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untai Park

@arkjun@hackers.pub · 65 following · 72 followers

中年(중년)中小企業(중소기업) 開發者(개발자), 90年代(년대) Console Gamer(콘솔 게이머). 좋은 하루를 繼續(계속)해 나아간다. 좋은 하루가 모이면 좋은 人生(인생)이 된다.

韓国人のプログラマー、40代、小学生の息子とゲームするのが幸せ😃💕龍が如く 、ゼルダの伝説、マリオ、ピクミン好き

「いい1日を続ける」
いい1日を続けていけば、いい人生になる!

threads
@rkjun
x
@rkJun
uri.life
@arkjun@uri.life
GitHub
@arkjun

俺のキーボード遍歴

2009年より前は正直よく覚えてないけど、

  • 2009年に Appleのテンキーレス無線キーボード(第2世代) を使い始めた。Mac用だけど、Windowsでも AutoHotkey でキー配置をカスタムして快適に使ってた。

  • 2013年に HHKB Professional 2 を購入。この頃からずっと Caps LockをCtrlにリマップして使ってる。今でもこの設定は欠かせない。

  • 2018年に ABKO HACKER K945P(テンキーレス・静電容量無接点) に乗り換えた。家では同じくABKOの K995P V3 を使ってる。会社で支給されたK945Pを使ってみたらかなり良くて、HHKBを手放してABKO無接点に一本化した。

最近、仕事用キーボードの基板にちょっとヒビが入った(使う分には全然問題ない)けど、それをきっかけに「そろそろ新しいのに変えてもいいかな…」っていう気分がちょっとずつ湧いてきた。

ABKOの無接点には満足してるから、次もそのシリーズから選ぶ予定。

今の候補:KN30 BT, KN35 BT, AKN10BT, LKN84 BT

1

나의 키보드 변천사

2009년 이전까진 잘 기억나지 않고,

  • 2009 애플 텐키리스 무선 키보드 (2세대) - 맥용이지만 윈도에서도 autohotkey 써서 키 커스텀해서 잘 썼다.
  • 2013 HHKB Pro 2 - 이후 모든 키보드 설정에서 caps lock 을 ctrl 로 커스텀해서 쓰고 있다
  • 2018 ABKO HACKER K945P 텐키리스 무접점 (집에서는 ABKO HACKER K995P V3) - 회사에서 지급받아 써보고 만족도가 높아서 HHKB 를 정리하고 앱코 무접점만 쓰고 있다.

마침 업무용 키보드 기판이 살짝 금이 가기도 해서 (쓰는데 아무 문제없지만) 키보드를 바꾸고 싶은 뽐뿌가 슬금슬금 올라온다.

앱코 무접점 키보드의 만족도가 높아서, 그 시리즈 중에 살 것 같다.

후보군 KN30 BT, KN35 BT, AKN10BT, LKN84 BT

4

프론트엔드 개발을 한 6년정도 하면서 생긴 아직 풀리지 않은 의문으로, 템플릿과 공식 문서에선 그렇게 세련되고 예쁜 컴포넌트들이 왜 import해서 내 프로젝트에서 쓰면 개촌스럽고 못생겨지냐는 것이 있다.

5
1
2
5

요즘은 내가 코드를 짤 일은 없고, 개발계획도 AI가 짜고, 개발을 실제로 하는것도 AI가 한다. AI가 좀 핀트 어긋난 것 같으면 내가 잠깐 수정해주는 정도? 누가 보면 바이브 코딩이지만, 엄밀하게는 "바이브 코딩"은 아니다.

요즘 애용하고 있는 워크플로우는 이렇다.

  1. Gemini 웹 대화창 띄워서 "~~한 요구사항이 있어. 시니어 개발자로서 어떻게 작업을 이어나갈지 계획을 알려줘" 하고 마스터 플랜을 뽑는다
  2. Gemini에서 응답이 오면, "AI 한테 그걸 시킬건데, AI가 이해할 수 있게 스텝 바이 스텝으로 XML 포맷으로 지시사항을 알려줘. 각각의 지시사항은 하나하나 검토하기 편하게, 여러개로 분리된 파일이었으면 좋겠어" 라고 프롬프트를 순차적으로 뽑아낸다
  3. 검토할 거 검토해보고, 적당히 괜찮겠다 싶으면, 프롬프트를 Aider든 뭐든 AI에다가 복붙하면 끝.
  4. 최종 결과는 Repomix 돌려서 Gemini 웹 대화창에 올리고, 1~3을 반복

중소규모 플젝은 이게 잘 먹히고, 3주에 걸쳐서 할 것 같았던 작업을 3일컷으로 끝냈다.

