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file img

악하

@akastoot@hackers.pub · 133 following · 101 followers

설계 능력 없고 코딩 AI보다 못하고 뭔가 이상한 걸 만들고 있고 (, http://referral.akaiaoon.dev) 매일 커피나 마시는 이제 직장이 없는 SE

GitHub
@IAOON
Referral Project
referral.akaiaoon.dev
4
0
2

지금 리눅스 진영에서 컨테이너/네임스페이스의 입지가 어떻게 될까요? 사실 요즘 서비스 배포할때는 죄다 컨테이너 쓰잖아요? 근데 또 컨테이너로 할수 있는 것중 상당수는 그냥 기존 권한 관리로도 가능하단 말이죠? 근데 컨테이너를 쓸땐 기존 권한 관리를 그냥 없는셈 치고 접근하게 되는데 이게 정말로 다들 동의하는 방식인지가 궁금합니다.

3
6

식탁보 3.0을 준비하면서, 이번에 매우 흥미로운 기능을 하나 추가하게 되었습니다. Claude Desktop에서 MCP 서버로 식탁보를 등록하면, 원하는 금융 기관이나 공공기관에 샌드박스로서 접속할 수 있게 연결시켜주는 기능입니다.

현재는 카탈로그에 있는 사이트를 찾아주어 들어가는 정도이지만, 좀 더 강화하여 주요 기관들의 거래 및 업무 처리 URL들을 데이터베이스화하거나 Claude의 자체 검색 기능으로 찾은 웹 사이트 주소를 바로 전달하는 것도 기술적으로 가능하게 구현해둔 상태입니다. (이 때 해당 웹 사이트에서 쓰는 플러그인 정보가 있다면 샌드박스 내에 매칭해서 자동 설치도 해줍니다.)

차근차근 준비해나가고 있으며, 이번 추석 연휴 기간 중에 마무리 짓는 것을 목표로 진행 중이니 많은 관심과 성원 부탁드립니다! 😉

https://www.youtube.com/watch?v=DAspuJFK9UI

5
0
0
5

요즘 오에카키 같은 2000년대 초반 인터넷 유물?같은 게 종종 머릿속에 떠오르는데 분명 내가 어릴 때여서 추억화된 것 때문인 걸 알고 있음에도 그 시절 인터넷 서브컬쳐들이 좀 그리울 때가 있다. 뭔가 그 특유의 투박한 디자인들이 자꾸 떠오름...

교보 문고 사이트 들어가서 IT 신간 서적을 가끔 훑어보곤 하는데, 어느 때부터 커뮤니케이션 북스란 출판사 책들이 너무 많이 쏟아집니다. 앞표지도 계속 같은 걸로 쓰는게 약간은 성의 없어 보이기도 하고, 한동안 나오는 주제들 보면, 과연 성의 것 쓴 책들인가 선입견이 생기네요. 유행따라 쏟아지는 책들을 별로 안좋아하기도 하고요. 커뮤니케이션 북스 관계자분이 여기 계시다면, 그냥 첫인상 피드백입니다. 이왕이면 책도 멋있으면 좋지 않나요?

신간 IT 서적 알림봇이 주르륵 올렸길래 구시렁 해봤습니다.

1

사무실 한켠에서 들리는 소리.

A: (무게잡은 톤) 내가 경력있어서 한 마디 하겠는데

(뭐지? 생트집 현장인가?)

A: 의자 그리해대면 허리박살난다.

(누군지 몰라도 경력자 말 들어!)

0

最近(최근) 한창 開發中(개발중)인 Fedify 基盤(기반) ActivityPub 서비스 2():

完全(완전) 期待中(기대중)!!

6

CDN을 앞에 세우세요

대부분의 S3 호환 스토리지는 다운로드당 과금을 합니다. (횟수, 용량)
누가 이모지를 쫙 퍼간다던가, 테러를 목적으로 다운로드를 반복한다던가 하면 요금 폭탄이 나옵니다

앞에 CDN (Content Delivery Network)를 두세요
CDN이 대신 파일을 다운로드해놓고 그 파일을 대신 주므로 요금 폭탄이 발생할 염려를 크게 줄여줍니다
AWS CloudFront, Cloudflare 등이 있습니다

Cloudflare R2 는 CDN 업체에서 운영하는 S3 호환 스토리지라 다운로드당 요금을 매기지 않습니다. 잘 모른다면 R2를 쓰는 것도 방법입니다

0

오랜만에 그렌라간 극장판을 보는데 tva에서 보기힘들었던 장면들하고 전개도 좀 더 매끄럽게 바꿔서 오롯이 기합차이에만 집중할 수 있어서 좋다 가슴이 웅장해진다...

