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적으로 만들고 있던 작은 프로젝트다. M4 매크로 언어와 Scheme(LISP)를 같이 섞은 느낌으로 제작한 프로젝트다.
아직은 제대로 된 분기 시스템이나 기초 stdlib이 많이 빈약하다. 하지만 본래 목적인 개인적인 용도의 노트 목적으로는 잘 사용할수 있을 듯 하다.
M4처럼 시스템과 상호작용할 인터페이스가 필요한데 어떤 부분을 추가시키면 좋을지 아직은 잘 모르겠다.
@hongminhee@hackers.pub · 959 following · 674 followers
Hi, I'm who's behind Fedify, Hollo, BotKit, and this website, Hackers' Pub! My main account is at
@hongminhee洪 民憙 (Hong Minhee)
.
Fedify, Hollo, BotKit, 그리고 보고 계신 이 사이트 Hackers' Pub을 만들고 있습니다. 제 메인 계정은:
@hongminhee洪 民憙 (Hong Minhee)
.
Fedify、Hollo、BotKit、そしてこのサイト、Hackers' Pubを作っています。私のメインアカウントは「
@hongminhee洪 民憙 (Hong Minhee)
」に。
개인적으로 만들고 있던 작은 프로젝트다. M4 매크로 언어와 Scheme(LISP)를 같이 섞은 느낌으로 제작한 프로젝트다.
아직은 제대로 된 분기 시스템이나 기초 stdlib이 많이 빈약하다. 하지만 본래 목적인 개인적인 용도의 노트 목적으로는 잘 사용할수 있을 듯 하다.
M4처럼 시스템과 상호작용할 인터페이스가 필요한데 어떤 부분을 추가시키면 좋을지 아직은 잘 모르겠다.
이번 주는 그래도 dotfiles 올리고 Pyodide 첫 PR 제출하고...주말에 열심히 공부했다
어제 파이콘 라이트닝토크 하는데 커뮤니티 홍보하는거 보고... "아, 해커스펍 약파는걸로 라이트닝 토크 신청할 걸" 하고 땅치고 후회함
아... 이제서야 집 도착... FediDev KR 파이콘 부스를 지켜주셨던
@akastoot악하
@z9mb1wwj @2chanhaeng초무
@iamuhun김무훈
@hongminhee洪 民憙 (Hong Minhee)
@nebuletoHaze 등등등 고생 많으셨습니다...
Shout-out for @fedifyFedify: ActivityPub server framework as a great tool for developers in the #Fediverse 🫶🏻 from
@daveDavid Roetzel #FrOSCon
Hackers’Pub은 Mastodon과는 또 다른 건가요? Mastodon 클라이언트에서 사용할 수는 없는지 궁금하네요~
어쩌다 프로그래밍 언어를 만들어버렸어요
M4와 스킴에 영향을 받은 텍스트 매크로 언어에요
VM을 거쳐 바이트코드가 처리되는 인터프리터 매크로 실행기에요
아직 부족한게 많아요 꾸준히 연구중이에요
MS Windows App은 한 프레임에 4K 해상도가 통째로 들어가면 어째서인지 프로토콜 에러가 발생한다... 오픈소스 구현체 클라는 일단 동작은 그냥 되던데...
もとにしたプロンプトは日本語だけど簡単に置き換えできるし一応言語の部分書き換えれば普通に別の言語のも作れると思う。ただdocs/index.mdだけ手動なのでそれは自分で直さないといけない (そもそもファイルの内容を翻訳したうえでこっちで一部置き換えてるのでAIの翻訳対応させる気にならないし面倒くさい)
使ってないことを思い出したのでGeminiのAPIとHackers' Pubのプロンプト借りて翻訳してみるか
Is htmx suitable for sns frontend, like mastodon/misskey?
(I won't a high functionality frontend, i want a simple frontend)
글 좀 올려주세요
트리시터 grammar 처음 짜봤는데 생각보다 꽤나 쉽고 재밌었음! 다음엔 MDX 지원 만들어봐야지....
고려대학교 소속 동아리 MatKor, AlKor, ALPS 주관으로 열리는 프로그래밍 대회인 MatKor Cup이 드디어 마지막을 맞이합니다!