9
2
2
7
1
1

Juntai Park shared the below article:

데이터 효율성으로 본 AI와 인간의 비교

bgl gwyng @bgl@hackers.pub

이 글은 AI와 인간의 능력 비교에서 데이터 효율성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시작합니다. 현재 AI는 인간에 비해 데이터 효율성이 떨어지지만, 일단 학습된 능력은 복제 가능하다는 점을 지적하며 콜센터 직원과 같은 직업군에 대한 위협은 여전하다고 설명합니다. 데이터 효율성이 중요한 경영인과 연구자는 AI를 유용한 도구로 활용할 수 있지만, 인간의 데이터 효율성이 정말 높은지에 대한 의문을 제기합니다. Yann Lecun의 주장을 인용하여 인간이 받아들이는 데이터 양이 AI 학습에 쓰이는 양보다 적지 않음을 언급하며, 인간은 데이터를 있는 그대로 학습하지 않고 편향에 기반하여 학습한다는 흥미로운 주장을 제시합니다. 마지막으로, AI에게 인간처럼 무모한 결론을 내리도록 가르치는 것이 옳은지에 대한 질문을 던지며, 압도적인 양의 데이터를 통해 더 많은 진실을 알아낼 수 있는지에 대한 고민으로 마무리합니다. 이 글은 AI 개발 방향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며 독자에게 깊은 생각거리를 제공합니다.

Read more →
8

이번주내내 인프라 구축에 몰두했는데 개발보다 더 재밌다. AWS 세팅 끝내고, Cloudflare 에 R2 구성하고, 업로드 샘플이랑 캐시퍼지하는 삭제샘플도 만들고 Grafana, Prometheus 로 모니터링 구축하고 Jenkins 에 CI/CD 세팅했다. (입사 초기에 사내 서버에 세팅한 것들을 클라우드로 옮겼다.) 나름의 보안정책들을 수립해가는 것도 묘미. (라고 해봐야 주요 접근 포인트는 죄다 사내망에서만 접근하게 하는 정도지만) 나머지 uptime kuma 올리고, 슬랙 경고 알림정도까지만 작업해 놓으면 당분간 또 만질 일 없겠지만, 그냥 개발 안하고 이런 것들만 했으면 좋겠단 생각도 들었다.

4
4

@bglbgl gwyng @hongminhee洪 民憙 (Hong Minhee) CDN 같은 경우에는 해당 플랜 (무료든, 비지니스든) 에서 허용하는 요청수나 트래픽 한도를 초과하는 기간이 일정기간 계속되면 플랜 업그레이드 하라는 메일을 보내는 것으로 알고 있어요. 그래도 업그레이드 안하고 쓸 수는 있지만, 꽤나 제약이 있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Rate Limit 을 걸어버리거나) 엔터프라이즈 플랜 (연간계약)으로도 클라우드프론트보다는 조금 더 저렴했던 기억이 있습니다. (사실 거의 비슷하긴 했지만요)

3
1

과거 Amazon CloudFront 를 쓰다가 요금폭탄을 경험한 적이 있어서, 선뜻 손이 가지 않는다. (물론 나중에 다시 CloudFront 를 쓰기는 했지만) 아무튼 이번에도 CDN 은 CloudFlare 로 선택했다. CDN을 CloudFlare 로 선택한 김에 저장공간도 R2 로 선택했다. (가격도 S3 보다 더 싸서...)

1

( ~ 5/31) 제 3회 파이 웹 심포지움 참가자 모집

< 이 행사는 한빛미디어의 장소 후원을 받았습니다 > 주제: AI 시대를 위한 파이썬으로 웹 서비스 개발하기

최근 파이썬이 가장 많이 쓰이는 분야는 단연코 AI입니다. 이제 AI 서비스에 웹 개발이 필요해지는 순간이 많아졌습니다.

웹 서비스 개발 뿐 아니라 openai 나 bedrock같은 AI 서비스의 api 를 이용한 또 다른 서비스를 만들어야합니다.