0

안녕하세요, 백엔드 경력직 프로그래머 뽑고 있습니다. 로그를 모니터링하고 저장하는 시스템을 개발하는 포지션입니다. 기존 오픈소스 솔루션을 사용하긴 하지만 단순히 구축하고 운영하는 것은 아닙니다. 운영도 하지만 개발이 주된 업무 입니다. (오픈소스 솔루션 운영 포지션으로 착각하고 지원하시는 분들이 계셔서 사족을 넣었습니다) https://careers.linecorp.com/ko/jobs/2845/

8
0
0
2
1

클러스터화는 단점이기도 하지만 장점이기도 한게 제가 생각하기에 다른 커뮤니티 서비스랑 트위터류의 가장 큰 차이점은 적당한? 느슨한? 클러스터화라고 생각하거든요 트위터만 봐도 인플루언서-like하게 사용하는 사람도 자기들끼리 노는 사람도 있는데 되게 그런 사람들간에 사용 형태와 목적이 판이하게 다를탠데 동시에 같은 트위터에 존재하면서도 디스코드같은 아예 클러스터가 완전히 분리된 동네하고는 다르게 그 클러스터들 사이에도 느슨한 연결고리가 존재한다는게 매력이라고 생각해요

1
2

저랑 비슷하다고 추천해주셨는데, 정말 사고 방식이 저랑 비슷해서 재밌네요 ㅋㅋㅋㅋㅋ

친구들이 내게 "그렇게 노력하고 있는게 대단하다."고 말했지만, 사실 나는 그렇게 노력하고 있지 않다. 푸하하하

2
0

악하 shared the below article:

일본은 패스키로 진격하는데, 한국은 왜 제자리인가요?

푸른곰 @purengom@purengom.com

금융부터 전자상거래까지 확산된 일본의 FIDO2 패스키 전략, 한국은 ‘간편 인증’에 머무른 채 방향성조차 흐릿합니다 보안 사고가 촉발한 일본의 급반전 2025년 상반기, 일본 증권 업계를 강타한 대규모 불법 로그인 및 부정 거래 사태는 단순한 해킹 사건을 넘어, 디지털 인증 체계에 대한 신뢰 자체를 뒤흔드는 사건이었습니다. 수천 건의 계좌 탈취와 수백억 엔 규모의 […]

Read more →
5
1
7
0
6
0
0

Nuclear - 무료 소스 스트리밍에 집중한 데스크탑 음악 플레이어
------------------------------
-
Nuclear 는 온라인에서 무료로 제공되는 다양한 음악 소스를 스트리밍하는 *오픈소스 데스크탑 음악 플레이어*
- 광고, 계정 없이 *YouTube, Jamendo, Audius, SoundCloud 등* 에서 음악을 손쉽게 감상 가능함
- *플레이리스트, 실시간 가사, 오디오 노멀라이즈, 무제한 다운로드* 등 다양한 부가기능 제공…
------------------------------
https://news.hada.io/topic?id=22913&utm_source=googlechat&utm_medium=bot&utm_campaign=1834

0
2

저는 고등학생 입니다. AI가 제 교육을 무너뜨리고 있어요
------------------------------
- 작성자는 뉴욕 공립 고등학교 12학년으로, 교실 안팎에서 *AI 도구가 모든 곳에 퍼져 있는 현실* 을 보고 있음
- 수업과 과제에서 친구들이 *ChatGPT로 즉석 풀이와 해설을 만들어 제출* 하면서 토론과 학습의 의미가 사라짐
- 학교는 AI 탐지기와 모니터링 소프트웨어를 쓰지만, 학생들은 이를 피해가며 여전히…
------------------------------
https://news.hada.io/topic?id=22908&utm_source=googlechat&utm_medium=bot&utm_campaign=1834

0
0

코드를 스테이지에 넣고 커밋
코드를 스테이지에 넣고 커밋
코드를 스테이지에 넣고 커밋
코드를 스테이지에 넣고 커밋
코드를 스테이지에 넣고 커밋
코드를 스테이지에 넣고 커밋
코드를 스테이지에 넣고 커밋
코드를 스테이지에 넣고 커밋

6
9

우부콘 발표하고 그 다음 주에 파이콘 발표하고 그 다음 달에 해커스 퍼블릭 여시는 분이 말씀하시니 믿음이 가네요

7
2
0
  1. 재미난 생각이 떠오른다.
  2. 해커스펍에 올린다.
  3. 다른 분들의 반응을 지켜보다, 특별히 욕!이 없으면, 그럴싸하다고 판단
  4. X와 쓰레드에 해커스펍 글 링크를 올린다. 같은 글을 복붙해서 올리는 것이 아닌, 링크를 올리는 게 중요하다.
2
1

작년에 어떤 커뮤니티에 계엄 소식을 전했는데 “여기서 정치적인 발언은 하지 말아주세요.” 라는 말을 들었다.

