord or #Matrix where #TypeScript developers gather?
연합우주 약간 그거 같아...
A 서버 100명
B 서버 100명
C 서버 100명
합치면 100명 (...)
제가 여러분의 부러움을 한 몸에 살 사진 하나 올려드림
Hi there 👋
I’m Jaeyeol, a software engineer who loves Neovim and Zed. I see myself as a pragmatic builder — I focus on creating software that I’d genuinely want to use, made for people rather than for technology’s sake. Beyond coding, I also experiment actively within developer communities, often initiating gatherings and exploring new ways for people to connect and share.
One of my current personal projects happens to be in the fediverse space:
cosmoslide — a slideshare-like service for sharing presentations across the fediverse.
It’s built with NestJS (@fedify/nestjs) for the backend, Next.js for the frontend (most of it is vibe-coded, so I’ll probably rewrite it later 😅)
The project is still in development, with an expected first release between late September and mid October. It started as a personal experiment, but I’m excited to see how it may contribute to the broader fediverse ecosystem.
I enjoy meeting others who are curious about new ideas, whether in technology or in community.
Hackers' Public @ Seoul 1회차 모임 (1차 모집)
서울에서 열리는 Hackers' Pub 오프라인 밋업, "Hackers' Public @ Seoul"이 2025월 9월 14일(일) 처음으로 개최됩니다. 처음 열리는 밋업인 만큼, 참여하는 많은 분들이 재밌게 느낄 수 있는 소재 위주로 연사자 분들을 섭외했습니다.
- 일시 : 9월 14일 (일) 오후 3시 ~ 오후 6시
- 장소 : 서울특별시 성동구 상원길 26, 튜링의사과
- 주제
강연이 끝나고 난 뒤에 자유롭게 네트워킹하는 시간을 가질 예정입니다. 각자 얘기하고 싶은 주제를 들고 오시면 좋습니다.
참여 신청
오프라인 밋업은 여기서 참여신청이 가능합니다. https://event-us.kr/hackerspubseoul/event/110961
- 모집 기간
- 1차 모집 : 8월 27일 ~ 9월 1일 (Hackers' Pub에서만 모집)
- 2차 모집 : 9월 3일 ~ 9월 7일 (Hackers' Pub 외부에서도 공개적으로 모집)
주의사항
- 본 행사는 Hackers' Pub에서 진행하는 오프라인 행사이며, Hackers' Pub 계정을 가지지 않은 분이 신청하셨을 경우 환불처리될 수 있습니다.
- Hackers' Pub 외부에서 유입하시는 경우, 각 모집기간이 끝나고 24시간 안에는 Hackers' Pub에 가입이 되어 있으셔야 참여자로 확정됩니다.
아, 포스터 올리는거 까먹었다!!
질문이 너무 어려워요














!["Me using Android 2015":
Clip of Squid Game with happy Seong Gi-hun. To the right of him there are logos of SuperSU, TWRP, Titanium Backup, ES File Explorer, ClockworkMod Recovery, WhatsApp+ and CyanogenMod, which were the staples of modding Android phones back in a day. There are also images of old Android recovery, including the Android logo that was shown in the recovery when the phone was busy, old Google logo with their old motto "Don't Be Evil", a folder named "obb", image of Android logo pissing on the Apple logo and text "Sideloading"
"Me using Android 2025":
Clip of Squid Game with now very angry Seong Gi-hun. To the right of him there are logo of Magisk, text "A/B Partitions", screenshot of Play Integrity spoofing checker and also various Reddit posts such as:
* "[TUTORIAL] Make Banking Apps work" from r/Magisk
* "Android 11 blocks /android/data folder" from r/android
* "Magisk ksu or apatch?" from r/androidroot
* "AOSP is no longer open source" from r/android (this one is fake by the way)
* "Google will block sideloading of unverified Android apps starting next year"](https://s3.twink.men/sharkey-s3/3c2166bf-496f-41bb-a9a8-db1554908c40.web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