AI 서비스를 만들면서 겪은 웹 서비스 기술을 함께 나누어보세요! 세션이 끝난 이후엔 다과와 함께 네트워킹 시간도 가질 수 있습니다.

일시 : 2025년 5월 31일 (토) 13:00 ~ 18:00 장소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연희로2길 62 한빛미디어 리더스홀

https://event-us.kr/pythonkorea/event/103147

1
4

5월 24일(土) 한국 연합우주 개발자 모임(FediDev KR)에서 두 번째 스프린트 모임을 개최합니다! 장소는 뚝섬역 5번 출구쪽에 위치한 튜링의 사과(@TuringAppleDev튜링의 사과)입니다.

참고로 스프린트 모임이란 함께 모여서 오픈 소스 코딩을 하는 자리인데, 한국 연합우주 개발자 모임의 스프린트에서는 새로운 연합우주 서비스나 앱을 개발하거나, 번역이나 문서에 기여하는 등 연합우주와 관련된 다양한 오픈 소스 활동을 모여서 함께 합니다. 지난 스프린트 모임의 기록을 스프린트 블로그(@sprints.fedidev.kr한국 페디버스 개발자 모임)에서 살펴보실 수 있습니다.

저는 그날 Fedify, Hollo, Hackers' Pub에 기여하시고자 하는 분들을 옆에서 도와드릴 예정입니다. Fedify, Hollo, Hackers' Pub에 기여해보고 싶었던 분들이 계시다면 모임에 참가하여 저와 함께 스프린트를 해보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이번 모임에 관심이 있으신 분은 행사 신청 페이지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7
1
3
1

안녕하세요, 업으로 프로그래밍을 하고 있는 컴퓨터 학부생 김무훈입니다.
현재 3년차 웹 프론트엔드 개발자로서, 다가오는 7월부터 함께할 정규직 포지션을 적극적으로 찾고 있습니다.

최근 학과 사무실에서 졸업 요건을 확인한 결과, 전공 필수 한 과목전공 선택 2학점(총 5학점)이 남아있음을 확인했습니다.
본래는 다음 2학기까지 수료 후 내년 2월에 졸업할 예정이었으나, 교수진과 상의한 결과 취업 및 재직이 확정된다면 수업 이수 방식을 보다 유연하게 결정할 수 있다는 긍정적인 답변을 받아 적극적으로 조기 취업을 추진하게 되었습니다.

이는 전공 필수 과목의 경우에만 해당이 되는 문제이고, 전공 선택 2학점의 경우 앞으로의 여름 학기 현장 실습 또는 다음 학기에 개설되는 하나의 원격 강의로 대체하여 문제가 없는 상태입니다.

지금까지의 업무 경험과 프로젝트는 아래의 포트폴리오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경력기술서 겸 포트폴리오 페이지: https://www.frontend.moe/portfolio/

좋은 인연을 찾을 수 있도록, 많은 관심과 연락 부탁드립니다!

8

그나저나, useEffect 에서 Server Actions 호출 할 수 있는 거 나만 몰랐지 또.

https://nextjs.org/docs/app/building-your-application/data-fetching/server-actions-and-mutations#useeffect

컴포넌트가 마운트되거나 종속성이 변경될 때 서버 액션을 호출하기 위해 React useEffect 훅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글로벌 이벤트에 의존하거나 자동으로 트리거되어야 하는 변이에 유용합니다. 예를 들어 앱 바로 가기를 위한 onKeyDown, 무한 스크롤을 위한 교차점 관찰자 후크, 컴포넌트가 마운트되어 뷰 수를 업데이트할 때 등이 있습니다:

라고 합니다.

1
3

예전부터 생각하던 건데, git reset --hard를 인자 없이 쓰면 git stash로 동작하거나, 아니면 적어도 인자 없이 썼을 때 오류가 나게끔 설정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 별 생각 없이 날려도 괜찮겠지 싶어서 git reset --hard 쳤다가 몇 분 뒤에 후회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2

AWS 를 바닥 (vpc 세팅) 부터 새롭게 하고 있다. private, public subnet 나누고 NAT 인스턴스 올리고, 베스천으로 프록시점프해서 private 구간 인스턴스 ssh 접속 확인하고 nginx 올리고 next 프로젝트 가져와서 proxy pass 걸고 alb 넣고.. 콘솔에서 바닥부터 한땀한땀 설정하는 게 오랜만이라 그런가 재밌다.

