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file img

이찬행

@2chanhaeng@hackers.pub · 69 following · 54 followers

2

여러 분들의 도움으로 대충 리퍼럴 사이드 프로젝트의 모양이 점점 더 갖춰지고 있습니다...

이제 https://referral.akaiaoon.dev/t/malkoG 하면 malkoG 깃허브 핸들에 추천사를 작성하실 수 있고요, https://referral.akaiaoon.dev/u/malkoG 하면 malkoG 깃허브 핸들에 추천하신 분들의 추천사를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다음에는 /t/ 엔드포인트용 뱃지 이미지를 만들까봐요... buy me a coffee 처럼 말이죠. 예를 들면: "Buy Me A Coffee" 뭐 이런 이미지가 있으면 더 좋지 않을까요.

4
13
5

기묘한 버그를 만들었다... 뭔가 부스트한게 갑자기 해커스펍에서 원본글 취급이 되어서 부스트를 부스트하는 바람에 이 계정 목록에서는 작성자가 둔갑당하고 링크의 아이디도 둔갑당했지만 누르거나 인용하면 원작성자로 뜬다... https://hackers.pub/@robin_maki@planet.moe/0199488c-1fa7-7354-8ddb-fa8912cf55a2

인용한 글을 캡쳐. 작성자가 잘못 표시됨
1

해커스퍼블릭 너무너무 재밌었어요! 전산언어학 and/or 자연어처리 덕질했던 저로선 @jakeseo 님 발표 들으면서 비속어 처리 같은 걸 어떻게 하셨을까 궁금해서 질문드렸었는데 상세하게 답변해주셔서 감사드리면서 또 재밌게 들었고, 달고나님 발표는 처음에 딱 들으면서 속으로 '옛한글 폰트도 지원하시려나?' 했는데 고려 중이라고 해서 자언어 덕후[1]로서 내심 기뻤습니다...뒤에 깜짝 라이트닝 토크들도 재밌었고요! 무엇보다 따뜻하고 재밌는 분위기에 정말로 즐겁게 참여할 수 있었어요. 행사 진행하시느라 고생하셨던 운영진분들께 수고와 감사의 말씀 전해드립니다. 다음 해커스퍼블릭도 꼭 갈게요!


  1. 사실 국제음성기호도 있었으면 더 멋있겠다라고 생각했어요 ↩︎

@icecream_marble

#해석가능성 #컴파일러 #DB #분산시스템
6
7
2
3
3
17
0
0
2
4
6
5
2
0
0
0
0
0
0
0
0
0
0
6
0
0
14

24년 된 게임큐브용 동물의 숲, 메모리 해킹으로 대화 시스템을 LLM으로 교체하다
------------------------------
- 고전 게임 *동물의 숲(GameCube, 2001)* 의 반복적인 대사를 실시간 *클라우드 기반 LLM 대화* 로 바꾸는 프로젝트
- 게임 코드를 수정하지 않고, *메모리 해킹과 공유 메모리(mailbox) 방식* 을 통해 외부 Python 스크립트와 AI를 연결
- 게임의 텍스트는 단순 문자열이 아닌 *특수 제어 코드 언어* 로 처리…
------------------------------
https://news.hada.io/topic?id=23016&utm_source=googlechat&utm_medium=bot&utm_campaign=1834

1
4
1

이찬행 shared the below article:

LogTape 1.1.0: Smarter buffering, seamless integration

洪 民憙 (Hong Minhee) @hongminhee@hackers.pub

LogTape 1.1.0 introduces smarter and more flexible logging with two major features. The first is "fingers crossed" logging, which buffers debug and low-level logs in memory and only outputs them when an error occurs, providing a complete sequence of events leading up to the problem. Category isolation prevents one component's errors from flushing unrelated logs, keeping logs focused and relevant. The second feature is direct log emission via the `Logger.emit()` method, which allows feeding logs from external systems like Kafka directly into LogTape while preserving original timestamps and metadata. This release also includes bug fixes and improvements across the ecosystem, such as fixes for potential data loss during high-volume logging and improved cross-runtime compatibility. Upgrading to 1.1.0 is backward-compatible and enhances debugging in production by providing complete context for every error without constant verbose logging.

Read more →
4
3
2

타입 검사는 해결책이 아니라 증상이다〉(Type Checking is a Symptom, Not a Solution).