📅 대회 개요
예비소집: 8/22 (금) 19:00 ~ 21:00
https://www.acmicpc.net/contest/view/1534
본대회: 8/23 (토) 13:00 ~ 18:00
https://www.acmicpc.net/contest/view/1537
후원: Startlink, 고려대학교
🏅 솔브드 뱃지 & 배경 해금 조건 (예정, 변동 가능)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
파이콘 1일차 참가. 이제 9년이나 된 2016년 APAC 노랑 파랑 팔찌 굿즈 차고 제주공항에서 넘어 와 당일에 참석했습니다.
들으려 온 발표 시간 외에는, 지인이 운영하는 페디버스 부스에 머물러서 오는 분 마다 연합우주를 간단히 소개했습니다.
오늘은 파이콘 입니다.
파이콘 양일 출석하니 어제는 강연하시던 분이 오늘 오니 스태프 하고 계심 진짜 동네잔치...ㅋㅋㅋㅋ
너무 바쁘다
아 즐거운 소식이다...
원문: https://lwn.net/SubscriberLink/1032604/73596e0c3ed1945a/ 번역 요약: https://news.hada.io/topic?id=22540
너무 좋은 소식이다. ArchLinux의 위키가 하던 방식을 Debian에서도 하겠다는 소식... 나같은 경우에도, ArchLinux를 만나고 난뒤부터는 Linux 에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명령어를 ArchLinux 위키에서 찾아보고 어떤게 있는지 많은 것들을 공부했었는데... 그 와 비슷한 위키를 Debain 위키에서도 적용을 해 나가겠다는 것은 Debain이 가지고 있는 패키지들의 사용법을 한곳으로 모으는 좋은 글 집합체가 되길 바란다. 한국어 번역은 AI가 잘해줄꺼야 :) 사람이 번역안해도 되겠지뭐... :)
개방형 오피스가 코딩의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일종의 또 다른 ADHD 상태를 만든다는 글이 올라왔다. 이에 대해 어느 정도는 그럴 수 있지 하고 생각하면서도 많은 부분에 대해 동의하지 않는데... 사무실 내의 소리나 환경적 문제를 제외하면 Slack 등의 업무용 메신저나 메일 등의 알림은 집에서도 사무실에서도 똑같이 발생한다. 내가 업무 시간 중 일정 시간 안에 답하면 되는 것이기 때문에 알림 설정을 미리 해두지 않으면 결국 어디서 일하던간에 알림으로 인한 스트레스나 방해는 똑같이 받게 된다는 점이다. 또한 사무실 내의 다른 소리나 시각적 문제로 집중력을 떨어트릴 수 있다. 근데 이것도 잘 생각해보면 집에서도 가족이나 동거인, 키우는 동물 등이 있다면 똑같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닐까.
결국은 어디에서 일하던간에 본인이 편안한 환경을 만들고 생산성을 유지하기 위한 환경을 조성하고 관리할 필요가 있다. 다만 이 글은 본인의 생산성을 환경에 따라 측정해서 자신만의 데이터를 뽑아낸게 굉장히 의미있다. 아마 제품의 홍보 목적도 겸하는 것이 되겠지만 말이다.
使ってないことを思い出したのでGeminiのAPIとHackers' Pubのプロンプト借りて翻訳してみるか
오늘 파이콘에서 모니터에서만 보던 네임드 개발자 분들을 많이 발견하였다. 조용히 아 저분이 그분이군 하고 지나갔다.
조만간 또 추월하겠습니다
파이썬 로고 잘 조절하면 태극 문양처럼 만들 수 있을 것 같은데 이걸로 PyCon Kr 로고를 만들면 어떨까
어제 튜링의 사과에서
@hongminhee洪 民憙 (Hong Minhee) 님과 모각코 하며 건진 것:
제드만세
<파이썬토룡신점> 아주 용하더군요
해커스펍 550명 돌파!!
어차피 이모지 데이터 다 tag에 딸려 들어오는데 서버-이모지 관계를 분리해서 처리하고 싶은데 그럼 연합되는 쪽에서 다 박살나겠지...