(요즘 엔지니어들이라면 IaC로 단숨에 끝냈겠지만)

아무도 알아주지 않지만 견고하게(?) 세팅 끝냈다며 혼자 뿌듯해 하는 1인, 그렇게 하루종일 개발 안하고 인프라 만지작 거리다 하루가 끝났다.

5

Hackers' PubにLLMを活用した記事の自動翻訳機能が追加されました。これにより、Hackers' Pubに投稿された英語や韓国語の記事を日本語で閲覧できるだけでなく、日本語で書いた記事を海外の読者に紹介する事も可能に成りました。

なお、Hackers' Pubは招待制で運営されています。ご興味のある方は、DMでメールアドレスを教えていただければ、招待いたします。

5

Juntai Park shared the below article:

Hackers' Pub 업데이트: LLM 기반의 게시글 번역 기능

洪 民憙 (Hong Minhee) @hongminhee@hackers.pub

LLM 기반의 게시글 번역 기능이 추가되었습니다. 우선, 자신이 쓴 게시글이 LLM을 이용해 번역되는 것을 허용하려면, 게시글 공개 설정에서 “LLM 기반 자동 번역 허용” 옵션을 켜 주셔야 합니다. 기존 게시글은 모두 이 옵션이 꺼져 있습니다만, 새로 쓰는 게시글의 경우 기본적으로 켜져 있습니다.

한국어판 게시글 공개 설정 페이지에 추가된 “LLM 기반 자동 번역 허용” 옵션
한국어판 게시글 공개 설정 페이지에 추가된 “LLM 기반 자동 번역 허용” 옵션
영어판 게시물 공개 설정 페이지에 추가된 “Allow LLM-powered automatic translation” 옵션
영어판 게시물 공개 설정 페이지에 추가된 “Allow LLM-powered automatic translation” 옵션

위와 같이 옵션을 켜 준 게시글은 위쪽에 다음과 같이 “다른 언어로 읽기” 메뉴가 표시되게 됩니다. 이 메뉴에 나오는 언어 목록은 언어 설정에서 정할 수 있습니다.

게시글 첫 부분에 표시되는 “다른 언어로 읽기” 메뉴 (한국어판)
게시글 첫 부분에 표시되는 “다른 언어로 읽기” 메뉴 (한국어판)
게시글 첫 부분에 표시되는 “Read in other languages” 메뉴 (영어판)
게시글 첫 부분에 표시되는 “Read in other languages” 메뉴 (영어판)

이 중에서 이미 번역이 완료된 언어는 바로 표시되지만, 아직 번역이 완료되지 않은 언어의 경우, 아래와 같이 기다리라는 메시지가 뜨게 됩니다. 게시글의 분량에 따라 번역 시간은 차이가 나지만, 짧으면 30초에서 길면 5분 정도 걸립니다.

게시글이 번역중이라는 메시지 (한국어판): “이 게시글은 영어에서 한국어로 번역중입니다. 번역이 완료될 때까지 기다려 주세요.”
게시글이 번역중이라는 메시지 (한국어판): “이 게시글은 영어에서 한국어로 번역중입니다. 번역이 완료될 때까지 기다려 주세요.”
게시글이 번역중이라는 메시지 (영어판): “This article is being translated from Korean to English. Please wait until the translation is complete.”
게시글이 번역중이라는 메시지 (영어판): “This article is being translated from Korean to English. Please wait until the translation is complete.”

번역이 완료되면, 아래와 같이 메시지가 바뀝니다.

게시글의 번역본 상단에 뜨는 메시지 (한국어판): “이 게시글은 영어에서 한국어로 번역되었습니다.”
게시글의 번역본 상단에 뜨는 메시지 (한국어판): “이 게시글은 영어에서 한국어로 번역되었습니다.”
게시글의 번역본 상단에 뜨는 메시지 (영어판): “This article has been translated from Korean to English.”
게시글의 번역본 상단에 뜨는 메시지 (영어판): “This article has been translated from Korean to English.”