난 이 글에 동의하지 않는데, 여러 측면에서 그렇지만, 한 측면에만 집중해서 얘기해 보자면: 좋은 아키텍처는 훌륭한 프로그래머를 요구하지만 타입 시스템은 훌륭한 프로그래머를 요구하지 않기 때문이다.

누구나 훌륭한 프로그래머가 되어야만 하는가? 혹은 될 수 있는가? 좋은 아키텍처를 그릴 수 있는 훌륭한 프로그래머가 아니라면 소프트웨어 개발을 해서는 안 될까? 좋은 아키텍처에만 의존하는 것은 잠재적으로 엘리트주의를 끌어들이기 쉽다: 「어떤 시스템이 오작동하는 것은 아키텍처가 나쁘기 때문이다. 아키텍처가 나쁜 이유는 그걸 설계한 프로그래머가 수준 미달이기 때문이다」와 같이.

반면 타입 시스템은 일단 도입만 하면 누구나 그 덕을 볼 수 있다. 팀 내의 프로그래머들의 역량이 뛰어나든 뛰어나지 않든. 훨씬 평범한 보통 사람에게 유리하다. 타입 시스템이 미봉책일 수는 있지만, 그 미봉책이 더 많은 사람들을 프로젝트에 참여할 수 있게 해준다고 생각한다.

13
1
0

이찬행 shared the below article:

헬: 하스켈 방언 기반의 셸 스크립팅 언어

박준규 @curry@hackers.pub

Chris Done이 개인적인 셸 스크립팅 용도로 만든 하스켈 방언 기반의 셸 스크립팅 언어인 헬(Hell)을 소개합니다. 저자는 bash의 난해한 문법과 서브 프로세스 의존성 등의 단점을 극복하고자 헬을 개발하게 되었습니다. 헬은 모듈, 패키지 시스템, 추상화 기능 없이 매우 기본적인 기능만을 제공하며, 하스켈의 장점(탄탄한 개념, 동시성, 가비지 컬렉션, 정적 타입 등)을 활용합니다. 헬은 기존 하스켈의 직관을 재사용하고, 안정성과 단순성을 추구하여 자동화 스크립팅에 적합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헬은 냉정하게 완결된 소프트웨어를 지향하며, 스크립팅의 한계를 명확히 정의하여 불필요한 기능 확장을 방지합니다. 릴리스 페이지에서 정적 링크된 리눅스 바이너리를 다운로드할 수 있으며, 구현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소개 슬라이드를 참고할 수 있습니다.

Read more →
9
3
0
0
5
8

여러분. 이 책 진짜 좋습니다.

  1. 브라우저를 진짜 밑바닥에서부터 만드는거라 소켓프로그래밍부터 시작함.
  2. 레이아웃 알고리즘, 파싱이론 등 CS 이론도 필요하다면 다룸
  3. 브라우저를 로우레벨에서부터 이해 가능함

... >> 중요한건 파이썬으로 실습하는 교재임 <<

이렇게 시장에 나오자마자 오바쌈바를 떨면서 좋다고 야단법석을 떨었던 책 중 하나가... 게르겔리 오로스의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가이드북이었던가....

이것도 한때 개발자들 사이에서 한참 오르락내리락 했던 책이었죠....?

8

Show GN: Rust + SvelteKit으로 만든 오픈소스 블로깅 서비스
------------------------------
웹 개발 연습 겸 글쓰기 경험을 위해 직접 만든 블로깅 서비스를 공개했습니다.
현재는 베타 단계이지만, Rust(Axum) 백엔드와 SvelteKit 프론트엔드로 구현했으며, 오픈소스로 누구나 코드 확인 및 기여가 가능합니다.

repository:

주요 기능
🖤 심플한 UI, 다국…
------------------------------
https://news.hada.io/topic?id=22919&utm_source=googlechat&utm_medium=bot&utm_campaign=1834

0

最近(최근) 한창 開發中(개발중)인 Fedify 基盤(기반) ActivityPub 서비스 2():

完全(완전) 期待中(기대중)!!

6

시대 배경이 2008년 ~ 2010년인 작품을 보면서 보면서 가장 보기 괴로운 점은 시대 고증과 묘사가 훌륭해서 사람들이 쓰는 노트북 속 인터넷 익스플로러 8이나 9 정도의 UI가 생생하게 그려진 점이다.

5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