모바일 네이티브 앱개발을 해 보고 싶은걸
해커스펍 고양이가 귀여워
다들 좋은 파이콘을 보냈나보군요... 그래... 그러면 된 거야...
이제 AI가 손금을 보고 점도 봐주는 시대가 왔다!
해커스펍 500명 돌파 나이스~
내일 오후 1시에서 2시 사이에 제가 아래 링크한 파이콘 코리아 2025 발표를 들으러 간다는 소식입니다. 올해는 체력이 부족하여 딱 1개 발표만 듣고 바로 철수할 예정...
발표자를 위한 교훈 하나: 프리젠테이션에 코드 예제를 보여줄 땐 좀 과하다 싶을 정도로 간단하게 한다. 안 그러면 발표 환경/청중의 위치에 따라 코드가 안보이는 불상사가 생길 수 있다. 😂
점심시간 한정!!!! 부스 지킴이 용병하고 있습니다
파이콘 와서 더위에 시달리다 정신차려보니 왠지 부스에 앉아있었다
파이콘을 구경갑니다. 그런데 근육통 때문에 노트북을 두고 나온
오늘과 내일 PyCon KR 2025에서 해커스펍 부스 도우미로 나와있습니다! 파이콘 오신 분들 많이 들러주세요 :)
오늘은 파이콘
근데 확실히 사람의 언어든 프로그래밍 언어든 언어를 새로 배울 때마다 해당 언어의 방식으로 생각해보면서 사고 방식의 확장이 이루어지는 것 같음
이 글에서 "switch network 쓰지 말고 hash map 쓰세요 그쪽이 더 빠릅니다" 해서 정말 그런가? 했는데 그런듯 하다.
지금 진행하던 개인 프로젝트의 디버깅을 찍어보는데 특정 토큰/명령어에 대해서 한 조각씩 들어오는 것에 대해 분기 네트워크를 타면 CPU의 분기예측 캐시가 제대로 쌓이질 않아서 case문 내의 모든 case를 중구난방으로 분기하면서 모두 체크하고 있다. (예를 들어 TOKEN_DEFINE을 찾기 위해서 ase TOKEN_BRACKET_OPEN.. case TOKEN_ALLOCATE... case TOKEN_EQUAL.... 같이 전부 중구난방으로 점프해가며 하나씩 체크한다. O(n)과 같은 최악의 케이스는 아니지만 10개의 케이스가 있으면 적어도 5개는 검색해버리는 짓을 벌임)
후반부로 갈수록 캐시가 쌓여서 바로 점프하는 모습은 보이지만 O(1)으로 바로 분기 없이 점프할수 있는 해시맵이 엄청나게 빠른건 사실인듯하다.
재귀하향식 파서로 구현했기 때문에 파서는 어쩔수 없이 switch network를 타버리긴 하지만 case가 극히 적어 분기 점프에 있어 큰 문제는 아니고 최대한 해시 맵 기반으로 짜는 것이 빠르다는 교훈은 얻은듯 하다.
밑바닥에서부터 연합우주 서비스를 만들고 있는데, 기능을 만들고 연합우주 연동을 붙이는 방식으로 접근하려니 자꾸 막히는 것 같음. 연합우주에서 어떻게 호환할지 먼저 생각해서 인터페이스를 만들고 거기에 기능을 갖다 붙이는 방식으로 접근해야 한다... 초기 단계는 수제코딩이 불가피한....
@crohasang크롸상 님이 작명해주신 덕분에, 찝찝한 기분도 덜어내고 진행하고 있는 프로젝트에 좀 더 속도를 낼 수 있을 것 같다..... 압도적 감사.... 기념으로 도메인도 샀다. https://cosmosli.de 뽕을 뽑자 이젠.....
오랫동안 getpocket.com 을 사용해 왔는데 몇 달 전 서비스 셧다운을 했네요. 일단 csv로 그간 모아 놓은 링크들은 다운받을 수 있는 거 같은데 어디로 옮겨 탈지 결정을 못내려서 그냥 불편하게 지내고 있습니다. 혹시 좋은 대안 서비스 추천해주실 분 있으실까요?
젊은 친구가 눈치가 빨라서 좋군 😏