번역 기능은 제가 Hackers' Pub을 맨 처음 구상할 때부터 핵심 기능으로 고려하고 있던 것이었습니다.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머로서 일정 수준 이상 성장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영어를 배워야만 하는 불합리함이나 그리고 일본어나 중국어 등 영어가 아닌 언어로 쓰인 다양한 자료에 대부분의 외국인은 접근하지 못한다는 아쉬움을 오래 전부터 느꼈기 때문입니다. 다행히 얼마 전부터 LLM의 번역 품질이 아주 좋아졌고, 이를 활용하여 꽤 괜찮은 품질의 번역 기능을 Hackers' Pub 같은 작은 웹사이트에서도 구현할 수 있게 되었네요.

참고로 현재 번역에 쓰이는 모델은 Claude Sonnet 3.7입니다. 저렴하다고는 할 수 없는 모델인데요. 시범적으로 운영해 보고, 비용이 너무 부담된다고 여겨지면 Gemini 2.5 Flash 같은 다른 모델로 전환하는 것도 고려하고 있습니다.

아무튼, 모처럼 추가한 번역 기능이니 많은 분들이 유용함을 누리셨으면 좋겠습니다.

아래는 제가 샘플로 미리 만들어 둔 번역본들입니다:

  • Ditch the DIY Drama: Why Use Fedify Instead of Building ActivityPub from Scratch? (영어) → 〈DIY 드라마는 그만: 왜 ActivityPub을 처음부터 구축하는 대신 Fedify를 사용해야 할까요?〉 (한국어)
  • 〈애플리케이션 개발 측면에서 본 Drizzle ORM 대 Kysely 비교〉 (한국어) → 「アプリケーション開発の観点から見たDrizzle ORMとKyselyの比較」 (일본어)
  • 〈deno-task-hooks: Git 훅을 Deno 태스크로 쉽게 관리하기〉 (한국어) → deno-task-hooks: Easily Manage Git Hooks as Deno Tasks (영어)
  • Browser-Native Translation and Language Detection APIs Coming Soon (영어) → 〈브라우저 네이티브 번역 및 언어 감지 API 곧 출시 예정〉 (한국어)
Read more →
6
10

개인적으로는 Node.js 호환성만 좇고 있는 최근의 Deno 업데이트가 (현실적으로 쓰기 편해지는 것은 맞지만) 조금 실망스럽긴 하다. 그냥 처음의 기조 그대로 밀어붙였다면… 뭐, 오히려 지금보다도 덜 쓰였겠지? 어려운 문제긴 하네…

4

요즘 잡일은 AI 시키고, 그사이 어려운 일을 AI랑 힘을 합쳐 해결해야하는 시대인데, 내가 하루종일 어려운일을 할 체력이 없어서 머리비우고 할수있는 잡일도 일정량 직접 한다. 파일 상하차라던가.

5

부끄럽지만 typst로 깎은 이력서와 포트폴리오를 공개합니다: https://github.com/gidongkwon/resume

게임 클라이언트에서 웹 프론트엔드로 커리어 전환을 하는 단계에 있습니다.
혹 피드백주실 것이 있다면 언제든지 좋아요...!

직링크는 아래:
이력서 - https://gidongkwon.github.io/resume/resume-gidongkwon.pdf
포트폴리오 - https://gidongkwon.github.io/resume/portfolio-gidongkwon.pdf

4
1

.github/copilot-instructions.md, .cursorrules, .windsurfrules, CLAUDE.md… 이것 말고도 많이 있을텐데, 어차피 들어가야 하는 내용은 다 거기서 거기. 지금은 한 파일에 적고 심볼릭 링크로 같은 곳을 바라보게 하고 있지만, .editorconfig처럼 그냥 어떤 식으로든 표준화가 되었으면 좋겠다.

1

Windsurf 커서보다 불편하다고 계속 불평했는데, 그냥 과제하나 맡기고 에이전틱하게 쓰니까 똑같이 잘한다. AI 에디터에서 UI 개선한다고 아웅다웅하는게 참 부질없는거 같다. 빅테크에서 모델 개선하는동안 가만히 놀수는 없으니까 하는건가...