5

커뮤니티에서 정치적인 주제를 금지하면 결국 관리자가 보기에만 정치적이지 않은, 자기 입맛에 맞는 정치적인 글만 남더라구요

3
0
0

악하 shared the below article:

정치적인 컨텐츠에 대한 생각

Jaeyeol Lee @kodingwarrior@hackers.pub

이 글은 사회생활에서 금기시되는 정치 이야기가 우리의 삶과 얼마나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는지를 고찰합니다. 저자는 정치적인 것이 단순히 정부나 정책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 사람이 개입하는 모든 영역에 존재한다고 주장합니다. 다양성을 존중하는 문화를 만드는 것조차 정치적 행위로 볼 수 있으며, 정치 혐오가 만연한 사회일수록 정치에 대한 관심이 더욱 필요하다고 강조합니다. 특히, 무심코 사용하는 표현이나 접하는 콘텐츠가 특정 정치적 의도를 담고 있을 수 있음을 경계하며, 정치적 프레임에 갇히지 않기 위해서라도 사회와 정치에 대한 꾸준한 관심이 중요하다고 역설합니다. 이 글은 정치적 무관심이 오히려 위험할 수 있음을 시사하며, 독자들에게 비판적 사고와 균형 잡힌 시각을 갖도록 촉구합니다.

Read more →
15
0
0

회사에 Admin페이지들이 RoR로 작성되어있었는데,

1. 개발환경 세팅이 오래걸리고,
2. RoR은 경험이 거의 없고 Active Record에 대한 지식이 없는데
3. 원하는 기능은 어렵지 않은 간단한 기능 추가들

인 상황이여서, 바이브 코딩을 첨으로 해봤다.

JS나 Python으로된 복잡한 프로덕션 프로젝트에는 써볼 엄두가 안났는데, 내부용 간단한 관리툴에 기능추가는 정말 안성 맞춤인 것 같다.
그리고 다른 언어들에 비해 RoR은 더욱 잘 맞는것 같기도.

4
1

2025-09-03 오늘의 작업한 내용 메모

https://github.com/cosmoslide/cosmoslide/pull/13

  • 이전 버전까지는 Cosmoslide 의 모든 계정은 public이고 팔로우 버튼을 누르면 바로 팔로우가 되는 로직으로 구현이 되어 있었음.
    • 즉, Follow 액티비티를 받으면 액티비티를 보낸 액터의 inbox에다가 바로 Accept(Follow) 액티비티를 보내는 구성
  • 이번에 작업한 내용은 각각의 계정을 private으로 변환할 수 있고, private 계정에 팔로우 버튼을 눌렀을때 바로 팔로우가 되는게 아니라 팔로우 요청으로 처리되도록 하는 작업이었음
    • 즉, Follow 액티비티를 받으면, manuallyAcceptsFollowers 옵션이 false인 경우에만 Accept(Follow) 액티비티를 보냄
  • 팔로우 요청 관리하는 화면 바이브코딩으로 적당히 빠르게 만들고..... 팔로우 요청을 수락하거나, 팔로우 요청을 거절하는 액션 자체는 서버 측 비즈니스 로직에서 처리한다기 보다는 가능하면 Federation에서 처리하도록 했음.
    • 즉, 팔로우 요청 수락버튼을 누르면 Accept(Follow) 액티비티가 전송되고, 팔로우 요청 거절 버튼을 누르면 Reject(Follow) 액티비티가 전송되는 방식

로컬 환경에 있는 서로 다른 두 액터끼리는 잘 되는걸 확인했는데, 서로 다른 서버의 액터끼리 잘 되는지는 좀 더 테스트가 필요함.

이번 주말까지는 게시글 작성하고 원격 서버 타임라인에 노출되는 것까지 어떻게 되긴 할 듯.

2

지난 몇 달간 htmx로 웹 앱을 만들면서 느낀 점은, 골디락스 존의 하위 50% 애플리케이션에만 htmx가 적합하다는 것이다. 클라이언트 상태를 조금이라도 다뤄야 하는 순간이 오면 불행이 시작된다. 하이퍼미디어 시스템의 철학에 동의하는데, 그 구현은 아일랜드 아키텍처의 접근법이 더 나을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든다. deno.com/blog/intro-to-islands

웹사이트 유형별로 자바스크립트 사용 필요성을 스펙트럼으로 표현한 차트. 수평 막대 다이어그램으로 웹사이트에서 자바스크립트(JS)의 필요 정도를 나타냄. 왼쪽 빨간색 구역은 ‘i don’t need no stinkin’ JS’로, 블로그와 코드 스니펫이 포함된 문서를 예시로 듦. 가운데 넓은 녹색 구역은 ‘Goldilocks JS’로, 마케팅 사이트, 전자상거래 사이트, 인터랙티브 SaaS를 포함. 오른쪽 파란색 구역은 ’JS me up!’으로, 소셜 미디어 사이트를 예시로 듦.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