2

2개 이상의 기기를 동시 컨트롤 할 때 (주로 윈도와 맥을 오갈 때) synergy 라는 프로그램으로 마우스, 키보드 공유해서 사용해 왔는데, 오늘 처음 (MacOS 내장기능의) 맥미니와 맥북에어간의 마우스 키보드 공유를 해보고 놀라움을 금치 못했다. 끊김도 없고 거의 네티이브 유사한 느낌으로 자연스럽다. 물론 제대로 완성도를 느끼려면 더 써봐야겠지만.

MacOS 에서 다른 맥북에 키보드와 마우스가 연결된 화면
4
4

마지막 회사라는 마음으로 일한다. 물론 진짜로 그렇지 않겠지만 (아니 그럴 수도 있지만) 그런 마음으로 임하면 좀 더 직원들에게 너그러워지고, 고객에게도 여유를 부릴 수 있다. 마지막인데 뭘 못해주겠어.

(하지만 내맘속 선을 넘어버리면 나 또한 투덜이 스머프가 될 것이야. )

TMI) 실제로 회사에서 대표를 제외하고는 나이 제일 많음.

1

「ここが最後の会社だ」という気持ちで働いています。もちろん実際にはそうじゃないかもしれないし、もしかしたら本当にそうなるかもしれない。でも、そういう気持ちで臨むことで、社員にも少し寛容になれるし、クライアントにも余裕を持って接することができるんですよね。だって最後だと思えば、できることは何でもしてあげたくなるじゃないですか。

(でも…心の中の一線を越えられたら、僕もグチグチ言うスモーフになるかもしれませんけどね。)

TMI:実は社長を除くと、僕が一番年上なんです。

1

이번 변경으로 홈 화면에 추가로 해커즈펍을 설치하면 android, iOS 양쪽 모두, 단독 앱인 것 같은 느낌으로 쓸 수 있게됩니다. 다만, 이메일의 로그인 링크가 설치 된 쪽으로는 안열리는 문제가 있으니 미리 로그인 된 상태에서 설치를 하셔야 곤란하지 않습니다.

4
4

엔드포인트 솔루션이나 네트워크 장비를 운영하다 보면 그 솔루션 본연의 역할을 지고지순(?) 하게 지키기보다는 뭔가 민원을 해결하는 예외 처리에 리소스를 투입할 때가 많은데 그럴 때마다 뭔가 법을 어긴 것 같고 마음이 안 좋다.

7

Hackers' Pub에 GraphQL API를 추가하고 있습니다. https://hackers.pub/graphql가 GraphQL 엔드포인트입니다. 아직 인증 기능도 없고 노출된 노드도 얼마 없습니다만, 차차 추가해 나갈 예정입니다. 다음은 예시 쿼리입니다:

{
  actorByHandle(handle: "@hongminhee@hackers.pub") {
    uuid
    iri
    type
    handle
    instance {
      host
      software
      softwareVersion
    }
    name
    bio
    avatarUrl
    url
  }
}

Mastodon 호환 API를 구현할 계획에 대해 문의 주시는 분들이 종종 계십니다만, 아마도 Hackers' Pub은 앞으로도 Mastodon 호환 API를 구현하지는 않을 것 같습니다. 개인적으로 Mastodon 호환 API가 사용성이 많이 떨어진다고도 생각하고, 이미 Hackers' Pub 고유의 기능들 가운데 Mastodon 호환 API로 표현 불가능한 것들이 좀 있기 때문입니다.

장기적으로는 GraphQL을 이용해 웹 프런트엔드도 크게 개선하고, 모바일 앱까지 만드는 걸 염두에 두고 있습니다.

7

Hackers' Pub에 GraphQL API를 추가하고 있습니다. https://hackers.pub/graphql가 GraphQL 엔드포인트입니다. 아직 인증 기능도 없고 노출된 노드도 얼마 없습니다만, 차차 추가해 나갈 예정입니다. 다음은 예시 쿼리입니다:

{
  actorByHandle(handle: "@hongminhee@hackers.pub") {
    uuid
    iri
    type
    handle
    instance {
      host
      software
      softwareVersion
    }
    name
    bio
    avatarUrl
    url
  }
}
4

長年の経験を持つエンジニア。何でもすぐにこなせるように見えるかもしれないが、実際には動きは遅く、時代の変化に完全には対応しきれず、過去の考え方を引きずっている部分もある。それでも古い思考を壊し、前に進もうと努力し続けている。

1
1
3
3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